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일차원적 분석을 통해서도 해당 부서나 업무 영역에서는 상당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 중 업무 영역과 분석 사례의 연결이 가장 부적절한 것은? ① 마케팅관리 - 상점과 가게 위치 선정 ② 재무관리 - 거래처 선정 ③ 공급체인 관리 - 적정 재고량 결정 ④ 인력관리 - 이직 인력 예측 정답: 2 출처: [[02 데이터분석준전문가모의고사(ADsP) 2회.pdf]] ### 문제의 출제 의도 이 문제는 일차원적 분석이 각 부서나 업무 영역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그리고 그 효과를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출제되었습니다. 일차원적 분석은 비교적 단순한 데이터 분석 기법으로, 특정 부서나 업무 영역에서 실질적인 효과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수험생이 업무 영역과 분석 사례의 적절한 연결을 명확히 이해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려고 합니다. ### 주요 개념 1. **일차원적 분석**: 간단한 분석 기법을 통해 특정 데이터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복잡한 다차원 분석에 비해 단순하지만, 특정 부서나 업무 영역에서는 유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2. **업무 영역과 분석 사례**: - **마케팅 관리**: 고객 위치, 상점 위치 등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마케팅 전략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 **재무 관리**: 재무 상태, 거래 내역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거래처를 선정하거나 재무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 **공급체인 관리**: 재고 수준, 주문 내역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적정 재고량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 **인력 관리**: 직원 이직률, 만족도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직 가능성을 예측하고 인력 관리를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 보기 설명 1. **마케팅 관리 - 상점과 가게 위치 선정** - 마케팅 관리에서는 상점과 가게의 위치를 선정하기 위해 인구 통계, 교통량, 경쟁 상황 등의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 **적절한 연결입니다.** 2. **재무 관리 - 거래처 선정** - 재무 관리에서는 주로 재무 상태, 거래 내역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거래처의 신용도와 재무 건전성을 평가합니다. 거래처 선정은 구매 관리나 영업 관리에서 더 적합한 업무입니다. - **부적절한 연결입니다.** 3. **공급체인 관리 - 적정 재고량 결정** - 공급체인 관리에서는 주문 내역, 판매 데이터, 재고 수준 등을 분석하여 적정 재고량을 결정합니다. - **적절한 연결입니다.** 4. **인력 관리 - 이직 인력 예측** - 인력 관리에서는 직원 만족도, 근무 시간, 성과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직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 **적절한 연결입니다.** ### 정답: 2 **재무 관리 - 거래처 선정** 재무 관리는 주로 재무 상태, 거래 내역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거래처의 신용도와 재무 건전성을 평가합니다. 거래처 선정은 구매 관리나 영업 관리에서 더 적합한 업무이므로, 재무 관리와 거래처 선정의 연결은 부적절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재무 관리 - 거래처 선정**입니다. --- 13.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활용한 과제 발굴 영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업무 : 제품 및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 운영하는 내부 프로세스 및 주요 자원 관련 도출 ② 제품 : 생산 및 제공하는 제품·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관련 주제 도출 ③ 고객 : 제품·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및 고객, 이를 제공하는 채널의 관점에서 관련 주제 도출 ④ 규제와 감사 : 분석을 수행하는 시스템 영역 및 이를 운영·관리하는 시스템의 관점에서 주제 도출 정답: 4 출처: [[02 데이터분석준전문가모의고사(ADsP) 2회.pdf]] ### 문제의 출제 의도 이 문제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활용하여 과제를 발굴하는 다양한 영역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출제되었습니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는 비즈니스 모델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분석하기 위한 도구로, 이를 통해 다양한 과제와 주제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를 통해 수험생이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의 구성 요소와 각 요소에서 도출할 수 있는 과제를 명확히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려고 합니다. ### 주요 개념 1.