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탐색조사, 기술조사, 인과조사 > 과학적 연구조사를 목적에 따라 탐색조사, 기술조사, 인과조사로 분류할 때 기술조사에 해당하는 것은?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1&selection=31,0,53,2|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1]] 탐색조사에는 문헌조사, 사례조사, 전문가의견조사 등이 있다 기술조사에는 횡단조사, 종단조사가 대표적이다. --- ### 면접조사, 전화조사, 우편조사 비교 > 일반적으로 실행되는 면접조사, 전화조사, 우편조사를 비교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2&selection=7,0,23,2|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2]] - 3가지 방법 모두 개방형 질문을 활용할 수 있다. - 조사자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 것은 전화조사이다. - 복잡한 질문을 다루는 데는 면접조사가 가장 적합하다. - 익명성을 보장하려면 면접조사보다는 우편조사를 실시한다. 조사자 영향을 가장 적게 받으려면 대면을 하지 않아야 함 -> 우편조사 --- ### 검정요인 > 연구자가 검정요인 (Test factor) 을 연구에 도입하는 가장 큰 이유는? > 측정의 타당도향상 > 측정의 신뢰도 향상 > 일반화가능성의 증대 > 상관관계의 허위 여부 확인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2&selection=115,0,181,4|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2]] 연구자는 검정요인을 통해 상관관계의 허위 여부를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확인한다 --- ### 가설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은? > 하나의 사실과 다른 사실과의 관계를 잠정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이것에 대한 검증을 통해 연구자가 제기 한 문제의 해답을 내리게 되는 것이다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3&selection=16,0,53,3|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3]] - 가설 - 관찰 - 연구문제 - 인과관계 가설은 하나의 사실과 다른 사실과의 관계를 잠정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이를 검증함으로써 특정 현상에 대한 설명을 가능하게 해주어 연구자가 제기한 문제의 해답을 내린다 --- ### 관찰기법 > 관찰기법 분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3&selection=239,0,393,4|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3]] - 응답자에게 자신이 관찰된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관찰하는 것은 공개적 관찰이다. - 관찰할 내용이 미리 명확히 결정되어 준비된 표준양식에 관찰사실을 기록하는 것은 체계적 관찰이다 -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PC 방을 방문하여 이용 상황을 옆에서 직접 지켜본다면 직접 관찰이다 - 컴퓨터브랜드 선호도 조사를 위해 판매 매장과 비슷한 상황을 만들어 표본으로 선발된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을 선택하게 하여 행동을 관찰한다면 자연적 관찰이다. 관찰이 일어나는 상황이 인공적인지 여부에 따라 자연적/인위적 관찰로 나누어진다 4번은 인위적 관찰에 해당한다. 답 4번. --- ### 과학적 방법의 특징 > 다음은 과학적 방법의 특징 증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5&selection=8,0,136,3|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5]] 대통령 후보 지지율에 대한 여론조사를 여당과 야당이 동시에 실시하였다. 서로 다른 동기에 의해서 조사를 하였지만, 양쪽의 조사설계와 자료수집 과정이 객관적이라면 서로 독립적으로 조사했더라도 양쪽 당의 조사 결과는 동일해야 한다. - 검증가능성 - 상호주관성 - 재생가능성 - 논리적 일관성 상호주관성은 간주관성이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비록 연구자들이 주관을 달리할지라도 같은 방법을 사용했을 때는 같은 해석 또는 설명에 도달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2번 상호 주관성. --- ### 사회조사연구 과정 > 사회조사연구의 과정을 순서대로 잘 배열한 것은?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6&selection=6,0,142,3|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6]] - 가설형성 -> 자료수집 -> 표본선정 -> 보고서작성 - 표본선정 -> 연구문제 정립 -> 가설형성 -> 자료수집 - 연구문제 정립 -> 가설형성 -> 표본선정 -> 자료수집 - 자료수집 -> 연구문제 선정 -> 자료처리 -> 보고서작성 일반적인 과학적 연구 과정은 ‘문제의 정립 -> 가설의 구성(설정) -> 연구의 설계 -> 자료의 수집 -> 자료의 분석 • 해석 및 이용 -> 보고서 작성을 따른다. 