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 자료
### 원본 자료
- 대화를 통한 질의응답 학습
### 추가 조사 자료
- 민스키와 페이퍼트의 "Perceptrons" (1969)
- 역전파 알고리즘과 다층 퍼셉트론
## 핵심 요약
### 3줄 요약
1. XOR은 "정확히 하나만 참일 때 참"을 출력하는 배타적 OR 연산이다
2. XOR 문제는 직선으로 분리할 수 없는 대표적인 비선형 문제이다
3. 단층 퍼셉트론의 한계를 보여주며, 다층 신경망의 필요성을 증명한다
### 상세 요약
#### XOR 논리 게이트
XOR(배타적 OR)은 두 입력이 서로 다를 때만 1(참)을 출력하는 논리 연산
**진리표:**
| 입력 A | 입력 B | XOR 출력 |
|--------|--------|----------|
| 0 | 0 | 0 |
| 0 | 1 | 1 |
| 1 | 0 | 1 |
| 1 | 1 | 0 |
#### OR vs XOR 차이점
- **OR**: "둘 중 하나라도 참이면 참" → (1,1)도 참(1) 출력
- **XOR**: "정확히 하나만 참일 때 참" → (1,1)은 거짓(0) 출력
**쉬운 비유:**
- OR: "커피 또는 차를 마실래?" (둘 다 가능)
- XOR: "한식 또는 양식 중 하나만 선택해" (하나만 가능)
#### 왜 직선으로 분리 불가능한가?
**XOR 데이터의 좌표평면 배치:**
```
B
|
1 | ○(0,1) ●(1,1)
|
|
0 | ●(0,0) ○(1,0)
|______________
0 1 A
```
- 검은점(●): (0,0), (1,1) - 출력 0
- 흰점(○): (0,1), (1,0) - 출력 1
- **대각선 패턴**으로 배치되어 어떤 직선으로도 완전 분리 불가능
#### 단층 퍼셉트론의 한계
**퍼셉트론의 계산 방식:**
```
출력 = w1×A + w2×B + bias
```
- 이 식은 **일차 방정식 = 직선의 방정식**
- 결정 경계: `w1×A + w2×B + bias = 0` (직선)
- 가중치들의 일차결합만 가능
- 곱셈(A×B), 제곱(A²), 복잡한 함수 불가능
- 따라서 **무조건 직선 경계**만 생성 가능
#### 선형 vs 비선형 분류
- **선형적 구분**: 하나의 직선(또는 평면)으로 두 그룹을 나눌 수 있음
- **비선형적 구분**: 곡선, 원, 복잡한 모양의 경계가 필요
**해결 방법: 다층 퍼셉트론**
- 은닉층 추가로 비선형 활성화 함수 사용
- 최소 구조: 입력층(2) → 은닉층(2) → 출력층(1)
- 복잡한 곡선 경계 생성 가능
## 개념 체크리스트
### 이해한 개념
- [x] XOR과 OR의 차이점 ✅ 2025-07-10
- [x] XOR 진리표 ✅ 2025-07-10
- [x] 좌표평면에서 XOR 데이터의 대각선 패턴 ✅ 2025-07-10
### 중요한 개념 (더 연습 필요)
- [ ] 단층 퍼셉트론이 직선 경계만 만드는 수학적 이유
- [ ] 선형 분류와 비선형 분류의 구분
- [ ] 다층 퍼셉트론을 통한 XOR 문제 해결
### 헷갈리는 개념
- [x] 왜 일차방정식이 직선을 의미하는지 ✅ 2025-07-10
- [x] 비선형 활성화 함수의 역할 ✅ 2025-07-10
- [x] 은닉층이 어떻게 비선형성을 만드는지 ✅ 2025-07-10
## 복습 기록
### 1일 복습
- 요약 확인:
- 개념 체크:
- 느낀 점:
### 4일 복습
- 심화 학습:
- 연결관계:
- 느낀 점:
### 7일 복습
- 통합 이해:
- 타 단원 연관성:
- 느낀 점:
### 14일 복습
- 최종 점검:
- 실전 적용:
- 느낀 점:
## 역사적 의미
- 1969년: 민스키와 페이퍼트가 "Perceptrons"에서 XOR 문제 지적
- 첫 번째 AI 겨울의 원인 중 하나
- 1980년대: 역전파 알고리즘으로 다층 신경망이 XOR 해결
- 신경망 연구 재활성화의 전환점
## 실습 아이디어
- [ ] 다양한 직선을 그어서 XOR 분리 시도해보기
- [ ] 단층 퍼셉트론으로 AND, OR 구현해보기
- [ ] 다층 퍼셉트론으로 XOR 구현해보기
- [ ] 다른 비선형 문제들 찾아보기
## 연관 개념
- 퍼셉트론과 신경망
- 활성화 함수
- 역전파 알고리즘
- 비선형성과 딥러닝의 필요성
## 관련 문서
- [[미분과 역전파에서 비선형성의 필요성]] - 수학적 관점에서의 비선형성 필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