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비즈니스 모델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분석하기 위한 도구로, 9개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핵심 활동 (Key Activities)**: 제품 및 서비스를 생산하고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주요 활동과 내부 프로세스를 의미합니다. - **핵심 자원 (Key Resources)**: 비즈니스를 운영하고 가치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자원입니다. - **가치 제안 (Value Propositions)**: 고객에게 제공하는 제품 및 서비스의 가치를 의미합니다. - **고객 세그먼트 (Customer Segments)**: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및 고객을 의미합니다. - **채널 (Channels)**: 고객에게 제품 및 서비스를 전달하는 경로를 의미합니다. - **규제와 감사**: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에는 직접적으로 포함되지 않는 요소로, 분석 시스템 및 운영 관리 시스템과 관련된 주제입니다. ### 보기 설명 1. **업무 : 제품 및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 운영하는 내부 프로세스 및 주요 자원 관련 도출** -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의 핵심 활동과 핵심 자원 요소에 해당합니다. - **적절한 설명입니다.** 2. **제품 : 생산 및 제공하는 제품·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관련 주제 도출** -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의 가치 제안 요소에 해당합니다. - **적절한 설명입니다.** 3. **고객 : 제품·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및 고객, 이를 제공하는 채널의 관점에서 관련 주제 도출** -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의 고객 세그먼트와 채널 요소에 해당합니다. - **적절한 설명입니다.** 4. **규제와 감사 : 분석을 수행하는 시스템 영역 및 이를 운영·관리하는 시스템의 관점에서 주제 도출** - 규제와 감사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의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의 핵심 구성 요소가 아닌, 외부 요소에 해당합니다. - **부적절한 설명입니다.** ### 정답: 4 **규제와 감사 : 분석을 수행하는 시스템 영역 및 이를 운영·관리하는 시스템의 관점에서 주제 도출** 규제와 감사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의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포함되지 않으며, 이는 외부 요소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활용한 과제 발굴 영역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절합니다. --- 14. 분석 과제를 도출하기 위한 상향식 접근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상향식 접근방식의 데이터 분석은 비지도 학습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② 분석적으로 사물을 인식하려는 'Why'관점에서 접근한다. ③ 인과관계로부터 상관관계분석으로의 이동이라는 변화를 만들어냈다. ④ 사물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는 'What'관점에서 접근한다. 정답: 2 출처: [[02 데이터분석준전문가모의고사(ADsP) 2회.pdf]] ### 문제의 출제 의도 이 문제는 상향식 접근방식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출제되었습니다. 상향식 접근방식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 과제를 도출하는 방법으로, 데이터에서부터 출발하여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수험생이 상향식 접근방식의 특징과 그 방법론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고 있는지 확인하려고 합니다. ### 주요 개념 1. **상향식 접근방식 (Bottom-Up Approach)**: 데이터에서 출발하여 분석 과제를 도출하는 방법입니다. 