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커트 척도와 서스톤 척도의 차이점
#### 리커트 척도 (Likert Scale)
**리커트 척도**는 특정 진술문에 대한 응답자의 태도나 의견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이 척도는 응답자가 진술문에 얼마나 동의하는지 혹은 동의하지 않는지를 나타내는 여러 선택지를 제공합니다. 일반적으로 5점 또는 7점 척도가 사용됩니다.
**특징:**
1. **단순성:** 진술문에 대한 동의 정도를 쉽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2. **범주화:** 응답자는 각 진술문에 대해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에서 "매우 동의한다"까지의 범주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3. **평균 점수:** 개별 항목에 대한 점수를 평균내어 전체 태도를 평가합니다.
**예시:**
```python
"환경 보호는 중요하다."
1.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2. 동의하지 않는다
3. 중립이다
4. 동의한다
5. 매우 동의한다
```
#### 서스톤 척도 (Thurstone Scale)
**서스톤 척도**는 여러 진술문을 통해 응답자의 태도를 측정합니다. 이 척도는 각 진술문이 태도의 강도를 얼마나 잘 나타내는지 평가하는 전문가 그룹에 의해 사전에 점수가 부여됩니다.
**특징:**
1. **등간격 척도:** 진술문들이 태도의 강도를 균등하게 반영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2. **전문가 평가:** 전문가 그룹이 각 진술문에 점수를 부여하여 척도를 구성합니다.
3. **응답자의 점수:** 응답자가 동의하는 진술문들의 점수를 합산하여 총 점수를 산출합니다.
**예시:**
```python
1. "나는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점수: 9)
2. "나는 재활용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다." (점수: 8)
3. "나는 환경 보호를 위해 전기 사용을 줄이고 있다." (점수: 7)
4. "나는 환경 보호를 위해 자전거를 자주 이용한다." (점수: 6)
```
### 주요 차이점
1. **측정 방식:**
- **리커트 척도:** 응답자는 각 진술문에 대한 동의 정도를 표현합니다. 각 항목에 대해 독립적인 점수를 부여하며, 이 점수들을 평균내어 응답자의 태도를 평가합니다.
- **서스톤 척도:** 응답자는 여러 진술문 중에서 자신이 동의하는 진술문들을 선택하며, 각 진술문은 미리 정해진 점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수들을 합산하여 응답자의 태도를 평가합니다.
2. **진술문 점수 할당:**
- **리커트 척도:** 각 진술문에 대한 점수는 응답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됩니다.
- **서스톤 척도:** 각 진술문에 대한 점수는 전문가에 의해 사전에 부여됩니다.
3. **평균화 vs 합산:**
- **리커트 척도:** 응답자의 점수는 진술문에 대한 평균 점수로 계산됩니다.
- **서스톤 척도:** 응답자의 점수는 선택된 진술문들의 합산 점수로 계산됩니다.
### 결론
리커트 척도와 서스톤 척도는 모두 태도 측정에 사용되지만, 그 방식과 평가 방법에 차이가 있습니다. 리커트 척도는 간단하고 직관적이며, 서스톤 척도는 등간격 척도를 사용하여 태도의 강도를 더욱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