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비교척도 구성(Comparative Scaling)과 비비교척도 구성(Non-comparative Scaling)에 대한 기본 개념과 이들이 적용되는 실제 데이터 예시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척도 구성 방법 #### 비교척도 구성 (Comparative Scaling) 비교척도 구성은 응답자가 두 개 이상의 항목을 비교하여 상대적인 순위를 매기거나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주로 응답자가 여러 옵션 중에서 상대적인 우선순위를 판단할 때 사용됩니다. **예시 1: 쌍대비교법 (Paired Comparison)** - **정의**: 응답자가 두 개의 항목을 비교하여 선호도나 중요도를 판단하는 방법입니다. - **예시**: 다양한 음료를 비교할 때, "콜라와 사이다 중 어느 것을 더 선호합니까?"와 같은 질문을 여러 쌍에 대해 반복합니다. **예시 2: 순위법 (Rank-order)** - **정의**: 응답자가 여러 항목을 순위별로 배열하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 **예시**: 여러 브랜드의 스마트폰을 순위 매기도록 하여, 가장 선호하는 브랜드부터 순서대로 나열하게 합니다. **예시 3: 고정총합법 (Constant Sum)** - **정의**: 응답자가 일정한 총합을 여러 항목에 배분하여 중요도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 **예시**: 100점을 주고, 이를 여러 상품의 중요도에 따라 나누어 점수를 부여하게 합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브랜드에 대해 100점을 나누어 주세요." #### 비비교척도 구성 (Non-comparative Scaling) 비비교척도 구성은 응답자가 하나의 항목을 독립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주로 절대적인 평가나 측정을 할 때 사용됩니다. **예시 1: 연속평정법 (Continuous Rating)** - **정의**: 응답자가 연속적인 척도 상에서 하나의 항목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 **예시**: 웹사이트 사용 경험을 평가할 때, "0에서 100까지의 점수로 평가해 주세요."와 같은 방식으로 응답하게 합니다. **예시 2: 항목평정법 (Itemized Rating)** - **정의**: 응답자가 특정 범주나 등급을 사용하여 하나의 항목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 **예시**: 만족도 조사에서 "매우 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 불만족"과 같은 범주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합니다. ### 문제의 이해를 위한 연구주제 예시 #### 연구주제: 다양한 커피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조사 1. **쌍대비교법 (Paired Comparison)**: - **예시**: "스타벅스와 커피빈 중 어느 브랜드를 더 선호하십니까?"와 같은 질문을 다양한 브랜드 쌍에 대해 반복하여 선호도를 조사합니다. 2. **순위법 (Rank-order)**: - **예시**: "다음 커피 브랜드를 선호도 순서대로 나열해 주세요."와 같은 질문으로, 응답자가 여러 브랜드를 순위 매기게 합니다. 3. **고정총합법 (Constant Sum)**: - **예시**: "100점을 기준으로 각 커피 브랜드에 대해 점수를 나누어 주세요." 예를 들어, 스타벅스 50점, 커피빈 30점, 이디야 20점 등. #### 연구주제: 웹사이트 사용자 경험 평가 1. **연속평정법 (Continuous Rating)**: - **예시**: "웹사이트 사용 경험을 0에서 100까지의 점수로 평가해 주세요." 2. **항목평정법 (Itemized Rating)**: - **예시**: "웹사이트 사용 경험에 대해 매우 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 불만족 중 하나를 선택해 주세요." ### 정답 문제에서 비교척도 구성에 해당하는 것은 다음 세 가지입니다: ㄱ. 쌍대비교법 (Paired Comparison) ㄴ. 순위법 (Rank-order) ㄷ. 고정총합법 (Constant Sum) 이 세 가지 방법은 모두 응답자가 여러 항목을 비교하여 평가하는 방식을 포함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