답 3번 --- ### 좋은 가설 > 다음 중 좋은 가설이 아닌 것은?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6&selection=146,0,232,3|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6]] - 자녀 학업을 위한 가족분리는 바람직하지 않다. -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자녀의 학력도 높아진다. - 리더십 형태에 따라 직원의 직무만족도가 달라진다. - 고객만족도가 높을수록 기업의 재무적 성과가 더 높아진다. 1번은 종속변수와 독립변수의 관계에 대한 설명이 없어 가설의 형태가 아니다. --- ### 실험설계 > 실험설계를 위한 필수요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6&selection=236,0,330,3|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6]] - 통제집단과 비교집단을 함께 갖추어야 한다. - 실험대상자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무작위 배분하여야 한다. - 독립변수는 실험집단에만 투입하고 통제집단에서는 통제되어야 한다 - 독립변수의 효과를 추정하기 위해 두 집단의 종속변수 값이 비교되어야 한다. 실험설계는 기본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자극의 세 가지 요소로 이루어지며, 통제집단과 비교집단을 함께 갖출 필요는 없다. [[통제집단(Control Group)과 실험집단(Comparison Group)]] --- ### 실험연구 설계 원리 > 실험연구 설계의 원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7&selection=8,0,137,2|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7]] - 측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치를 최소화해야 한다. - 실험설계는 조사 질문에 대한 해답을 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 실험설계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인 분석 결과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서 통제과정이 중요하다. - 변수 간 인과관계를 도출한 실험 결과가 일반화되기 위해서 실험 대상들이 무작위 또는 작위적으로 추출 되어야한다. 변수 간 인과관계를 도출한 실험 결과가 일반화되기 위해서는 실험 대상들이 무작위적으로 추출되어야 한다. 작위적 추출이 틀린 말. 4번이 답. --- ### 코호트 조사 > 특정한 시기에 태어났거나 동일 시점에 특정 사건을 경험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조사하는 방법은?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7&selection=325,0,426,4|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7]] 사례조사 패널조사 코소트 조사 전문가의견조사 코호트 조사는 일정 기간 어떤 한정된 부분 모집단의 변화를 연구하는 것으로서 특정 경험을 같이하는 사람들이 가지는 특성들에 대해 두 번 이상의 다른 시기에 걸쳐서 비교, 연구하는 방법이다. --- ### 직접관찰 간접관찰 > 직접 관찰과 간접 관찰을 분류하는 기준으로 맞는 것은?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8&selection=7,0,77,5|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8]] - 상황이 인공적인지 여부 - 의사결정 문제의 확정 여부 - 관찰시기와 행동발생의 일치 여부 - 응답자가 관찰사실을 아는지 여부 관찰시기가 행동발생과 일치하는가 여부에 따라 직접, 간접 관찰로 나누어진다. [[직접관찰과 간접관찰 예시]] --- ### 자료수집방법 > 자료수집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8&selection=81,0,211,4|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8]] - 비반응성 자료수집 : 연구 대상의 반응성 오류를 피할 수 있다. - 대인면접설문 : 방문 조사원에 의해 보충적인 자료가 수집될 수 있댜 - 우편설문 : 원래 표본으로 추출된 응답자가 응답하지 않을 수 있다. - 실험자료수집 : 개입을 제공하기 전에는 종속변수의 측정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답. 4. 실험자료수집. 개입 전에 종속변수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개입 후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두 값의 비교를 통해 종속변수의 변화 정도를 확인한다 [[실험설계 관련 사전검사 및 사후검사 개념]] --- ### 우편조사와 면접조사 > 우편조사와 비교했을 때, 면접조사가 가지는 장점이 아닌 것은?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8&selection=215,0,332,3|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8]] - 응답률이 높다. - 응답자에게 익명성에 대한 확신을 부여할 수 있다. - 응답자와 그 주변의 상황들을 직접 관찰할 수 있다. - 민감하지 않은 질문은 보다 신뢰성 있는 대답을 얻을 수 있다. 