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기주도적 학습 - 클러스터링 분석을 공부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상관분석이 생각보다 쉬웠기 때문이고, 실질적으로 고객의 세분화 같은 작업이 실용적이라고 생각해서 통계를 배운다면 이런 종류의 통계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 클러스터링 분석에 대해서는 챗GPT에서 자세히 알려준다. 코드를 어떻게 사용하면 되는지도 알려준다. - 공부해야 하는 건, 통계 지식, 코딩, 활용할 수 있는 상황, 그때 필요한 데이터의 종류 같은 것들이다. 이것들을 스스로 해보면서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 ### 원문 메모 - 통계분석 - 상관분석을 파이썬으로 해보는데, 생각보다 간단해서 더 할게 없을까 하다가 기초 통계 분석을 해야겠다고 생각이 들었다. 예전에 챗지피티에 물어본 내용 중에, 통계를 활용한 분석의 예시가 있었는데, 그 중에서 고객을 세분화하는 클러스터링이 기억이 났다. - 클러스터링 분석부터 시작해서 통계 기법을 하나 익혔다. 비계층적 통계이고, 어떻게 파이썬에서 구현할 수 있는지, 변수가 몇개가 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지만 어려운 건 그런 거다. 언제 이 통계를 쓰냐는 것. 사실상, 내가 통계를 사용할 일이 없다면 금새 까먹고 말 통계다. - 옵시디안에 코드까지 입력할 수 있어서 꽤 좋다. 그렇지만 윈도우 회사 컴에서는 너무 느려서 작동을 시켜볼 수가 없다. - 통계에 대한 공부이면서, 코딩에 대한 공부를 동시에 해야 하는 상황에서 지금 내가 하는 이 방식은 꽤 적절한 것 같다. 논문까지 찾아서 어떤 변수로 활용을 했는지까지 검색해보는데, 이런 수준이면 꽤나 능동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