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어모델 768차원 임베딩 벡터 생성 원리 완벽 가이드
## 핵심 질문들
1. **768차원이 뭘 의미하는가?**
2. **컴퓨터가 어떻게 차원을 구분해내는가?**
3. **"안녕하세요"가 어떻게 768개 숫자가 되는가?**
## 1. 768차원의 정확한 의미
### 기본 개념
**768차원 = 각 단어를 768개의 실수로 표현**
```python
# 실제 예시: "안"이라는 글자
"안" → [0.1234, -0.5678, 0.2345, 0.8901, -0.1122, 0.3344, ..., 0.7654]
1번째 2번째 3번째 4번째 5번째 6번째 768번째
# 총 768개의 실수가 하나의 글자를 표현
```
### 간단한 3차원 예시로 이해
```python
# 이해를 위해 3차원으로 축소
임베딩테이블 = {
"안": [0.2, -0.5, 0.8], # 3개 숫자로 "안" 표현
"녕": [0.1, 0.7, -0.3], # 3개 숫자로 "녕" 표현
"하": [-0.4, 0.3, 0.6] # 3개 숫자로 "하" 표현
}
# "안녕하" 입력 시
입력토큰 = ["안", "녕", "하"]
임베딩결과 = [
[0.2, -0.5, 0.8], # "안"의 3차원 벡터
[0.1, 0.7, -0.3], # "녕"의 3차원 벡터
[-0.4, 0.3, 0.6] # "하"의 3차원 벡터
]
```
## 2. 컴퓨터는 처음에 아무것도 모른다!
### 최초 상태: 완전히 랜덤
```python
# 학습 시작 전 - 모든 것이 랜덤
"안" → [0.234, -0.567, 0.891, -0.123, ..., 0.456] # 의미 없는 랜덤
"녕" → [-0.789, 0.345, -0.678, 0.234, ..., -0.567] # 의미 없는 랜덤
"하" → [0.567, -0.234, 0.123, -0.789, ..., 0.345] # 의미 없는 랜덤
# 이 시점에서는 768차원이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 컴퓨터는 "안녕"이 인사말인지도 모릅니다.
```
### 의미가 없는 초기 예측
```python
# 학습 전 예측 (완전히 엉터리)
"안녕하" 다음 단어 예측:
- "냉장고": 15%
- "자동차": 12%
- "세요": 8% ← 정답인데 낮은 확률
- "컴퓨터": 11%
- ... (랜덤한 확률들)
```
## 3. 학습을 통한 의미 생성 과정
### 학습 데이터와 패턴 발견
```python
# 수백만 개의 학습 문장
학습데이터 = [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떻게 지내세요",
"안녕하세요 오늘 날씨가 좋네요",
"안녕하세요 처음 뵙겠습니다",
"안녕 친구야",
"안녕히 가세요",
"안녕히 계세요",
... (수백만 개 문장)
]
```
### 실제 학습 과정 (단순화)
```python
# 학습 사이클 반복
for 문장 in 학습데이터:
# 1단계: 예측 시도
예측 = model("안녕하세요 반갑") # 다음 단어 예측
정답 = "습니다"
# 2단계: 틀리면 벡터 조정
if 예측 != 정답:
# "안녕하세요" 관련 벡터들을 조금씩 수정
# "습니다"가 나올 확률이 높아지도록
"안"의_벡터[0] += 0.001 # 1번째 차원 미세 조정
"안"의_벡터[1] -= 0.002 # 2번째 차원 미세 조정
"안"의_벡터[2] += 0.001 # 3번째 차원 미세 조정
...
