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님을 보면 돈을 벌고 싶으면 책을 읽으라고 이야기하죠. 신사임당님도 그렇구요. 아, 자청이나 신사임당을 모르실 수도 있습니다. 괜찮습니다. 여하튼 부자가 되고 싶거나, 사업에 성공하고 싶다면 책을 읽으라는 게 모든 사람들의 공통적인 의견입니다. 켈리 최 대표님도 책의 중요성을 정말 강조합니다. 책 10권을 읽으면 그 분야를 전공한 것과 마찬가지라고 하실 정도니까요. 그래서일까요. 유튜브에서도 책을 읽으면 부자가 될 거라는 믿음으로 이걸 실제로 도전해보는 사람들이 나타났습니다. 그런데, 그분들의 이야기는 또 묘하죠. 책을 읽는다고 부자가 되진 않았다는 겁니다. 생각의 지평은 넓어졌지만, 결국 깨달은 것은 '실천' 하지 않는 지식은 쓸모가 없었다는 겁니다. 저는 이 부분이 흥미로웠습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독서를 통해 배운 깨달음을 실제로 실천하면서 살 수 있을까, 이런 궁금증이 들었습니다. 책을 읽다 보면, 아하 모먼트가 여러번 옵니다. 사실 그 순간을 만나기 위해서 책을 읽습니다. 기나긴 독서 중에 그런 순간을 만나면 긴 사막 끝에 펼쳐진 초원에 도착한 것 같은 느낌입니다. 그런데, 책을 덮고 나면 그 모먼트는 기억에서 사라집니다. 며칠이 지나면, 뭔가 기분 좋았던 느낌만 있고, 그게 정말 내 인생을 나아지게 한 것인지 헷갈릴 때가 있습니다. 밑도 끝도 없이 부어도 그냥 물이 줄줄 새기만 하는 느낌. 그렇게 책을 읽은 시간은 전부 어디론가 새어나가고, 지식 역시도 새어나가 저는 제자리인 사람이 되는 거죠. 부자가 되기 위해서 책을 읽었다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정말 책을 읽었지만 삶을 변화시키지 못했던 이유를 저는 여기에서 찾습니다. 기억에서 증발했기 때문입니다. 그 많은 책을 읽어도 계속해서 내 삶에 적용될 수 있도록 상기할 수 있는 도구가 없다면, 삶은 결코 변하지 않을 것입니다. 안 그런가요? 우리는, 조금은 과한 표현이지만, [[장기기억상실증]]에 걸린 사람들입니다. 특히 지금처럼 틱톡이나, 숏츠, 릴스 같은 디지털 아편을 먹으며 생활하는 사람들에게 장기기억이란 참으로 어려운 일입니다. 우리는 지금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는 능력이 없어졌습니다. 오로지 잠깐의 즐거움, 손가락으로 넘기면 나오는 그 달콤한 즐거움을 맛보고, 단기로 기억하고, 금새 휘발시켜버리는 사고 패턴에 익숙해졌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장기기억상실증에 걸렸습니다. 저는 도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독서를 하기 전에, 먼저 이 도구를 만들어놓고 독서를 해보려고 합니다. 이 도구는 장기기억상실증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그 결과 내가 읽은 책의 내용을 계속 상기하면서 실제 삶에 적용해볼 수 있게 되는 거죠. 그 결과는 사람마다 무궁무진하고 또 다양할 겁니다. 누군가는 상담으로 돈을 벌지도 모르고, 누군가는 창업으로 돈을 벌지 모릅니다. 모두가 자기의 능력에 맞게 행복한 일을 하면서 살게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지금부터 저는 100권의 책을 올해 동안 읽고, 정리할 예정입니다. 이 책들이 제 삶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왜 그 책을 처음 선택했고 무엇을 흡수했고, 내 삶에 무엇을 적용했는지를 기록으로 남기고 여러분과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이런 제 지식과 경험을 나눈다고 해서 사라지는 게 아니니, 얼마나 좋습니까. 오히려 나눔으로써 풍족해지는 일은 이 일밖에 없을지 모릅니다. 그래서, 먼저 정리해보려고 하는 책은 기록에 관한 책입니다. [[세컨드 브레인의 강력한 힘]], [[거인의 노트]]라는 이 두권의 책을 통해 메모하고 기록하는 방법에 대해서, 그리고 디지털로 이러한 메모와 기록을 정리하고 조직화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룹니다. ### 세컨드 브레인으로 우리 뇌를 업그레이드 하기 ---- #### 내 생각 - #### 읽고 있는 책 리스트 - 슈퍼노멀 - 기자의 글쓰기 - 돈이 되는 글쓰기 - 기획은 2형식이다 - [[세컨드 브레인]] - [[거인의 노트]] - [[에디톨로지]] - 백만장자 시크릿 - 유시민의 글쓰기 - 직업으로서의 소설가(무라카미 하루키) - [[염증해방]] - [[클루지]] - [[나는 4시간만 일한다]] - [[당신의 뇌는 최적화를 원한다]] - [[쏟아지는 일 완벽하게 해내는 법]] - [[클리어 씽킹]] - [[생각이 돈이 되는 순간]] - #### 꼭 완독할 책 - [[설득의 심리학]] 전권 - [[욕망의 진화]] - [[정리하는 뇌]] - [[행동경제학]] - [[스틱]] - [[1일 1식 하루 한끼 평생 든든한 심리학 365]] - [[비밀의 심리학]] #### 다시 읽을 책 - 부의 추월차선 전권 - ---- #### 키워드 #표지판 #독서 #2024년 ###### 날짜 : 2024-03-19, 08:40 --- ### 독서 기록 문제점 - 책을 읽고 싶을 때마다 읽었더니, 모든 책의 내용이 기록으로 남지 않았다. - 책을 기록해야 한다는 압박이 있다 보니, 책을 읽는 게 두렵다고 느껴질 때도 있다. - 책을 읽고 생각을 정리하는 것 자체가 일이다. - 방금 마인드 박스라는 책을 기록했다. 내가 어떻게 대화를 했는지 기록했다. 이 기록 자체가 의미가 있을까? 우선은 내가 무엇을 읽었다는 기록으로 남기 때문에 의히가 있다고 생각한다. 나의 독서를 그래도 기록으로 남겨둔다면, 어떻게 해야 한다는 걸까. - 책을 통해서 영구노트를 얻는다. 거기서 요약을 했고, 내 생각을 얻었다. 그런데 망각이 발생해서 나중엔 까먹는다. 확실히 까먹는다. 어딘가 기억에 남아 있긴 했지만, 까먹었다. 지속적으로 이것들이 내 삶에 영향을 주도록.. - 정신머리가 빠져가지고, 또 놀았다. 이럴수가. 오전 시간 이렇게 거의 날렸다. 독서 기록에 대해서 생각해보다가, 놀다 왔다. 컴퓨터로 일을 할 때의 문제는 이거다. 딴 짓을 하게 된다는 것. - 다시 돌아오자. 독서기록의 문제점을 생각해보자. - 나 그냥 결론이 있어. 독서 노트, 예쁘게 하나씩 만들고 싶어. 그냥 독후감을 하나씩 쓰고 싶다고 말하면 되지 않을까. 한장 정도로라도. - 여기서 얻게 된 결론은, 독서노트의 양식을 만들자는 거 아닐까. 누군가에게 소개하는 그런 글로 써야 할까? 그러면 가장 좋긴 한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