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념 조작화 ==개념 조작화(Operationalization)는 추상적인 개념을 측정 가능하고 구체적인 변수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이론적 개념을 경험적으로 검증할 수 있게 됩니다. ### 기본 개념 설명 1. **실증주의 패러다임에서 강조된다:** - **개념:** 실증주의는 객관적이고 경험적인 증거를 통해 사회현상을 설명하려는 접근입니다. 실증주의에서는 개념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측정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예시:** 행복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적인 질문(예: "지난 한 주 동안 얼마나 자주 웃었습니까?")으로 변환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합니다. - **연구주제:** 주관적 행복감 측정 연구 2. **개념을 수량화하여 측정 가능하도록 해준다:** - **개념:**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적인 변수로 변환함으로써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게 됩니다. - **예시:** 사회적 지지라는 개념을 '친구와 가족의 지원 빈도'와 같은 구체적인 변수로 조작화하여 측정합니다. - **연구주제:**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수준 간의 관계 연구 3. **사회현상을 보편적 언어로 정의하는 과정이다:** - **개념:** 개념 조작화는 특정 현상을 연구자가 이해할 수 있는 공통된 언어로 정의하는 과정이 아닙니다. 오히려, 이는 특정 개념을 연구자가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구체적인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 **예시:** 신뢰라는 개념을 "다른 사람을 믿는 정도"로 구체화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합니다. - **연구주제:** 직장에서의 신뢰와 직무 만족도 간의 관계 연구 4. **추상적 세계와 경험적 세계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 **개념:** 개념 조작화는 추상적인 개념(이론적 세계)을 구체적인 측정 변수(경험적 세계)로 변환하여 연구자가 이를 실제로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예시:** 정치적 참여라는 개념을 '선거 참여 빈도'와 같은 구체적인 변수로 변환하여 조사합니다. - **연구주제:** 정치적 참여와 시민 의식 간의 관계 연구 ### 개념 조작화의 예시와 연구주제 **예시 1: 사회적 지지** - **개념 정의:** 사회적 지지는 친구나 가족, 동료 등으로부터 받는 정서적, 도구적 지원을 의미합니다. - **조작화 예시:** 설문조사에서 "지난 한 달 동안 친구나 가족과 얼마나 자주 연락했습니까?", "어려운 상황에서 친구나 가족의 도움을 얼마나 자주 받았습니까?" 등의 문항을 통해 측정합니다. - **연구주제:** 사회적 지지가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예시 2: 직무 만족도** - **개념 정의:** 직무 만족도는 직장에서의 근무 환경, 보상, 상사와의 관계 등과 관련하여 개인이 느끼는 만족도를 의미합니다. - **조작화 예시:** 설문조사에서 "현재 직무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보상 수준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등의 문항을 통해 측정합니다. - **연구주제:** 직무 만족도와 이직 의도 간의 관계 연구 ### 문제 이해를 위한 요약 > 개념의 조작화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 실증주의 패러다임에서 강조된다. - 개념을 수량화하여 측정 가능하도록 해준다. - 사회현상을 보편적 언어로 정의하는 과정이다. - 추상적 세계와 경험적 세계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정답:** 사회현상을 보편적 언어로 정의하는 과정이다. **이유:** 개념 조작화는 특정 사회현상을 보편적 언어로 정의하는 과정이 아니라, 추상적인 개념을 측정 가능한 구체적인 변수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이는 연구자가 이론적 개념을 경험적으로 검증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