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KDD 분석 절차 중 분석 목적에 맞는 변수를 찾고 데이터 차원을 축소하는 과정은? ① 데이터셋 선택(Selection) ② 데이터 전처리(Processing) ③ 데이터 변환(Transformation) ④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정답: 3 출처: [[02 데이터분석준전문가모의고사(ADsP) 2회.pdf]] ### 문제의 출제 의도 이 문제는 KDD(Knowledge Discovery in Databases) 분석 절차 중 특정 단계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출제되었습니다. KDD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으로 여러 단계를 포함합니다. 이 문제는 데이터 차원을 축소하고 분석 목적에 맞는 변수를 찾는 과정이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려는 것입니다. ### 주요 개념 1. **KDD(지식 발견 과정)**: KDD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용한 정보를 발견하는 전체 과정을 의미하며, 여러 단계를 포함합니다. - **데이터셋 선택(Selection)**: 분석을 위해 적절한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입니다. - **데이터 전처리(Processing)**: 데이터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결측값 처리, 이상치 제거 등 데이터를 정제하는 단계입니다. - **데이터 변환(Transformation)**: 데이터를 분석 목적에 맞게 변형하는 단계로, 데이터 차원 축소, 변수를 선택하는 과정이 포함됩니다. -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실제로 데이터를 분석하여 패턴을 찾는 단계입니다. ### 보기 설명 1. **데이터셋 선택(Selection)** - 분석에 사용할 데이터셋을 선택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를 식별하고 선택합니다. - **부적절한 선택입니다.** 2. **데이터 전처리(Processing)** - 데이터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를 정제하는 과정입니다. 결측값 처리, 이상치 제거 등이 포함됩니다. - **부적절한 선택입니다.** 3. **데이터 변환(Transformation)** - 데이터를 분석 목적에 맞게 변형하는 과정으로, 여기에는 데이터 차원 축소, 변수 선택, 데이터 정규화 등이 포함됩니다. 분석 목적에 맞는 변수를 찾고 데이터 차원을 축소하는 과정이 이 단계에 해당합니다. - **적절한 선택입니다.** 4.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 데이터를 분석하여 유용한 패턴이나 규칙을 발견하는 과정입니다. 데이터 변환 이후의 단계로, 실제 분석 작업을 수행합니다. - **부적절한 선택입니다.** ### 정답: 3 **데이터 변환(Transformation)** 데이터 변환은 분석 목적에 맞는 변수를 찾고 데이터 차원을 축소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데이터셋 선택, 데이터 전처리, 데이터 마이닝 단계와 달리, 데이터 변환 단계에서 데이터를 분석 목적에 맞게 변형하고 필요한 변수를 선택하여 차원을 축소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데이터 변환(Transformation)**입니다. --- 16. 마스터 플랜 수립 시점에서 데이터 분석의 지속적인 적용과 확산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① Process ② System ③ Organization ④ Data Resource 정답: 4 출처: [[02 데이터분석준전문가모의고사(ADsP) 2회.pdf]] ### 문제의 출제 의도 이 문제는 데이터 분석의 지속적인 적용과 확산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를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출제되었습니다. 거버넌스 체계는 데이터 분석 활동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구조와 프로세스를 정의합니다. 이 문제를 통해 수험생이 데이터 분석 거버넌스 체계의 구성 요소를 명확히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려고 합니다. ### 주요 개념 1. **거버넌스 체계 (Governance Framework)**: 데이터 분석의 지속적인 적용과 확산을 위해 필요한 관리 체계입니다. 이는 데이터의 품질, 보안, 일관성 등을 유지하며, 데이터 분석 활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Process (프로세스)**: 데이터 분석 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절차와 방법입니다. - **System (시스템)**: 데이터 분석을 지원하는 기술적 인프라와 도구들입니다. - **Organization (조직)**: 데이터 분석 활동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조직 구조와 역할입니다. - **Data Resource (데이터 자원)**: 데이터 그 자체로, 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입니다. 