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프로토콜의 종류는 수백가지가 넘는다. 그 중에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프로토콜을 구분해서 볼 필요가 있다. 국제표준화 기구로는 ISO, ITU, IETF가 있다. 계층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국제적인 통신 프로토콜의 종류#1. **애플리케이션 계층 (Application Layer)**]] ![[국제적인 통신 프로토콜의 종류#2.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국제적인 통신 프로토콜의 종류#3.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국제적인 통신 프로토콜의 종류#4.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국제적인 통신 프로토콜의 종류#5. **미디어 및 스트리밍 프로토콜**]] 영상 전송과 관련된 프로토콜의 세부 내용은 [[영상 전송 관련 프로토콜 종류 및 특징]]을 확인. ![[국제적인 통신 프로토콜의 종류#6. **보안 관련 프로토콜**]] --- 이러한 프로토콜은 운영체제 내 기본 탑재되어 있다. [[운영체제 내 기본 탑재된 프로토콜의 종류]] 그러나 SRT 프로토콜은 국제표준도 아니고, 운영 체제에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지 않다. [[SRT 프로토콜의 운영체제 내 기본 내장 여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