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 처음 STAR 관점에서 작성해봤는데 상황에서 문제를 정확히 정리하는 게 필요함
- 혹은 행동에서 문제 정의를 내리고 행동으로 솔루션을 바로 연결해도 좋겠음
- 결과에는 가능하면 수치적인 결론을 내려주면 좋겠다.
### Dataview를 활용한 불렛저널의 디지털 구축 사례
- 상황
- 옵시디안, 노션, 옴니포커스, 구글 캘린더 등 다양한 툴을 사용해도 생각정리와 스케쥴 관리가 잘 되지 않았고, 이런 툴에 대한 불신이 생기면서 기존에 갖고 있던 계획적인 습관도 무너지기 시작했음.
- 과업
- 아이 둘을 돌보면서, 자격증도 따야 하고, 이직 준비에 영어공부도 해야 했음
- 돈을 더 벌기 위해서 부업도 알아보고 실천해야 했음
- 행동
- 해야 할 일이 많은데 일상의 생각 정리와 스케쥴링이 안 되는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불렛저널을 다시 활용하기로 결정했음
- 쉽게 아날로그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디지털로 옮겨서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작성할 방법을 찾았음
- 불렛으로 일상의 생각들을 발산하고, 동시에 Dataview 플러그인을 활용해서 DQL(Dataview Query Language)언어로 과업들을 추출함으로써 생각정리와 업무 스케쥴링을 동시에 해나갈 수 있었음
- 결과
- 그 동안 읽어왔던 수많은 자기계발서가 말하는 자기 관리의 원칙들을 실천할 수 있게 되었음
- 적은 노력으로 마음챙김과 동시와 업무를 잘 수행해나가고 있다는 만족감을 얻을 수 있었음
---
[[AWS의 STAR 형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