주로 데이터를 탐색하고, 패턴을 찾고, 이를 바탕으로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합니다. - **비지도 학습 (Unsupervised Learning)**: 상향식 접근방식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법으로, 데이터에 레이블이 없는 상태에서 패턴을 찾고 그룹화하는 학습 방법입니다. - **What 관점**: 데이터를 있는 그대로 인식하고, 그 데이터를 통해 분석 과제를 도출하는 방법입니다. - **Why 관점**: 상향식 접근방식보다는 주로 하향식 접근방식에서 사용되며, 문제의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해결책을 찾는 방법입니다. - **상관관계 분석**: 데이터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방법으로, 인과관계 분석에서 상관관계 분석으로의 이동을 의미합니다. ### 보기 설명 1. **상향식 접근방식의 데이터 분석은 비지도 학습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 상향식 접근방식에서는 비지도 학습 방법을 통해 데이터를 탐색하고 패턴을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 - **적절한 설명입니다.** 2. **분석적으로 사물을 인식하려는 'Why'관점에서 접근한다.** - 'Why' 관점은 주로 하향식 접근방식에서 사용됩니다. 상향식 접근방식은 주로 데이터를 있는 그대로 인식하는 'What' 관점에서 출발합니다. - **부적절한 설명입니다.** 3. **인과관계로부터 상관관계분석으로의 이동이라는 변화를 만들어냈다.** - 상향식 접근방식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인사이트를 도출합니다. 이는 인과관계 분석에서 상관관계 분석으로의 이동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 **적절한 설명입니다.** 4. **사물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는 'What'관점에서 접근한다.** - 상향식 접근방식은 데이터를 있는 그대로 인식하고, 그 데이터를 통해 분석 과제를 도출하는 'What' 관점에서 출발합니다. - **적절한 설명입니다.** ### 정답: 2 **분석적으로 사물을 인식하려는 'Why'관점에서 접근한다.** 상향식 접근방식은 주로 데이터를 있는 그대로 인식하고, 그 데이터를 통해 분석 과제를 도출하는 'What' 관점에서 출발합니다. 'Why' 관점은 주로 하향식 접근방식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 15. 분석과제의 주요 관리 영역이 아닌 것은? ① Data Size ② Data Complexity ③ Speed ④ Analytic & Accessibility 정답: 4 출처: [[02 데이터분석준전문가모의고사(ADsP) 2회.pdf]] ### 문제의 출제 의도 이 문제는 데이터 분석과제의 주요 관리 영역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출제되었습니다. 데이터 분석과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주요 영역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수험생이 데이터 분석과제 관리의 핵심 요소를 명확히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려고 합니다. ### 주요 개념 데이터 분석과제 관리의 주요 영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Data Size**: 데이터의 크기는 분석의 복잡성에 영향을 미치며, 데이터의 저장, 처리, 관리에 필요한 자원과 비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2. **Data Complexity**: 데이터의 복잡성은 데이터의 구조, 다양성, 관계 등을 포함하며, 분석의 난이도와 필요한 분석 기법을 결정합니다. 3. **Speed**: 데이터 처리 속도는 분석 결과를 얼마나 빠르게 도출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며, 실시간 분석이나 빠른 의사결정이 필요한 경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4. **Analytic & Accessibility**: 데이터의 분석 가능성과 접근성은 데이터가 얼마나 쉽게 분석될 수 있으며, 필요한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지를 의미합니다. ![[데이터 분석과제 관리의 주요 영역.png]] ### 보기 설명 1. **Data Size** - 데이터의 크기는 분석의 복잡성, 자원 요구사항, 비용 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 **적절한 관리 영역입니다.** 2. **Data Complexity** - 데이터의 구조와 다양성, 관계 등은 분석의 난이도와 필요한 기법을 결정합니다. - **적절한 관리 영역입니다.