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3자 판매 정책
- 반대가 많았지만, 결국엔 고객들이 더 많은 선택권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 퀄리티를 유지하기 위해서 제3자 판매자들에게도 아마존 판매와 같은 기준을 적용했다.
- 아마존은 고객경험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제3자 판매자들도 반드시 그래야 했다.
- 결국 2018년, 아마존 판매 제품중 58%가 제3자 판매자였고, 수십억 달러의 수수료를 챙길 수 있었다.
>[!확장]
>네이버나 오픈마켓들이 국내에서 취하는 판매자 등록과 같은 흐름도 결국엔 아마존의 제3자 판매 정책을 따라온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다. 아마존은 글로벌하게 사업을 확장하면서도 제3자에게도 높은 기준을 적용했다는 점에서 여전히 고객 중심적이다.
### 무료배송
- 고객들이 비싼 배송비용으로 인해 거래를 주저한다는 것을 알게 되자, 무료 배송을 생각한다. 결과적으론 고객들이 무료배송을 받게 된다면 더 많은 거래를 할 것이라는 생각을 한 것이다.
- 처음부터 모든 제품을 무료배송으로 할 수 없었다. 여기서 아이디어를 생각한다. 25달러 이상에만 무료배송 적용. 사람들은 그 금액을 채우기 시작했다. 성공적이었다.
- 이후 아마존프라임 서비스가 나왔다. 쿠팡회원제와 같은 거다. 무료배송을 해준다. 먹힐까? 먹혔다. 프라임이 아닌 회원들은 연간 평균 아마존에서 600달러를 썼다. 프라임 회원들은 1,400달러를 썼다. 두배 넘게 쓴 것이다. 2018년의 데이터다.
- 충성고객들이 생기면서 더 많은 돈을 쓰게 되었다는 것. 이제 아마존 프라임은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도 제공한다.
>[!2014년 베조스 레터]
>10년 전 우리는 아마존 프라임을 출시했습니다. 원래는 모든 것을 무료로 빠르게 배송해 주는 프로그램으로 고안했습니다. 우리는 그것이 위험한 시도라는 말을 반복해서 들었고 어떤 면에서는 맞는 말이었습니다. 첫해에 우리는 수백만 달러의 배송비를 부담했지만 그 것이 가치가 있을 거라고 알려주는 통계자료는 없었습니다.
>**우리가 프라임을 계속 진행하기로 결정한 이유는 앞서 무료 슈퍼 세이버 배송을 도입했을 때 보았던 긍정적인 결과와 쇼핑 역사상 가장 좋은 거래 옵션을 제공받고 있다는 사실을 프라임 고객들이 금방 알게 될 거라는 직관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우리는 만약 규모 의 경제를 달성한다면 배송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을 거라고 분석했습니다.
### 아마존웹서비스
- 기술이 중요했다. 모든 혁신적인 서비스의 병목현상은 기술부서에서 시작했다. 이걸 해결하기 위해 기술인프라에 투자했다.
- 각 부서는 하는 일은 달랐지만 같은 종류의 기술이 필요했다. 아마존은 이걸 해결해주는 인프라를 구축하기로 결심했다. 그렇게 나온 게 AWS였다. 이걸 만들고 나서 알게 되었다. 정말 혁신적인 무언가를 만들었다고.
### 작은 베팅, 4의 빅베팅
> [! 2014년 베조스 레터]
> 마켓플레이스, 프라임, 웹서비스는 아마존의 3대 아이디어입니다. 우리는 그 시스템을 갖 게 된 행운을 누렸고, 이제 그것을 개선하고 육성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우리는 고객들에게 훨씬 더 나은 시스템을 만들 것입니다. 또한 네 번째 시스템을 찾기 위해 열심히 일할 것입 니다. 이미 여러 후보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20여 년 전에 약속한 대로 과감한 베팅을 계속할 것입니다.
---
> [!내 생각]
> 이제 제4의 베팅은 AI가 아닐까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AWS의 중요성은 커진다. 이 장에서 정말 중요한 것은 고객이 좋아할 거라는 확신이 든다면 거기에 베팅을 한다는 것. 그리고 그 베팅은 작게 시작한다는 것. 그게 너무 흥미롭다. 결국엔 큰 아이디어도 작은 베팅으로 시작한다는 게 좋다.
## 메인 페이지
[[Leadership Princip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