"안"의_벡터[767] += 0.001 # 768번째 차원 미세 조정
# "녕", "하", "세", "요" 벡터들도 모두 조정
```
### 패턴 발견과 차원 특화
```python
# 수백만 번 학습 후, 컴퓨터가 자동으로 발견하는 패턴들
# 패턴 1: 인사말 관련
자주_등장하는_조합 = [
"안녕하세요" + "반갑습니다", # 1000번 등장
"안녕하세요" + "어떻게", # 800번 등장
"안녕하세요" + "오늘", # 600번 등장
"안녕하세요" + "처음", # 400번 등장
]
# 결과: 특정 차원이 "인사말 정도"를 나타내게 됨
"안"의_벡터[4] = 0.8 # 5번째 차원 = 높은 값 = 인사말
"하"의_벡터[4] = 0.7 # 높은 값 = 인사말
"컴"의_벡터[4] = 0.1 # 낮은 값 = 인사말 아님
"퓨"의_벡터[4] = 0.1 # 낮은 값 = 인사말 아님
# 패턴 2: 시간대 관련
시간대_패턴 = [
"안녕하세요" + "좋은 아침", # 아침 인사
"안녕하세요" + "점심", # 점심 인사
"안녕하세요" + "저녁", # 저녁 인사
]
# 결과: 다른 차원이 "시간대"를 나타내게 됨
"안"의_벡터[22] = 0.3 # 23번째 차원 = 시간 중립적
"아"의_벡터[22] = 0.9 # 높은 값 = 아침 관련
"저"의_벡터[22] = 0.1 # 낮은 값 = 저녁 관련
# 패턴 3: 격식 수준
격식_패턴 = [
"안녕하세요" + "습니다", # 정중함
"안녕하세요" + "입니다", # 정중함
"안녕" + "야", # 친근함
"안녕" + "ㅋㅋ", # 친근함
]
# 결과: 또 다른 차원이 "격식 수준"을 나타내게 됨
"안"의_벡터[67] = 0.6 # 68번째 차원 = 중간 격식
"요"의_벡터[67] = 0.9 # 높은 값 = 정중함
"야"의_벡터[67] = 0.1 # 낮은 값 = 친근함
```
## 4. 구체적인 3차원 학습 시뮬레이션
### 학습 전후 비교
```python
# === 학습 전 (의미 없는 랜덤) ===
embedding_table_초기 = {
"안": [0.1, 0.2, 0.3], # 랜덤값
"녕": [0.4, 0.5, 0.6], # 랜덤값
"컴": [0.7, 0.8, 0.9], # 랜덤값
"퓨": [0.2, 0.3, 0.4], # 랜덤값
}
# === 학습 과정 시뮬레이션 ===
for 학습_사이클 in range(1000000): # 100만 번 반복
# 학습 데이터 1: "안녕" → "하세요"
if "안녕하세요" in 학습문장:
# "안"과 "녕"의 벡터를 "하세요"가 나오도록 조정
embedding_table["안"][0] += 0.00001 # 1번째 차원 미세 조정
embedding_table["안"][1] -= 0.00001 # 2번째 차원 미세 조정
embedding_table["녕"][0] += 0.00001 # 1번째 차원 미세 조정
# 학습 데이터 2: "컴퓨터" → "프로그램"
if "컴퓨터 프로그램" in 학습문장:
# "컴"과 "퓨"의 벡터를 "프로그램"이 나오도록 조정
embedding_table["컴"][0] -= 0.00001 # 인사말과 반대 방향
embedding_table["컴"][2] += 0.00001 # 기계 관련 특성 강화
embedding_table["퓨"][0] -= 0.00001
embedding_table["퓨"][2] += 0.00001
# === 학습 후 (의미를 가진 벡터) ===
embedding_table_학습후 = {
"안": [0.8, 0.2, 0.1], # 1번째 차원: 인사말 높음
"녕": [0.7, 0.3, 0.1], # 1번째 차원: 인사말 높음
"컴": [0.1, 0.8, 0.9], # 2,3번째 차원: 기계 관련 높음
"퓨": [0.1, 0.7, 0.8], # 2,3번째 차원: 기계 관련 높음
}
# 각 차원의 의미 (자동으로 생성됨)
차원의_의미 = {
"1번째 차원": "인사말 여부",
"2번째 차원": "기계/기술 관련성",
"3번째 차원": "전문성 수준"
}
```
## 5. 768차원이 필요한 이유
### 언어의 복잡한 특성들
```python
언어의_복잡성 = [
# 문법적 특성
"품사", # 명사, 동사, 형용사 등
"주어/목적어", # 문장 내 역할
"시제", # 과거, 현재, 미래
"어미변화", # 다양한 활용형
# 의미적 특성
"구체성", # 추상적 vs 구체적
"감정", # 긍정, 부정, 중립
"범주", # 사물, 사람, 행동, 상태
"추상도", # 물리적 vs 개념적
# 사용법 특성
"격식수준", # 존댓말, 반말
"빈도", # 자주 vs 드물게 사용
"지역성", # 표준어, 방언
"세대", # 젊은층, 기성세대 용어
# 문맥적 특성
"동반단어", # 어떤 단어와 자주 등장
"선후관계", # 앞/뒤에 오는 단어 패턴
"도메인", # 과학, 문학, 일상 등
"상황", # 공식적, 비공식적
# ... (수백 가지 더 많은 특성들)
]
