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프로젝트와 할 일을 구분해야 큰 일을 합니다]] [[02 GTD를 알아도 실패합니다]] [[03 프로젝트도 목표 앞에선 작은 티끌이다]] - 목표 관리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는 걸 이야기하자. 그리고, 목표에 앞서 더 큰 이유가 있어야 한다. 삶의 행복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생각하고, 고민한 게 있어야 한다. 목표는 결과다. 성취의 결과. - 목표 달성이 어려운 이유는 때때로 우리가 목표를 성취의 결과물이 보이지 않게 잡기 때문이다. 살빼기. 돈 많이 벌기. 또 목표와 루틴을 헷갈리기 때문이기도 하다. 목표를 이루기 위해 매일 같이 루틴으로 해야 하는 것들도 있는 반면.. 아니다. 살짝 헷갈린다 여기서는. 다시. - 여튼, 여기에 브레인스토밍을 하고 난 뒤에, 하나씩 작성해보자. [[04 [추천] 옴니포커스 활용하기]] - 옴니포커스 활용방법을 더 세분화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 정말 기본부터 사람들에게 알려줘보면 어떨까? - 만약 그렇다면, 수신함, 프로젝트, 태그, 예측, 플래그, 검토. 이 기능을 어떻게 활용하면 되는지가 필요하다. - 개념 소개 - 수신함, 프로젝트, 태그, 예측, 플래그, 검토 - 프로젝트 VS 할 일 - 워크플로우를 설명해줘야 한다. - 업무의 흐름 - 이거는 예시를 몇개 들어서 설명해주는 게 좋겠다. - 연구보고서 만들기 - 행사 계획하기 - 자료 취합하기 - 그래, 이런 게 실제로 도움이 되지. 어떻게 생각하고, 기획하고 하는지. 음.. - 이거 쓰다가 아마 양이 많아질 느낌이 들지 않나.. 벤치마킹하기, 이런 것도 바로 글 써보고 싶어지고 그런 마음이 들잖아 지금? 그치? - 우선은 이걸로 돈을 번다는 생각을 하지 말자. 누군가는 내 글을 보고 도움을 받을 거야. 나는 누군가에게 도움을 주는 글을 쓰는 사람이 되는 거다. - 옴니포커스는 가르쳐 줄게 여기까지면 다 끝난다. - 정리해보자. - 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