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측정방법
>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을 구분할 때, 밀도 (Density)와 같이 어떤 사물이나 사건의 속성을 측정하기 위해 관련된 다른 사물이나 사건의 속성을 측정하는 것은?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12&selection=13,0,54,3|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12]]
- 추론측정
- 임의측정
- 본질측정
- A급 측정
답. 추론측정.
[[측정방법 개념_본질측정과 임의측정]]
---
### 측정 타당성
> 입사성적이 높은 사람이 회사에 대한 공현도가 매우 높고 근무성적 또한 우수하다면 입사시험이라는 측정도 구는 어떤 타당성이 높다고 할 수 있는가?
- 안면타당성 (Face Validity)
- 내용타당성 (Content Validity)
- 예측타당성 (Predictive Validity)
- 집중타당성 (Convergent Validity)
답. 예측타당성. 입사시험과 합격 후 업무수행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경우는 어떠한 행위가 일어나리라 예측한 것과 실제 대상자 또는 집단이 나타낸 행위 간의 관계를 측정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예측타당도에 해당한다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12&selection=122,0,230,3|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12]]
[[측정 타당성 종류]]
---
### 리커트 척도
> 리커트(Likert) 척도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것은?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12&selection=289,0,303,3|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12]]
- 누적척도
- 비율척도
- 단일차원척도
- 총화평정척도
리커트 척도는 실용성과 효율성이 높다고 인정되며 총화평정기법 (Summated Rating Technique) 이라고도 불린다.
[[척도의 종류와 개념]]
---
### 스타펠 척도(스테이플 척도)
다음과 같이 양극단의 상반된 수식어 대신 하나의 수식어만을 평가 기준으로 제시하는 척도는?
![[스테이플 척도 예시.jpg]]
- 리커트 척도 (Likert Scale)
- 스타펠 척도 (Staple Scale)
- 거트만 척도 (Guttman Scale)
- 서스톤 척도 (Thurstone Scale)
답. 스타펠 척도는 태도의 방항과 그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정 주제에 관련된 표현의 세트를 개발하여 양수 값과 음수 값으로 이루어진 값의 범위를 정하고, 긍정적인 태도는 앙수, 부정적인 태도는 음수로 응답할 수 있다.
[[리커트 척도와 서스톤 척도의 차이점]]
[[척도의 종류와 개념]]
---
### 측정오차
> 측정오차(Error of Measurement)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15&selection=328,0,345,3|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15]]
- 체계적 오차는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편향 (Bias)이다.
- 비체계적 오차는 상호상쇄 (Self-compensation)되는 경향도 있다.
- 비체계적 오차는 측정대상, 측정과정, 측정수단 등에 따라 일관성 없이 영향을 미침으로써 발생한다.
- 측정의 오차를 신뢰성 및 타당성과 관련지었을 때 신뢰성과 타당성은 정도의 개념이 아닌 존재 개념이다.
답. 4번. 측정의 오차를 신뢰성 및 타당성과 관련지었을 때 신뢰성과 타당성은 존재의 개념이 아닌 정도의 개념이다.
- 존재의 개념 : 있다/없다
- 정도의 개념 : 높다/낮다
[[측정오차 관련 체계적 비체계적 오차와 신뢰성 타당성 개념]]
---
### 신뢰성
>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16&selection=107,0,123,3|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16]]
- 측정항목의 수를 줄인다.
- 측정항목의 모호성을 제거한다.
- 중요한 질문의 경우 동일하거나 유사한 질문을 2회 이상 한다.
- 조사대상자가 잘 모르거나 관심이 없는 내용은 측정하지 않는다.
답. 1번. 측정항목을 보다 많이 사용한다는 것은 실제 측정치가 진실한 값에 보다 근접할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며, 이를 통해 신뢰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측정오차 관련 체계적 비체계적 오차와 신뢰성 타당성 개념#신뢰성 (Reliability)]]
---
### 비율분할법
> 다음의 예와 같이 응답자에게 한 속성의 보유 정도를 기준으로 다른 속성의 보유 정도를 판단하도록 하는 척도법은?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17&selection=8,0,39,5|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17]]
>[!예시]
>자동차 선택 시 고려하는 요인 중 자동차 가격의 중요성을 100 점이라고 한다면, 다음의 요인은 몇 점에 해 당한다고 생각하십니까?
>- 가격 100 점
>- 디자인 ( )점
>- 성능 ( )점
- 항목평정법 (Itemized Rating)
- 연속평정법 (Continuous Rating)
- 비율분할법 (Fractionation Method)
- 고정총합척도법 (Constant Sum Method)
[[평가방법별 개념과 예시 질문]]
---
### 개념 조작화
> 개념의 조작화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17&selection=268,0,280,3|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17]]
- 실증주의 패러다임에서 강조된다.
- 개념을 수량화하여 측정 가능하도록 해준다.
- 사회현상을 보편적 언어로 정의하는 과정이다.
- 추상적 세계와 경험적 세계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답. 3번. 사회현상을 보편적 언어로 정의하는 과정은 조작화가 아니라 개념화이다.