# 이 모든 복잡한 특성을 표현하려면 768개 차원이 필요!
```
### 차원별 특화 예시 (가상의 해석)
```python
# 실제로는 학습을 통해 자동으로 결정되지만, 가상의 해석:
"안녕하세요"의_768차원_벡터 = [
0.9, # 1번째 차원: "인사말" 정도
0.1, # 2번째 차원: "질문" 정도
0.8, # 3번째 차원: "정중함" 정도
0.5, # 4번째 차원: "친근함" 정도
0.2, # 5번째 차원: "명령문" 정도
0.7, # 6번째 차원: "일상성" 정도
0.3, # 7번째 차원: "시간관련성" 정도
0.6, # 8번째 차원: "대화시작" 정도
... # 9번째~768번째: 기타 미묘한 의미들
0.4 # 768번째 차원: 알 수 없는 추상적 특성
]
```
## 6. 실제 언어모델에서의 동작
### 전체 과정 정리
```python
# 1단계: 토큰화
"안녕하세요" → ["안", "녕", "하", "세", "요"] → [1909, 1169, 2546, 1770, 2008]
# 2단계: 임베딩 (각 토큰 → 768차원 벡터)
1909 ("안") → [0.1234, -0.5678, 0.2345, ..., 0.7654] # 768개 숫자
1169 ("녕") → [0.2345, -0.6789, 0.3456, ..., 0.8765] # 768개 숫자
2546 ("하") → [0.3456, -0.7890, 0.4567, ..., 0.9876] # 768개 숫자
1770 ("세") → [0.4567, -0.8901, 0.5678, ..., 0.0987] # 768개 숫자
2008 ("요") → [0.5678, -0.9012, 0.6789, ..., 0.1098] # 768개 숫자
# 3단계: 문맥 고려 (Transformer가 담당)
# 각 위치의 768차원 벡터들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최종 벡터 생성
# 4단계: 다음 단어 예측
최종_768차원_벡터 → nn.Linear(768, 2701) → 2701개_단어_확률
```
### 메모리와 계산량
```python
# 메모리 사용량 계산
한_토큰_메모리 = 768차원 × 4바이트(float32) = 3,072바이트 = 3KB
# "안녕하세요"(5토큰)
5토큰 × 3KB = 15KB
# 긴 문서(1000토큰)
1000토큰 × 3KB = 3MB
# GPT-3의 경우 (12,288차원)
한_토큰_메모리 = 12,288차원 × 4바이트 = 48KB
```
## 7. 왜 이렇게 복잡한가?
### 언어의 미묘함
```python
# 같은 "안녕"이어도 상황에 따라 다른 의미
상황별_안녕 = {
"안녕하세요": "정중한 인사",
"안녕": "친근한 인사",
"안녕히 가세요": "이별 인사",
"안녕히 계세요": "이별 인사 (머무는 사람에게)",
"안녕 못하겠다": "걱정, 우려" # 완전히 다른 의미!
}
# 이런 미묘한 차이를 모두 구별하려면 많은 차원이 필요
```
### 비슷한 단어들의 관계
```python
# 학습된 임베딩에서 유사도 (코사인 유사도)
유사도_예시 = {
("안녕", "하이"): 0.85, # 둘 다 인사말 → 높은 유사도
("안녕", "세요"): 0.72, # 자주 함께 등장 → 높은 유사도
("안녕", "사과"): 0.15, # 관련 없음 → 낮은 유사도
("안녕", "컴퓨터"): 0.08, # 관련 없음 → 낮은 유사도
}
# 768차원의 미묘한 수치 차이로 이런 관계들을 모두 표현!
```
## 8. 핵심 정리
### 차원 생성 원리
1. **처음에는 완전 랜덤**: 768개 숫자가 아무 의미 없음
2. **패턴 학습**: 수백만 문장에서 "어떤 단어 다음에 어떤 단어가 오는지" 학습
3. **자동 특화**: 각 차원이 저절로 서로 다른 언어적 특성을 담당하게 됨
4. **의미 창발**: 사람이 설계하지 않아도 의미 있는 표현이 자동 생성
### 컴퓨터의 학습 방식
- **통계적 패턴 인식**: "이 단어 다음에는 보통 저 단어가 온다"
- **미세한 조정**: 틀릴 때마다 768개 숫자를 조금씩 수정
- **반복 학습**: 수백만 번 반복으로 최적의 숫자 조합 발견
### 768차원의 의미
- **각 차원 = 하나의 언어적 특성**
- **768개 = 언어의 복잡한 특성들을 표현하기에 적당한 개수**
- **더 많은 차원 = 더 정교한 표현 (하지만 메모리와 계산량 증가)**
**핵심**: 컴퓨터는 의미를 모르고 시작하지만, 수많은 텍스트를 학습하면서 768개 차원에 언어의 모든 미묘함을 자동으로 저장하게 됩니다!
## 관련 참고 자료
- [[torch.nn 선형 레이어와 임베딩 레이어 대학생 수준 완벽 가이드]]
- [[02일차_2장 to 2.4_GPT 기초]]
- [[GPT 배치 생성 함수 한글 예시로 완벽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