** 3. **Speed** - 데이터 처리 속도는 분석 결과의 도출 시간과 관련이 있으며, 특히 실시간 분석이 필요한 경우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 **적절한 관리 영역입니다.** 4. **Analytic & Accessibility** - 데이터의 분석 가능성과 접근성은 데이터 분석의 편의성과 관련이 있지만, 관리 영역의 핵심 요소로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 **부적절한 관리 영역입니다.** ### 정답: 4 **Analytic & Accessibility** 데이터의 분석 가능성과 접근성은 데이터 분석의 편의성과 관련이 있지만, 분석과제의 주요 관리 영역으로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주요 관리 영역은 주로 데이터의 크기, 복잡성, 처리 속도 등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Analytic & Accessibility**가 분석과제의 주요 관리 영역으로 부적절합니다. --- 17. 기업의 데이터 분석 수준을 진단하는 과정에서 기업에 필요한 6가지 분석 구성요소를 갖추고 있고, 현재 부분적으로 도입되어 지속적인 확산이 필요한 기업들을 분석 수준을 포트폴리오 사분면으로 정의한다면 어디에 해당하는가? ① 준비형 기업 ② 도입형 기업 ③ 정착형 기업 ④ 확산형 기업 정답: 4 출처: [[02 데이터분석준전문가모의고사(ADsP) 2회.pdf]] ![[Pasted image 20240807140649.png]] ### 주요 개념 기업의 데이터 분석 성숙도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나뉩니다: 1. **준비형 기업 (Pre-Adoption)**: 데이터 분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아직 데이터 분석 기술이나 프로세스를 도입하지 않은 초기 단계의 기업입니다. 2. **도입형 기업 (Adoption)**: 데이터 분석 기술이나 프로세스를 부분적으로 도입한 기업으로, 분석 활동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3. **정착형 기업 (Established)**: 데이터 분석 기술이나 프로세스가 정착되어 있으며, 분석 활동이 조직 전반에 걸쳐 일관되게 이루어지고 있는 기업입니다. 4. **확산형 기업 (Expanding)**: 데이터 분석 기술이나 프로세스가 이미 도입되어 있으며, 이를 더욱 확산시키고 고도화하는 단계의 기업입니다. 지속적인 확산과 개선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 보기 설명 1. **준비형 기업 (Pre-Adoption)** - 데이터 분석 기술이나 프로세스를 도입하지 않은 초기 단계의 기업입니다. - **부적절한 설명입니다.** 2. **도입형 기업 (Adoption)** - 데이터 분석 기술이나 프로세스를 부분적으로 도입한 기업으로, 분석 활동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부적절한 설명입니다.** 3. **정착형 기업 (Established)** - 데이터 분석 기술이나 프로세스가 정착되어 있으며, 분석 활동이 조직 전반에 걸쳐 일관되게 이루어지고 있는 기업입니다. - **부적절한 설명입니다.** 4. **확산형 기업 (Expanding)** - 데이터 분석 기술이나 프로세스가 이미 도입되어 있으며, 이를 더욱 확산시키고 고도화하는 단계의 기업입니다. 지속적인 확산과 개선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 **적절한 설명입니다.** ### 정답: 4 **확산형 기업 (Expanding)** 기업의 데이터 분석 구성요소를 갖추고 있으며, 현재 부분적으로 도입되어 지속적인 확산이 필요한 상태는 **확산형 기업 (Expanding)** 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기업은 이미 데이터 분석 기술과 프로세스를 도입했으며, 이를 더욱 확산하고 고도화하는 단계에 있습니다. --- 19. 분석 과제를 발굴하기 위한 접근법 중 상향식 접근방식의 특징으로 올바른 것은? ① 타당성 검토의 과정을 거치며 경제적, 데이터 및 기술적 타당도 등이 있다. ② 일반적으로 상향식 접근 방식의 데이터 분석은 지도학습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③ Design thinking 중 Ideate 단계에 해당한다. ④ 인사이트 도출한 후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통해서 수정하며 문제를 도출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정답: 4 출처: [[02 데이터분석준전문가모의고사(ADsP) 2회.pdf]] ### 주요 개념 및 보기 설명 1. **타당성 검토 (Feasibility Review)** - 이는 주로 하향식 접근방식에서 사용되는 특징입니다. 경제적, 데이터 및 기술적 타당도를 검토하여 프로젝트의 가능성을 평가합니다. - **부적절한 설명입니다.** 2. **지도학습 방법 (Supervised Learning)** - 상향식 접근방식은 주로 비지도 학습 방법을 사용합니다. 비지도 학습은 데이터에서 패턴을 찾고 그룹화를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 **부적절한 설명입니다.