그러나 이는 거버넌스 체계의 구성 요소라기보다는 분석의 대상입니다. ### 보기 설명 1. **Process (프로세스)** - 데이터 분석 활동을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실행하는 절차와 방법입니다. 거버넌스 체계의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 **적절한 구성 요소입니다.** 2. **System (시스템)** - 데이터 분석을 지원하는 기술적 인프라와 도구들입니다. 데이터 분석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인 구성 요소입니다. - **적절한 구성 요소입니다.** 3. **Organization (조직)** - 데이터 분석 활동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조직 구조와 역할을 정의합니다. 데이터 분석 거버넌스 체계의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 **적절한 구성 요소입니다.** 4. **Data Resource (데이터 자원)** - 데이터 자원은 분석의 기초 자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거버넌스 체계의 구성 요소라기보다는 데이터 분석의 대상입니다. - **부적절한 구성 요소입니다.** ### 정답: 4 **Data Resource (데이터 자원)** 데이터 자원은 데이터 분석의 기초 자료로 매우 중요하지만, 거버넌스 체계의 구성 요소는 아닙니다. 거버넌스 체계는 데이터 분석 활동을 관리하고 운영하기 위한 구조와 절차를 정의하는 것이며, 데이터 자원 자체는 그 체계의 대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Data Resource (데이터 자원)** 입니다. --- 9. 분석 마스터 플랜을 수립할 때 적용 범위 및 방식에 대한 고려요소가 아닌 것은? ① 분석데이터 적용 수준 ② 업무최적화 적용 수준 ③ 기술 적용 수준 ④ 투입 비용 수준 정답: 4 출처: [[05 제36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Screenshot 2024-08-03 at 12.24.34.png]] ### 문제의 출제 의도 이 문제는 분석 마스터 플랜을 수립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출제되었습니다. 분석 마스터 플랜은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필요한 계획을 포함하며, 이를 수립할 때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 문제를 통해 수험생이 분석 마스터 플랜의 구성 요소와 그 중요성을 명확히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려고 합니다. ### 주요 개념 1. **분석 마스터 플랜**: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종합 계획입니다. 이는 데이터 분석의 적용 범위, 방식, 기술, 업무 최적화 등을 포함합니다. - **분석 데이터 적용 수준**: 분석에 사용할 데이터의 범위와 수준을 결정합니다. - **업무 최적화 적용 수준**: 데이터 분석을 통해 업무 프로세스를 얼마나 최적화할지 결정합니다. - **기술 적용 수준**: 데이터 분석에 사용할 기술의 범위와 수준을 결정합니다. - **투입 비용 수준**: 프로젝트에 투입되는 비용을 결정합니다. 이는 중요한 고려 요소이지만, 적용 범위와 방식에 직접적인 관련은 없습니다. ### 보기 설명 1. **분석 데이터 적용 수준** - 분석에 사용할 데이터의 범위와 수준을 결정하는 요소입니다. 분석 마스터 플랜의 중요한 고려 요소입니다. - **적절한 고려 요소입니다.** 2. **업무 최적화 적용 수준** - 데이터 분석을 통해 업무 프로세스를 얼마나 최적화할지 결정하는 요소입니다. 분석 마스터 플랜의 중요한 고려 요소입니다. - **적절한 고려 요소입니다.** 3. **기술 적용 수준** - 데이터 분석에 사용할 기술의 범위와 수준을 결정하는 요소입니다. 분석 마스터 플랜의 중요한 고려 요소입니다. - **적절한 고려 요소입니다.** 4. **투입 비용 수준** - 프로젝트에 투입되는 비용을 결정하는 요소입니다. 이는 중요한 고려 요소이지만, 적용 범위와 방식에 직접적인 관련은 없습니다. - **부적절한 고려 요소입니다.** ### 정답: 4 **투입 비용 수준** 투입 비용 수준은 프로젝트의 경제적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이지만, 분석 마스터 플랜의 적용 범위 및 방식에 대한 직접적인 고려 요소는 아닙니다. 따라서 **투입 비용 수준**은 적절하지 않은 고려 요소입니다. --- 16. 분석 마스터 플랜의 세부 이행계획 수립 시 고려해야 할 데이터 분석체계(분석 방법론)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① 데이터 분석 체계는 이해도가 높은 폭포수 모델이 가장 적절하다. ② 반복적인 정련 방식은 데이터 수집 및 확보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③ 프로토타입(Prototype) 모델은 데이터 분석체계로는 적절하지 못하다. ④ 프로젝트의 세부 일정계획도 데이터 분석체계를 고려하여 작성한다. 