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차 면접 후기
AWS 에 지원하기 위해서는 영문 이력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영문 이력서 제출 후, 이력서에 기재된 메일로 1차 면접 요청 메일이 발송됩니다.
저의 경우 시간도 없고, 크게 이직 생각이 없었어서 메일에 답변을 안하고 있었는데 채용 코디네이터 분께서 연락해서 바뻐서 면접 준비가 어려우면 도움 드릴 수 있으니 면접을 보셨으면 좋겠다고 문자를 받았습니다. 그래서 약간의 걱정과 두려움이 있었지만 약속을 잡고 1차 면접을 위해 채용코디네이터와 화상으로 만나 인터뷰 준비 방법을 미리 전달 받았습니다.
각 면접에는 질문하는 분과 듣고 계시다가 마지막에 관련된 질문을 추가로 하시는 몇 분이 참석하여 Amazon Chime 화상 회의로 진행됩니다.
#### 1차 1번째 면접 : 기술 면접 (약 1시간 소요)
- 자기 소개, 지원 동기
- OLAP 과 OLTP 차이점
- NoSQL 엔진 정보와 사용 사례 (AWS 의 Key-Value Store 사용 예)
- Storage 저장 방식 (block, file, object) 에 따른 차이점
- Storage 타입 (Das, Nas, San) 설명
- Disk Raid (riad 0, 1, 5) 설명과 Raid 1+0, 0+1 의 차이점
- Application 배포 방식 설명 (Rolling update, Canary 배포, Blue&Green 배포)
- A-B test 란 무엇인지 설명
- Baremetal, Hypervisor, Docker 에 대한 설명과 차이점
- www.example.com 을 브라우저에서 실행 시 일어나는 일 (DNS resolve 하는 방식 설명)
- Web 서비스를 맡은 사람으로서 갑자기 사용자 요청이 많아질 경우 어떻게 할것인가? (단기적, 장기적 방식 설명)
- 초기에는 각 서버의 Scale-up
- 장기적으로 Auto scaling group 을 사용하여 Scale-out 하도록 변경하고, LB 사용, DB RW 부하 분산 추가
- Web 서비스를 3tier 로 구성하는 아키텍처 설명
질문 내역은 대부분 채용 코디네이터 분이 기술 면접 예시로 전달 주신 내역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미리 Youtube 테코톡/AWS/널널한개발자 등등 여러 영상 중 설명하기 쉽게 알려주는 동영상을 검색해서 보았고, 비교해야 할 정보에 대해서는 Chat GPT 등을 활용해서 비교 검색하고 정리한 내역을 다시 공부한 걸 토대로 답변하였습니다. 기술 면접 전에 youtube 로 주제를 찾아서 듣고, Google로 생소한 단어들을 정리한 후에 반복적으로 실제 대답하듯이 준비했습니다. 자신의 기존 직무 관련된 질문이 많으므로 그에 대한 준비가 더 필요하고 AWS 로 서비스를 운영한 경험이 있을 경우 이 내용을 논리적으로 말할 수 있도록 정리하고 말해보는 연습을 하였습니다.
채용 코디네이터의 기술 질문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인프라 전반에 대한 질문 (특정 영역에 강점이 있었다면 이 부분에 더 질문을 합니다.)
- Architecture (MSA, 3tier architecture)
- Troubleshooting (OS, DB, Network 등 자신의 기존 직무와 관련된 경험)
- Storage (object, block, file)/ Das,Nas,San/ Raid
- DB (RDB, NoSQL)/ OLAP, OLTP/ 성능문제 조치/ Sharding, Clustering
- Network (OSI 7layer)/ L4, L7 로드밸런서의 차이점/ TCP, UDP/ CDN
- DevOps (CICD 개념) / Docker
- Security (DDos, firewall, WAF)
#### 2차 2번째 면접 : 팀 fit 관련 직무 경험 및 기술 경험 면접 (약 1시간 소요)
- 자기 소개
- 지원하게 된 이유
- 지원한 직무에 대한 이해도
- 다양한 사례들에 대해 Amazon Leadership Principle 기준으로 질문하고 이 질문에 대해 STAR (Situation, Task, Act, Result) 기반으로 답변
- 나와 다른 의견이 있는 매니저를 설득하거나 의견 조율의 어려움이 있다면 어떻게 하는지
- 관련된 답변 후, 실제 어떤 기술적인 사유가 있었는지와 극복한 방법에 대해 다시 한번 설명
- 자기 업무 아닌 부분까지 해야할 때 어떻게 했나? 힘든 일이 있었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
- 기술적으로 성취감을 가장 많이 느꼈던 업무나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
- 자기 자신은 이 직무에 있어서 어떤 강점이 있는가? 그리고 그 강점의 우선 순위를 나열해 보자면?
- Troubleshooting, SA Review, Consulting
- 작업을 했던 사례
- 본인이 업무를 효율적으로 하는 방법에 대해 3가지로 말한다면? (전 아래와 같이 답변했습니다.)
- 계획과 우선순위 정리하여 작업
- 반복되는 작업에 대해서는 표준화와 자동화 진행
- 작업 내역 기록과 공유하여 케이스를 구체화 하고 답변 시간을 줄임
- 영어로 업무 지원 하는 일이 많이 있었을 것 같은데 영어로 업무를 하는데에 있어 어느 정도 준비가 되어있는지와 어떻게 생각하는지?
