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표본오차와 표본오차 개념 설명
1. **비표본오차 (Non-Sampling Error)**:
- **정의**: 비표본오차는 표본 추출 방법과 관계없이 발생하는 오류로, 조사 설계, 조사 수행, 데이터 처리 등 다양한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체계적 오류(시스템적인 오류)로 간주됩니다.
- **예시**: 설문 조사에서 질문이 모호하거나 응답자들이 질문을 오해할 경우, 이러한 문제로 인해 비표본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표본오차 (Sampling Error)**:
- **정의**: 표본오차는 표본을 통해 모집단을 추정할 때 발생하는 오차로, 표본의 크기나 표본 추출 방법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는 무작위 표본 추출로 인한 통계적 변동성을 의미합니다.
- **예시**: 전체 인구의 평균 소득을 추정하기 위해 일부 사람들만을 조사할 때, 표본이 모집단을 완전히 대표하지 못해 발생하는 오차가 표본오차입니다.
### 각 오류 유형 설명
1. **조사자의 오류 (Interviewer Error)**:
- **정의**: 조사자가 조사 과정에서 실수를 하거나, 응답자의 답변을 잘못 기록하거나, 응답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을 할 때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 **예시**: 조사자가 응답자의 답변을 정확히 기록하지 않거나, 응답자가 편향된 답변을 하도록 유도하는 경우.
2. **표본 선정의 오류 (Sampling Error)**:
- **정의**: 표본 추출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로,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하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 이는 표본오차에 속합니다.
- **예시**: 특정 지역이나 그룹만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해 전체 모집단을 대표하지 못하는 경우.
3. **조사 설계상 오류 (Survey Design Error)**:
- **정의**: 조사 설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로, 조사 방법, 질문 구성, 조사 절차 등에 문제가 있을 때 발생합니다.
- **예시**: 설문지의 질문이 모호하거나 응답 옵션이 불충분할 경우.
4. **조사표 작성 오류 (Questionnaire Error)**:
- **정의**: 설문지 작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로, 질문의 순서, 표현, 형식 등이 응답자의 이해를 방해하거나 편향된 응답을 유도할 때 발생합니다.
- **예시**: 질문이 응답자에게 지나치게 어렵거나 혼란을 줄 때.
### 문제 이해를 위한 실제 데이터 예시
#### 연구주제: 특정 도시의 주민 만족도 조사
1. **조사자의 오류**:
- 조사자가 응답자의 답변을 정확히 기록하지 않거나, 응답자가 특정 답변을 하도록 유도한다면, 조사자의 오류로 인한 비표본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표본 선정의 오류**:
- 특정 시간대에 공원에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표본을 추출하면, 주로 여가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만 표본으로 선정될 수 있습니다. 이는 모집단을 대표하지 못하는 표본오차입니다.
3. **조사 설계상 오류**:
- 설문지에 너무 많은 질문이 포함되어 있어 응답자들이 중간에 응답을 포기하거나, 설문지의 구조가 응답자들이 이해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면, 조사 설계상 오류가 발생합니다.
4. **조사표 작성 오류**:
- 설문지에서 "주민 만족도는 얼마나 높습니까?"라는 질문이 명확하지 않고, 응답자가 어떤 기준으로 답변해야 할지 혼란스러워할 경우, 조사표 작성 오류가 발생합니다.
### 문제의 정답
비표본오차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표본 선정의 오류**입니다. 표본 선정의 오류는 표본오차에 해당하므로, 나머지 세 가지가 비표본오차의 원인이 됩니다.
이와 같은 개념을 이해하면, 연구 설계와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오류를 인식하고, 이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