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분석은 분석의 대상(What) 및 분석의 방법(How)에 따라 4가지 분석 주제로 나눌 수 있다. 분석의 대상이 명확하게 무엇인지 모르면서 기존 분석 방법으로 새로운 분석을 수행하는 방식의 분석 주제 유형은 무엇인가? ① 최적화(Optimization) ② 통찰(Insight) ③ 솔루션(Solution) ④ 발견(Discovery) 정답: 2 출처: [[01 데이터분석준전문가모의고사(ADsP) 1회.pdf]] 13. 분석 과제를 발굴하기 위한 접근법 중 하향식 접근방법의 과정이 아닌 것은? ① 기업의 내/외부 환경을 포함하는 비즈니스 모델과 외부 사례를 기반으로 문제를 탐색한다. ② 기업 내부의 과거 데이터를 무조건 결합 및 활용한다. ③ 식별된 비즈니스 문제를 데이터의 문제로 변환하여 정의한다. ④ 도출된 분석 문제가 가설에 대한 대안을 과제화하기 위해 타당성을 평가한다. 정답: 2 출처: [[01 데이터분석준전문가모의고사(ADsP) 1회.pdf]] 14. 분석기회 발굴의 범위 중 시장니즈 탐색 관점에서 고객 니즈의 변화에 해당하는 것이 아닌 것은? ① 고객 ② 채널 ③ 영향자들 ④ 대체재 정답: 4 출처: [[01 데이터분석준전문가모의고사(ADsP) 1회.pdf]] 17. 다음 중 분석 과제 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분석 아이디어 발굴, 분석과제 후보제안, 분석과제 확정 프로세스는 과제 발굴 단계에 속해 있다. ② 분석과제로 확정되면 분석 과제를 풀(Pool)로 관리한다. ③ 분석과제 중에 발생된 시사점과 분석 결과물은 풀(Pool)로 관리하고 공유된다. ④ 과제 수행 단계에서는 팀 구성, 분석과제 선별, 분석과제 진행관리, 결과 공유 프로세스가 있다. 정답: 2 출처: [[01 데이터분석준전문가모의고사(ADsP) 1회.pdf]] 19. 다음 중 분석 기회 발굴의 범위 확장시 경쟁자 확대 관점으로 보았을 때 포함되는 영역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대체재 ② 경쟁자 ③ 경쟁 채널 모델 ④ 신규 진입자 정답: 3 출처: [[01 데이터분석준전문가모의고사(ADsP) 1회.pdf]] 13. 다음 중 난이도와 시급성을 고려하였을 때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분석 과제로 적절한 것은? ① 난이도 : 쉬움(Easy), 시급성 : 현재 ② 난이도 : 어려움(Difficult), 시급성 : 미래 ③ 난이도 : 쉬움(Easy), 시급성 : 미래 ④ 난이도 : 어려움(Difficult), 시급성 : 현재 정답: 1 출처: [[04 제35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43. 문제가 주어지고 이에 대한 해법을 찾기 위하여 각 과정이 체계적으로 단계화되어 수행하는 분석 과제 발굴 방식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 정답: 하향식 접근 방식 출처: [[04 제35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10. 분석 과제 발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분석해야 할 대상이 명확하다면 상향식 접근 방식이 적절하다. ② 하향식 접근 방식은 문제가 주어지고 이에 대한 해법을 찾기 위하여 각 과정이 체계적으로 단계화되어 수행한다. ③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상향식 접근 방식의 유용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④ 하향식 사고 프로세스는 분석 과제 발굴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정답: 1 [[06 제37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