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에서 제시된 "실험자료수집"에 관한 설명은 잘못되었습니다. 실험 연구에서는 개입(독립변수의 조작) 전후에 종속변수의 측정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개입의 효과를 평가합니다. 이를 사전검사(pre-test)와 사후검사(post-test)라고 합니다. 사전검사는 개입 전에 종속변수를 측정하여 기준점(baseline)을 설정하고, 사후검사는 개입 후에 같은 종속변수를 다시 측정하여 개입이 미친 영향을 평가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개입 전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합니다.
### 예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연구자가 새로운 수학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험을 설계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1. **사전검사**: 실험 시작 전, 연구자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게 수학 능력 테스트를 실시합니다. 이 테스트 결과는 개입 전 각 집단의 수학 능력 수준을 나타내며, 개입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점으로 사용됩니다.
2. **개입**: 실험집단에는 새로운 수학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에는 기존의 교육 방법을 계속 사용하게 합니다.
3. **사후검사**: 개입 기간이 끝난 후, 연구자는 다시 한번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게 동일한 수학 능력 테스트를 실시합니다. 이때의 측정 결과는 개입의 효과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4. **결과 분석**: 연구자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결과를 비교하여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이 수학 능력에 미친 영향을 분석합니다. 만약 실험집단에서 사전검사 대비 사후검사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통제집단에서는 큰 변화가 없다면, 이는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이 효과적이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예시에서 볼 수 있듯이, 실험자료수집 과정에서는 개입 전에 종속변수의 측정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설명은 잘못되었습니다. 오히려, 개입 전후의 종속변수 측정은 실험의 핵심 요소 중 하나로, 개입의 효과를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