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당도와 신뢰도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 측정값은 참값, 확률오차, 체계오차의 합과 같다
- 측정오차는 체계오차의 부분도 포함하는데 이는 신뢰도와 관계가 있다
- 확률오차 = 0, 체계오차 ≠ 0인 경우, 측정도구는 타당하지만 신뢰할 수 없다
- 체계오차 = 0, 확률오차 ≠ 0인 경우, 측정도구는 신뢰할 수 있지만 타당하지 않다
#### 해설
이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에 대한 기본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타당도와 신뢰도는 연구에서 측정 도구가 얼마나 정확하고 일관되게 측정하는지를 평가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 기본 개념
1. **타당도(Validity)**:
- 측정 도구가 실제로 의도한 대상을 얼마나 잘 측정하는지를 의미합니다.
- **예:** 시험이 학생들의 학업 능력을 얼마나 잘 평가하는지.
2. **신뢰도(Reliability)**:
- 측정 도구가 일관되게 결과를 산출하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 **예:** 동일한 조건에서 반복 측정했을 때 동일한 결과를 도출하는지.
3. **측정값(Measured Value)**:
- 실제 측정에서 얻어진 값으로, 참값(True Value), 확률오차(Random Error), 체계오차(Systematic Error)의 합으로 구성됩니다.
- **공식:** 측정값 = 참값 + 확률오차 + 체계오차
4. **확률오차(Random Error)**:
- 무작위로 발생하는 오차로, 측정의 일관성을 해치지만 평균적으로는 0이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예:** 응답자가 설문지 질문을 오해하거나 무작위로 응답하는 경우.
5. **체계오차(Systematic Error)**:
- 일관되게 반복되는 오차로, 측정 도구나 방법의 문제로 인해 발생합니다.
- **예:** 측정 도구가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편향된 결과를 제공하는 경우.
### 실제 데이터 예시
#### 연구 주제: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평가
1. **타당도 예시**:
- 시험이 학생들의 실제 학업 능력을 평가하는지.
- 예: 시험 문항이 교육과정의 내용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확인.
2. **신뢰도 예시**:
- 동일한 시험을 여러 번 실시했을 때 동일한 결과가 나오는지.
- 예: 동일한 학생들에게 동일한 시험을 여러 번 시행하여 결과의 일관성을 확인.
### 선택지 분석
1. **측정값은 참값, 확률오차, 체계오차의 합과 같다**:
- 맞습니다. 측정값은 참값, 확률오차, 체계오차의 합으로 구성됩니다.
2. **측정오차는 체계오차의 부분도 포함하는데 이는 신뢰도와 관계가 있다**:
- 틀렸습니다. 측정오차는 체계오차와 확률오차 모두를 포함합니다. 체계오차는 타당도와 관계가 있으며, 신뢰도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습니다. 신뢰도는 주로 확률오차와 관련이 있습니다.
3. **확률오차 = 0, 체계오차 ≠ 0인 경우, 측정도구는 타당하지만 신뢰할 수 없다**:
- 틀렸습니다. 체계오차가 있는 경우 측정도구는 타당하지 않습니다. 즉, 측정이 일관되게 잘못된 값을 산출할 수는 있지만, 참값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않습니다.
4. **체계오차 = 0, 확률오차 ≠ 0인 경우, 측정도구는 신뢰할 수 있지만 타당하지 않다**:
- 틀렸습니다. 체계오차가 없고 확률오차만 있는 경우, 측정 도구는 타당할 수 있지만 신뢰도가 낮습니다. 즉, 측정도구가 참값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지만, 반복 측정 시 결과가 일관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올바른 설명
- 측정값은 참값, 확률오차, 체계오차의 합과 같다.
- 측정오차는 체계오차와 확률오차 모두를 포함하며, 신뢰도는 주로 확률오차와 관련이 있다.
- 확률오차 = 0, 체계오차 ≠ 0인 경우, 측정도구는 타당하지 않다.
- 체계오차 = 0, 확률오차 ≠ 0인 경우, 측정도구는 타당하지만 신뢰할 수 없다.
따라서,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측정값은 참값, 확률오차, 체계오차의 합과 같다"**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