### 주간 계획 #### 반드시 성취 - [x] 저녁 식단 샐러드로 바꾸고 저녁 5km 이상 달리기 2회 ✅ 2024-10-08 #### 루틴 목표 - [x] 팔굽혀 펴기 500개: 1일 100개 ✅ 2024-10-08 - [x] A/B 슬라이드 250개: 1일 50개 ✅ 2024-10-08 ##### 프로젝트 목표 ###### Salesforce 자격증 - [x] Salesforce 공부 계획 세우기 ✅ 2024-10-08 - [x] Salesforce 모의고사 1회분 풀기 ✅ 2024-10-08 ###### AI Report - [x] 설문 분석 툴 세팅하기: 예시 데이터, 분석 등 ✅ 2024-10-08 - [x] 문헌 리뷰 10건 끝내기 ✅ 2024-10-08 ###### 영어 - [x] 1일 1문장 7일 채우기 ✅ 2024-10-08 - [x] 영어 공부 계획 세우기(매일 어느 정도의 범위, 어떤 내용을 학습할지 등) --- ### 주차 리뷰 #### 반드시 성취 - [x] 저녁 식단 샐러드로 바꾸고 저녁 5km 이상 달리기 2회 ✅ 2024-10-08 > 실패했다. 저녁 식단을 샐러드로 바꾸지도 못했고, 달리기도 전혀 못했다. > 일단 저녁을 먹는 시간이 애매하고, 저녁을 늦게 먹으면 당연하게도 달리기를 할 수 없게 된다. 원인은 식사 시간이다. 그리고, 무엇을 먹을지를 결정하는 식사 메뉴도 문제다. 퇴근하고 나면 6시고, 밥을 먹이면 7시. 그러고 나면 저녁을 먹을 시간인데, 이게 애매하다. 차라리 5시에 퇴근하고 집에 오자마자 저녁을 먹으면 어떨까. 그렇게 되면 공복시간도 길어지기 때문에 더 나을 수 있다. 한 번 고민해보자. > 저녁 식사 시간을 5시로 만든다. > 저녁 메뉴를 샐러드와 간단한 것으로 만든다. > 8시에 운동한다. 할 수 있을 것 같다. #### 루틴 목표 - [x] 팔굽혀 펴기 500개: 1일 100개 ✅ 2024-10-08 - [x] A/B 슬라이드 250개: 1일 50개 ✅ 2024-10-08 > 이것도 실패. 실패한 이유는, 아침에 일어났을 때 너무 힘들기 때문이다. 잠을 더 자고 싶은 생각이 든다. 그래서 주호를 앉혀놓고 나는 그냥 누워서 빈둥대고 있다. 그 시간을 더 적극적으로 써야 한다. 아침에 에너지를 얻는 루틴을 만들자. 진짜, 저것만 한달 해도 몸에 자신감이 많이 붙을 거다. 당장 하자. 목요일부터 바로 시작하자. 그래! ##### 프로젝트 목표 ###### Salesforce 자격증 - [x] Salesforce 공부 계획 세우기 ✅ 2024-10-08 - [x] Salesforce 모의고사 1회분 풀기 ✅ 2024-10-08 > 자격증 목표를 변경한다. 지금 당장은 세일즈 포스를 공부하고 싶지 않다. AI와 데이터 공부를 더 하고 싶다. 지금 더 관심이 가는 건 파이썬이다. 파이썬으로 AI를 만지고 싶다. 그럴려면, 데이터 공부를 하고, 데이터 시험을 보자. 아무래도 빅데이터 기사는 이번에 따기는 어려울 것 같다. 어떻게 방법이 없을까. 너무 좋은 기회인데. 그런데, 이게 진짜 AWS 들어가는데 도움이 되는 거냐구. > 이렇게 된 이상, 다시 생각해보자. 세일즈 포스를 따는 게 먼저일까, 데이터를 만지는 게 먼저일까. 지금 가장 끌리는 건 데이터다. 이걸 할 줄 알게 되면 좋겠다. 그리고 실제로 필요하다. 그렇다면 하자. 데이터 먼저 하자. 빅데이터 기사 시험도 미리 준비는 해놓자. 내년에 보더라도. 대략적인 틀에서 공부하면 되잖아. > 그 다음으로 해야 하는 건.. 데이터 분석과 관련된 자격증을 하나 찾아보면 좋겠다. 실제 프로젝트를 해보는 것보다 더 큰 도움이 되는 건 없다. 일단은 그것만 먼저 생각하자. 그럼 세일즈 포스는 일단 뒤로 미룬다. 