정답 2번. 우편조사는 응답자가 조사지를 다시 발송할 때 주소를 기재하지 않는 등의 방법으로 익명성을 높일 수 있다. 반면 면접조사는 조사자와 응답자를 직접 조사하는 방법이므로 응답자의 익명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면접조사 시 신뢰성 있는 대답을 얻을 수 있는 이유]] --- ### 사회과학 연구목적 > 사회과학적 연구의 일반적인 연구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9&selection=149,0,335,4|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9]] - 사건이나 상황을 예측 (Prediction) 하는 것이다. - 사건이나 현상을 설명 (Explanation) 하는 것이다. - 새로운 이론 (Theory)이나 가설 (Hypothesis) 을 만드는 것이다 - 사건이나 상황을 기술 또는 서술 (Description)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회과학적 연구는 현상을 탐색, 기술,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탐색**은 보통 연구 문제에 대한 사전지식이 부족하거나 개념을 보다 분명히 하는 것이고, **기술**은 현상을 정확하게 기술하는 것이 주목적이며, **설명**은 어떤 사실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인과관계를 규명하거나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다. --- ### 자료수집 사전검사 > 자료수집을 위한 사전검사에서 검토할 사항이 아닌 것은?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9&selection=339,0,443,4|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9]] - 응답에 일관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토한댜 - 보다 나은 결과를 얻기 위하여 대규모 표본조사를 실시한다. - 답 거부나 “모른다”라는 항목에 표시한 경우가 많은지 여부를 검토한댜 - 한쪽으로 치우치는 응답이 나오거나 질문순서의 변화에 따른 반응의 변화를 검토한다. 소규모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잘못된 문항을 수정하거나 삭제 • 추가한다. 대규모 표본조사를 하지 않는다. 답 2번. --- ### 가설 특징 > 가설의 특징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11&selection=5,0,40,2|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11]] - 간략성 - 명료성 - 가치중립성 - 검정가능성 가설은 명료성, 가치증립성, 한정성, 검증가능성을 갖춰야 한다. 문제가 이상하다. 가설이 간략성을 갖출 필요가 없는 것은 아니다. 명료하다면, 간략성을 갖춘 것으로 볼 수 있으니 가장 거리가 멀다고 할 수 있지만, 애매한 문제. --- ### 내용연구법 > 다음 사례가 나타내는 연구방법은?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11&selection=44,0,251,5|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11]] 폭력적 비디오 시청이 아동의 폭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아동들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한 집단에게는 폭력적인 장면이 주로 포함된 비디오를 보여주고 다른 집단에게는 서정적인 장면이 주로 포함된 비디오를 보여준 후, 일주일 동안 두 집단의 아동들이 폭력적인 행동을 얼마나 많이 하는지를 관찰하였다 - 실험법 - 설문조사법 - 사례연구법 - 내용연구법 **실험법**: 과학적 방법의 요체인 통제된 연구의 정신에 가장 충실히 하고자 하는 연구 방법으로서, 엄격히 통제된 상황에서 두 변수 사이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조사자는 외생적 요인들에 대해 의도적으로 통제하고 인위적으로 관찰조건을 조성한다. **설문조사법**: 모집단을 대상으로 추출된 표본에 대해 설문지와 같은 표준화된 조사도구를 사용하여 직접 질문함으로써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 는방법이다. **사례 연구법**: 특정 사례를 조사하여 문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그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실행하는 방법이다. --- ### 과학적 연구 특징 > 과학적 연구의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11&selection=255,0,394,3|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11]] - 과학적 연구는 논리적 (Logical) 이다 - 과학적 연구는 직관적(Intuitive) 이다. - 과학적 연구는 결정론적 (Deterministic) 이댜 - 과학적 연구는 일반화{Generalization) 를 목적으로 한댜 과학적 연구는 '이론-가설-관찰 및 검증'을 통해 규칙을 발견하고 이를 일반화하고 논리적인 이론으로 정립하는 것으로 직관적인 것과 거리가 멀다. 답 2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