[[개념 조작화 기본 개념]]
---
### 검정변수 종류
> 두 변수 간의 관계를 보다 정확하고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밝혀주는 역할을 하는 검정변수가 아닌 것은?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18&selection=8,0,35,3|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18]]
- 예측변수 (Predictor Variable)
- 구성 변수 (Component Variable)
- 선행변수 (Antecedent Variable)
- 매개변수 (Intervening Variable)
검정변수(제 3의 변수)는 두 변수 간의 관계를 보다 정확하고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밝혀주는 역할을 한다.
- 구성변수: 포괄적 개념을 구성하는 하위 변수이다.
- 선행변수: 인과관계에서 독립변수에 앞서면서 독립변수에 유효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변수이다.
- 매개변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에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나 두 변수의 중간에서 매개자 역할을 하여 두 변수 간에 간접적인 관계를 맺도록 하는 변수이다.
[[검정변수 관련 개념 이해]]
>[!주의]
>이 문제는 오류가 좀 많았다. 그런데, 검정변수가 제3의 변수라는 점을 고려해서, 예측변수가 답인 경우가 많은 것 같다. 예측변수는 독립변수로도 불리며, 독립변수가 실험에서 쓰이는 용어라면 예측변수는 사회조사에서 회귀식에서 많이 쓰인다.
---
### 인과적 관계 검정요인
> 인과적 관계의 검정요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18&selection=413,0,423,3|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18]]
- 외적변수 (Extraneous Variable)
- 매개변수 (Intervening Variable)
- 선행변수 (Antecedent Variable)
- 잠재변수 (Latent Variable)
해설. 검정요인의 종류에는 외적변수, 매개변수, 선행변수, 구성변수, 억제변수, 왜곡변수가 있다.. 답 4번.
[[인과적 관계 검정 요인]]
---
### 측정수준
> 축구선수의 등번호를 표현하는 측정 수준은?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19&selection=8,0,16,4|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19]]
- 명목 수준의 측정
- 비율 수준의 측정
- 등간 수준의 측정
- 서열 수준의 측정
답. 명목수준. 명목수준의 측정은 대상 자체 또는 그 특징에 대해 명목상의 아름을 부여하는 것이다. 측, 측정 대상을 유사성과 상이성에 따라 구분하고, 구문된 각 집단 또는 카테고리에 숫자나 부호 또는 명칭을 부여하는 것이다. 축구선수 등번호는 명칭이나 부호로서의 의미만 지닐 뿐이므로 명목수준의 측정에 해당한다.
---
### 비율척도
> 비율척도로서 의미를 가진다고 보기 어려운 것은?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19&selection=118,0,128,3|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19]]
- A 드라마의 시청률이 20%이고, B 드라마의 시청률이 10%라면, A 드라마의 시청률이 B 드라마보다 2배 높다.
- A 자동차가 시속 100km로 달리고, B 자동차는 시속 150km로 달리고 있다면, B 자동차가 A 자동차보다 1.5배 빠르다.
- A 학생이 받은 용돈이 20만 원이고 B 학생이 받은 용돈이 10만 원이라면, A 학생의 용돈이 B 학생보다 2배 많다.
- A 주전자의 온도가 섭씨 100°C이고 B 주전자의 온도가 섭씨 50°C라면, A 주전자는 B 주전자보다 2배 더 뜨겁다.
해설. 비율척도는 등간척도가 지니는 성격에 더하여 절대 ‘0’ 의 값(절대영점)을 가짐으로써 비율의 성격을 지니는 척도이다. 온도는 절대영점이 존재하지 않으며. 등간척도에 속한다.
---
### 표준오차
> 어느 검사의 신뢰도가 1 로 나왔다면 측정의 표준오차는?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19&selection=331,0,345,5|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19]]
- 0이다.
- 1이다.
- 표준편차의 제곱근과 같다.
- 검사 점수의 표준편차와 같다.
해설. 신뢰도가 1 이라는 것은 표준오차가 없다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답 "0이다."
[[표준오차 및 측정의 표준오차]]
[[신뢰도 검사 방법]]
---
### [[개념화 과정]]
> 개념을 경험적 수준으로 구체화하는 과정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20&selection=7,0,21,3|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20]]
>[!보기]
>A. 조작적 정의
>B. 개념적 정의
>C. 변수의 측정
- A -> B -> C
- C -> A -> B
- B -> A -> C
- C -> B -> A
답. BAC 순서.
---
### 척도구성방법
> 척도 구성 방법을 비교척도 구성 (Comparative Scaling)과 비비교척도 구성 (Non-comparative Scaling)으로 구분할 때 비교척도 구성에 해당하는 것은?
[[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pdf#page=21&selection=7,0,58,3|Ocr22년 01회 기출문제 사회조사분석사 2급, page 21]]
>[!보기]
>ㄱ. 쌍대비교법 (Paired Comparison)
ㄴ. 순위법 (Rank-order)
ㄷ. 고정총합법 (Constant Sum)
ㄹ. 연속평정법 (Continuous Rating)
ㅁ. 항목평정법 (Itemized Rating)
- ㄹ, ㅁ
- ㄱ, ㄴ, ㄷ
- ㄱ, ㄴ, ㄷ, ㄹ, ㅁ
- ㄱ, ㄴ, ㅁ
해설 | 척도구성방법. 답 2번,
- 비교척도구성 : 쌍대비교법, 순위법 고정총합법, 비율분할법 등
- 비바교척도구성 : 단일평정법, 연속평정법, 항목평정법 등
[[척도구성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