먼저 할 것은 데이터 공부다. > 파이썬으로 어디까지 공부할지 목표를 잡아야 한다. > 상관, 회귀, 아노바, 다중회귀. 여기까지 공부하자. 그리고 기술통계 만드는 연습도 하고, 엑셀 파일 불러오는 것도 하고. > 기술 통계에서도 배울 게 꽤 많았던 것 같다. 산점도 그리고, 주성분 분석하고, 등등. > 결론을 내리자. Salesforce는 이동한다. 지금 당장은 아니다. 이 통계 공부를 7월까지 하도록 하자. > 그럼 어떻게 변경? 어디에 입력해야지? > 오케이. 변경 완료. ###### AI Report - [x] 설문 분석 툴 세팅하기: 예시 데이터, 분석 등 - [x] 문헌 리뷰 10건 끝내기 ✅ 2024-10-08 > 이것도 실패. 설문 분석 툴. 이거는 그래도 조금 했다. 문헌 리뷰도 안 했고, 설문 설계도 하지 않았다. 알고자 하는 설문을 미리 짜놔야 한다. 그거는 생각날 때마다, 혹은 계속 생각해서 짜봐야 한다. > 지금 AI 영화제가 만들어지는 상황이다. 이게 트렌트 리포트를 해야 하는데, 너무 늦어지면 안된다. 인사가 나기 전에 어느 정도는 해놔야 하지 않을까? > ###### 영어 - [x] 1일 1문장 7일 채우기 ✅ 2024-10-08 - [x] 영어 공부 계획 세우기(매일 어느 정도의 범위, 어떤 내용을 학습할지 등) > 김재우 100일 영어를 하기로 했다. 이재우였나. 무튼. 이름이 살짝 마음에 안드네. 아냐 다시, 100일 영어를 하면 좋겠다. 이제 4일차꺼 를 해야 하는 상황. 10일 단위로 복습을 하자. 그리고, 익힌 표현은 계속해서 써야 하는데?? > 어쨌든 이걸 시작하는 것만으로도 엄청난 거라고 생각한다. 전화 영어 신청하자. 그나마 내가 시간을 만들 수 있는 건 그때니까. #### 한주 기록 영어 공부를 열심히 했던 한주였다. Salesforce를 공부해야겠다고 생각했다가 AI 연구 보고서와 연계해서 데이터 공부를 먼저 하기로 목표를 바꾸기도 했다. 파이썬을 맥미니에 아나콘다로 설치하고, 회사에서 ChatGPT를 이용해서 코드를 짠 다음 통계를 돌려보기도 했다. 그 결과가 어찌나 신통방통한지, 이틀 정도는 여기에 푹 빠져 있었다. 어떻게 하면 이 기술을 더 발전시킬 수 있을까, 그런 고민을 했다. 그러다, 공부를 하며 할수록 통계 기본에 대한 공부가 모자라다는 생각을 했다. 내가 원하는 데이터를 만들 수 있으려면 우선 데이터 문해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했고, 관련된 책 <데이터 문해력>이라는 책을 읽게 되었다. 아직 시작인데, <기획은 2형식이다>와 논리 구조가 굉장히 닮아 있다. 데이터를 보고 생각하는 게 아니라, 문제를 먼저 생각하고, 원인을 분석한 다음 데이터를 보라는 것. 통계 공부를 그래서, Salseforce보다 먼저 하기로 결심했다. AWS에 이직하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건, 현재로써는 영어가 아닐까 생각했다. 영어는 매일 하지 않으면 실력이 절대로 늘지 않는다. 그러므로 지금 당장 나는 영어 공부를 더 열심히 해야 한다. 이런 글들 조차도 영어로 써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보는 거다. 여튼, 영어 공부를 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이게 가장 우선이라는 생각으로, 루틴처럼 회사에서 1시간을 영어 공부를 하고 있다. 그런데, 회사를 쉬거나 주말이 되면 이게 다시 원점이 되어버리는 느낌이라서 아쉽다. 이 공부에 더해서 늘상 할 수 있는 영어 공부는 꼭 필요하다. 이렇게 쌓아 올린 한주는 그 다음 주를 살아가게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