** 3. **Design Thinking 중 Ideate 단계** - Design Thinking의 Ideate 단계는 창의적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과정으로, 상향식 접근방식의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 **부적절한 설명입니다.** 4. **반복적인 시행착오 (Iterative Process)** - 상향식 접근방식의 특징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거치는 것입니다. - **적절한 설명입니다.** ### 정답: 4 **인사이트 도출한 후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통해서 수정하며 문제를 도출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상향식 접근방식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통해 수정하는 특징을 가집니다. --- 20. 다음 분석 성숙도 모델의 설명 중 다른 단계는 무엇인가? ① 분석 COE 조직 운영 ② 전문 담당분석에서 수행 ③ 분석기법 도입 ④ 관리자가 분석 수행 정답: 1 출처: [[02 데이터분석준전문가모의고사(ADsP) 2회.pdf]] ![[분석 성숙도 모델.png]] --- 10. 아래의 분석과제 관리를 위한 5가지 주요 영역의 내용 중 옳은 것은? 가) 분석과제 관리를 위한 5가지 주요 영역은 Size, Complexity, Speed, Analytic Complexity, Accuracy & Precision이다. 나) 초기 데이터의 확보와 통합 뿐만 아니라 해당 데이터에 잘 적응될 수 있는 분석 모델의 선정을 고려해야 한다. 다) Precision은 모델을 지속적으로 반복했을 때의 편차의 수준으로서 정확도를 의미한다. 라) 분석 모델의 정확도와 복잡도는 트레이드 오프(Trade-Off)관계가 존재한다. ① 가 ② 가, 나 ③ 가, 나, 다 ④ 가, 나, 다, 라 정답: 4 출처: [[03 제34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 주요 개념 및 보기 설명 1. **Size, Complexity, Speed, Analytic Complexity, Accuracy & Precision** - 분석과제 관리를 위한 주요 영역으로, 데이터의 크기(Size), 복잡성(Complexity), 처리 속도(Speed), 분석 복잡성(Analytic Complexity), 정확도 및 정밀도(Accuracy & Precision) 등이 포함됩니다. - **적절한 설명입니다.** 2. **초기 데이터의 확보와 통합, 분석 모델 선정** - 초기 데이터의 확보와 통합뿐만 아니라, 해당 데이터에 잘 적응될 수 있는 분석 모델의 선정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는 데이터 분석의 필수적인 단계입니다. - **적절한 설명입니다.** 3. **Precision의 의미** - Precision은 모델을 지속적으로 반복했을 때의 편차의 수준을 의미하며, 정확도를 나타냅니다. 이는 모델의 반복 수행 시 일관성을 나타냅니다. - **적절한 설명입니다.** 4. **정확도와 복잡도의 트레이드 오프** - 분석 모델의 정확도와 복잡도는 트레이드 오프 관계가 존재합니다. 복잡한 모델일수록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지만, 과적합(overfitting)의 위험이 있으며, 단순한 모델은 일반화 능력이 높지만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 **적절한 설명입니다.** - --- 17. 자료의 특징이나 분포를 한 눈에 보기 쉽도록 시각화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다음 중 상자 그림(box plot)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① 자료의 크기 순서를 나타내는 5가지 통계량(최소값, 최대값, 1사분위수, 중앙값, 3사분위값)을 이용하여 시각화하는 방법이다. ② 이상치를 판단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③ 사분위수를 한 눈에 볼 수 있다. ④ 자료의 범위를 개략적으로 알 수 있다. 정답: 2 출처: [[03 제34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 11. 분석 마스터 플랜 수립에서 과제 우선순위 결정과 관련된 내용으로 부적절한 것은? ① 가치는 투자비용 요소이다. ② 전략적 중요도, ROI, 실행 용이성은 분석 과제 우선순위 결정에 고려할 사항이다. ③ 시급성과 전략적 필요성은 전략적 중요도의 평가 요소이다. ④ 적용 기술의 안전성 검증은 기술 용이성의 평가 요소이다. 정답: 1 출처: [[04 제35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Screenshot 2024-08-03 at 12.24.34.png]] ### 주요 개념 및 보기 설명 분석 마스터 플랜 수립 시 과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는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 요소들은 프로젝트의 성공과 효과적인 자원 배분을 위해 중요합니다. 1. **가치는 투자비용 요소이다.** - 가치는 분석 과제가 조직에 제공할 수 있는 잠재적인 이익이나 효과를 의미합니다. 이는 투자비용과는 구별되는 개념입니다. 투자비용은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의미합니다. - **부적절한 설명입니다.