정답: 4 출처: [[05 제36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이윤우 설명: 2번이 아닌 이유는, 수집 및 확보 단계 뿐만 아니라 분석도 포함해야 하기 때문이라는 거다. 문제가 애매하긴 하다. ![[Screenshot 2024-08-03 at 12.35.31.png]] ### 문제의 출제 의도 이 문제는 분석 마스터 플랜의 세부 이행계획 수립 시 고려해야 할 데이터 분석 체계(분석 방법론)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출제되었습니다. 데이터 분석 체계는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한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 문제를 통해 수험생이 데이터 분석 방법론의 적절한 선택과 그 활용 방식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합니다. ### 주요 개념 1. **데이터 분석 체계(분석 방법론)**: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절차와 방법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수집, 분석, 결과 도출 등의 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폭포수 모델(Waterfall Model)**: 순차적으로 단계를 진행하는 방법론입니다. 이해하기 쉽지만, 유연성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 **반복적인 정련 방식(Iterative Refinement)**: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점진적으로 개선하는 방식입니다. - **프로토타입 모델(Prototype Model)**: 초기 버전을 빠르게 만들어 피드백을 받고 개선하는 방식입니다. 2. **세부 일정 계획**: 데이터 분석 체계를 고려하여 프로젝트의 일정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각 단계를 체계적으로 진행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보기 설명 1. **데이터 분석 체계는 이해도가 높은 폭포수 모델이 가장 적절하다.** - 폭포수 모델은 이해하기 쉽지만,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의 특성상 유연성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 **부적절한 설명입니다.** 2. **반복적인 정련 방식은 데이터 수집 및 확보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 반복적인 정련 방식은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점진적으로 개선하는 방식입니다. 데이터 수집 뿐만 아니라 분석 과정도 포함됩니다. - **부분적으로 적절하지만, 완전한 설명은 아닙니다.** 3. **프로토타입(Prototype) 모델은 데이터 분석체계로는 적절하지 못하다.** - 프로토타입 모델은 데이터 분석체계로 적절합니다. 초기 버전을 빠르게 만들어 피드백을 받고 개선하는 방식이 데이터 분석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 **부적절한 설명입니다.** 4. **프로젝트의 세부 일정계획도 데이터 분석체계를 고려하여 작성한다.** - 프로젝트의 일정 계획은 데이터 분석 체계를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각 단계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적절한 설명입니다.** ### 정답: 4 **프로젝트의 세부 일정계획도 데이터 분석체계를 고려하여 작성한다.** 프로젝트의 세부 일정 계획은 데이터 분석 체계를 고려하여 작성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각 단계를 체계적으로 진행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이 가장 적절합니다. --- 9. 마스터 플랜 수립 과정에서 데이터 분석 과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때 고려하는 요소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기술 적용 수준 ② 비즈니스 성과 및 ROI ③ 실행 용이성 ④ 전략적 중요도 정답: 1 ![[Screenshot 2024-08-03 at 12.24.34.png]] [[06 제37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 03. 아래의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는? ``` 기업 및 공공기관에서는 시스템의 중장기 로드맵을 정의하기 위한 ( )(을)를 수행한다. ( )(은)는 정보 기술 또는 정보시스템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조직 내·외부 환경을 분석하여 기회나 문제점을 도출하고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시스템 구축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등 중장기 마스터플랜을 수립하는 절차이다. ( ) ``` 정답: ISP [[06 제37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