- 최근 지원한 직무와 관련된 업무를 한 사례가 있는지? 그렇다면 그 때의 성취감은 어땠는지?
- 이직을 결심하게 된 이유와 직무에 대한 준비가 되어 있는지 질문
2번째 면접은 지원한 팀과 일을 잘 할 수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확인하는 면접인 것 같습니다. LP 질문 관련해서도 최대한 경험을 자세하게 나열한 후 STAR 방식으로 답변을 정리하였고 면접 전에 그 부분을 한번 더 읽고 말하면서 정리하여 준비 된 상태로 면접을 진행하려고 하였습니다.
조금 떨렸지만 떨리거나 하기 싫을 때 항상 마음에 새기는 것들이 있습니다.
- 마인드 컨트롤 하자.
- 모든 두려움은 모를 때 가장 크다. 알아갈 수록 두려움은 작아지고 알게 되면 별거 아니다.
- 계속 반복해서 보고 듣다 보면 익숙해진다. 처음부터 잘 알고 이해하는 사람은 없다. 노력해서 알아가야 한다.
긴장되고 어렵게 생각되더라도 두렵지 않도록 준비하고 알아가면 어려움이 조금 더 재미로 다가올 거라고 생각합니다. 준비하시는 모든 분들께 행운이 깃들길 바랍니다.
## 2차 면접 후기
1차 면접 결과는 업무일 기준 2~3일 이내에 받게 되고, 그 때 바로 2차 면접 일정을 잡게 됩니다.
일정은 가능한 일정을 보내면 하루 또는 이틀에 걸쳐서 총 5시간 각기 다른 면접관이 배정되고
Amazon LP 에 기반한 질문을 하면 본인의 경험담을 STAR 방식으로 답변하면 됩니다.
면접 전 LP 기준 약 4~5개의 예상 질문을 생각하고
해당 질문에 대해 2개 정도의 에피소드를 STAR 방식으로 준비해서 정리했습니다.
STAR방식은 아래와 같고 어떤 상황에서 내가 어떤 담당이었고 어떻게 행동했으며 그 결과는 어땠다를 설명하는 방식입니다.
- Situation
- Task
- Action
- Result
LP 인터뷰는 다음과 같이 3~4 혹은 그 이상의 서브 질문으로 진행됩니다.
이 중 Bar raiser 라는 분이 계시다고 외국 면접 후기 보면 나오는데 면접하게 되면 "아 이 분이구나!" 하는 느낌이 옵니다.
그 땐 떨지말고 본인이 생각했던대로 혹은 아무 생각이 안난다면 말로 잘 마무리 하는게 좋습니다.
멍해질 때 어떻게 이야기할지에 대해 미리 시뮬레이션 하고 준비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첫번째
자기 소개
1. 내 책임은 아니었지만 중요한 업무를 처리했던 기록
2. 비지니스 롱 텀 밸류를 위해 단기가 아닌 장기 결과를 낸 것
3. 정해진 약속을 지키지 못했던 사례
두번째
자기 소개
1. 내가 받은 미션이나 목표 중 시도해 보고 성공한 케이스, 그리고 실패한 케이스
2. 주어진 일을 성공적으로 해냈던 상황
3. 의견 충돌이 있었지만 자기 의견을 관철 했던 것, 자기 의견을 개진하지 못했던 사례
4. 왜 이렇게 새로운 걸 하려고 하는가?
세번째
자기 소개
1. 고객의 반응에 최선을 다했던 순간
2. 정보가 없었을 때 어떻게 의사 결정해서 처리했는가? (아무도 없이 오롯이 나의 판단으로 한 경험)
3. 비지니스를 위한 결정을 내려야 했던 사례
4. 급박하게 결정해야 했을 때
네번째
자기 소개
1. 혁신적인 일을 한 경우와 어떤 문제로 하게 되었는지?
2. 복잡하게 꼬여있는 연관되어 있는 문제 점들은 어떻게 해결하는가
3. 일정이 바쁠 때의 결과물을 낸 경험
4. 프로젝트 결과물을 기대치 이상으로 이끌어낸 경험
다섯번째
자기소개
1. 중요하지만 복잡한 케이스를 처리한 사례
2. 팀내 조직 차원의 문제들 중 해결하기
3. 했던 직무 중에 어려웠던 업무와 어떻게 해결했는지
4. 공부하고 궁금해 하면서 적용했던 업무
하고 나면 시원한데 하기 전까지는 무한 떨림과 고민, 스트레스? 에 빠질 수 있는 면접입니다. 하루에 5시간의 면접을 보려면 마음가짐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저는 떨려서 새벽까지 잠 못자고 2시간 정도 잠들었다가 깨서 계속 면접을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했던 기억이 나네요.
면접 시에는 대답하다가 면접 질문의 의도를 잃기도 하는데 그 때는 질문에 대해 다시 물어보아도 됩니다. 중요한건 침착하게 면접관이 원하는 대답을 나의 경험에 비추어 잘 이야기하는 부분 같아요. 그러기 위해서는 미리 질문에 대해 적어보고 혼자 답해보며 준비하는게 도움이 되는 것 같으니 이 부분 참고 하시고 잘 준비하셔서 원하시는 결과가 있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