** 2. **전략적 중요도, ROI, 실행 용이성은 분석 과제 우선순위 결정에 고려할 사항이다.** - 분석 과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때 전략적 중요도, 투자 대비 수익(Return on Investment, ROI), 그리고 실행 용이성은 중요한 고려 요소입니다. - **적절한 설명입니다.** 3. **시급성과 전략적 필요성은 전략적 중요도의 평가 요소이다.** - 전략적 중요도를 평가할 때 시급성과 전략적 필요성은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 두 가지 요소는 분석 과제의 긴급성과 조직의 전략적 목표 달성에 얼마나 필요한지를 평가합니다. - **적절한 설명입니다.** 4. **적용 기술의 안전성 검증은 기술 용이성의 평가 요소이다.** - 기술 용이성을 평가할 때 적용 기술의 안전성 검증은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는 분석 과제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이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지를 평가합니다. - **적절한 설명입니다.** --- 14. 아래에서 설명하는 데이터 분석 조직 구조로 가장 적절한 것은? 분석 조직 인력을 현업 부서에 배치하여 분석 업무를 수행하는 형태로서, 전사 차원에서 분석 과제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여 수행할 수 있고, 분석 결과를 신속하게 실무에 적용할 수 있다. ① 집중 구조 ② 기능 구조 ③ 분산 구조 ④ 합착 구조 정답: 3 출처: [[04 제35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데이터 분석 조직 구조.png]] - **합착 구조 (Hybrid Structure)** - 중앙 집중 구조와 분산 구조를 결합한 형태입니다. 일부 분석 인력은 중앙에 집중 배치하고, 일부는 각 부서에 배치하여 혼합형 구조로 운영됩니다. 이 구조는 중앙의 일관된 전략과 각 부서의 신속한 실행을 모두 가능하게 합니다. - **부적절한 설명입니다.** --- 44. 아래에서 설명하는 데이터 분석 조직 구조는 무엇인가? 전사 분석업무를 별도의 분석 전담 조직에서 담당 전략적 중요도에 따라 분석과제의 우선순위를 정해서 진행 가능 현업 업무부서의 분석업무와 이중화/이원화 가능성 높음 ( ) 정답: 집중 구조 출처: [[04 제35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10. 다음 중 분석 수준 진단의 대상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분석 성과에 대한 조사 ② 분석 업무 수행에 대한 조사 ③ 분석 인력 및 조직에 대한 조사 ④ 분석 인프라에 대한 조사 정답: 1 출처: [[05 제36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11. 다음 중 분석 정의서에 대한 정의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분석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기록한 문서 ② 분석의 범위, 분석 방법, 난이도 등의 분석 과정을 기록한 문서 ③ 분석 방법에 대한 절차와 장단점을 기록한 문서 ④ 분석 방법에 대한 내용을 기록한 문서 정답: 2 출처: [[05 제36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12. 분석 기획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실제 분석을 수행하기에 앞서 분석 과제를 정의한다. ② 분석 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과제를 적절히 관리하는 방안을 수립한다. ③ 성공적인 분석 계획을 도출하기 위한 중요한 사전 작업이다. ④ 상황적 분석은 분석 기획에서 가장 탐색적 데이터 분석을 포함한다. 정답: 4 출처: [[05 제36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15. 분석 성숙도 모델 구성에서 고려하는 분석 성숙도 진단 부문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비즈니스 부문 ② 기업 문화 부문 ③ 조직, 역량 부문 ④ IT 부문 정답: 2 출처: [[05 제36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04. 아래의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는? ROI(Return On Investment) 요소를 고려하여 데이터 분석 과제에 대한 우선순위 평가 기준을 정의할 때, 전략적 중요도에 따라 ( )을/를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 ) 정답: 시급성 출처: [[05 제36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13. 데이터 분석 기획 단계에서 수행하는 주요 태스크(task)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필요 데이터의 정의 ② 프로젝트 범위 설정 ③ 프로젝트 정의 ④ 위험 식별 정답: 1 [[06 제37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