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효과적인 분석 모델 개발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사항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① 분석모델이 예측할 수 없는 위험을 살피기 위해 현실세계로 돌아보고 분석을 경험과 세상에 대한 통찰력과 함께 활용한다.
② 가정들과 현실의 불일치에 대해 끊임없이 고찰하고 모델의 능력에 대해 항상 의구심을 가진다.
③ 분석의 객관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분석 모델에 포함된 가정과 해석 개입 등의 한계를 고려한다.
④ 넓은 시각에서 모델 범위 바깥의 요인들을 판단할 수 있도록 가능한 많은 과거 상황 데이터를 모델에 포함한다.
정답: 4
출처: [[01 데이터분석준전문가모의고사(ADsP) 1회.pdf]]
10. 아래의 SQL 함수 중 그룹함수를 적용해서 나온 결과값 중 원하는 조건에 부합하는 자료만 산출할 때 사용하는 함수는?
① WHERE
② ORDER
③ GROUP BY
④ HAVING
정답: 4
출처: [[01 데이터분석준전문가모의고사(ADsP) 1회.pdf]]
### 주요 개념 및 보기 설명
1. **WHERE 절**
- WHERE 절은 SQL 쿼리에서 행을 필터링하는 데 사용됩니다. 그룹화되기 전에 행을 필터링할 때 사용됩니다.
- **부적절한 설명입니다.**
2. **ORDER BY 절**
- ORDER BY 절은 SQL 쿼리에서 결과를 정렬하는 데 사용됩니다. 그룹화된 데이터나 필터링된 데이터를 정렬할 때 사용됩니다.
- **부적절한 설명입니다.**
3. **GROUP BY 절**
- GROUP BY 절은 SQL 쿼리에서 데이터를 그룹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특정 열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그룹화하여 그룹 함수(예: SUM, AVG 등)를 적용할 수 있게 합니다.
- **부적절한 설명입니다.**
4. **HAVING 절**
- HAVING 절은 그룹화된 데이터에 대한 조건을 필터링하는 데 사용됩니다. 그룹 함수가 적용된 결과에 대해 조건을 지정할 때 사용합니다.
- **적절한 설명입니다.**
---
12. 다음 중 성공적인 분석을 위해서 고려해야 할 요소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① 분석 데이터에 대한 고려
② 활용 가능한 유즈케이스 탐색
③ 원점에서 솔루션 탐색
④ 장애 요소에 대한 사전 계획 수립
정답: 3
출처: [[01 데이터분석준전문가모의고사(ADsP) 1회.pdf]]
18. 다음 데이터 분석 조직의 유형 중 별도의 분석 조직이 없고 해당 업무부서에서 분석을 수행하는 방식에 해당하는 것은?
① 기능형
② 분산형
③ 복합형
④ 집중형
정답: 1
출처: [[01 데이터분석준전문가모의고사(ADsP) 1회.pdf]]
---
20. 다음 중 분석 과제 발굴 중 틀린 것은?
① 다자인 사고는 상황식 접근방식과 하향식 접근방식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의사결정 방식이다.
② 상향식 접근방식의 데이터 분석은 비지도 학습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③ 하향식 접근법은 사물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는 'What'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
④ 하향식 접근법은 문제탐색, 문제정의, 해결안탐색, 타당성검토의 순서로 진행된다.
정답: 3
출처: [[01 데이터분석준전문가모의고사(ADsP) 1회.pdf]]
---
12. 데이터 분석 방법론 중 CRISP-DM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996년 유럽연합의 ESPRIT에서 있었던 프로젝트에서 시작되어 SPSS, NCR, Daimler Chrysler 등이 참여하였다.
② 각 단계는 폭포수 모델처럼 구성되어 있다.
③ 모델링 과정에서 데이터셋이 추가로 필요한 경우 데이터 준비 단계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④ CRISP-DM은 계층적 프로세스 모델로서 4레벨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 2
출처: [[02 데이터분석준전문가모의고사(ADsP) 2회.pdf]]
CRISP-DM (Cross-Industry Standard Process for Data Mining)은 데이터 마이닝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표준 방법론입니다. CRISP-DM은 데이터 분석 및 데이터 마이닝 프로세스를 구조화하여 단계별로 실행할 수 있게 합니다. 각 단계는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으며, 필요한 경우 반복 수행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 보기 설명
1. **1996년 유럽연합의 ESPRIT에서 있었던 프로젝트에서 시작되어 SPSS, NCR, Daimler Chrysler 등이 참여하였다.**
- CRISP-DM은 1996년 유럽연합의 ESPRIT 프로젝트에서 시작되었으며, SPSS, NCR, Daimler Chrysler 등의 기업이 참여하여 개발되었습니다.
- **적절한 설명입니다.**
2. **각 단계는 폭포수 모델처럼 구성되어 있다.**
- CRISP-DM은 각 단계가 유연하게 반복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폭포수 모델처럼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만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이전 단계로 돌아가 반복 수행할 수 있습니다.
- **부적절한 설명입니다.**
3. **모델링 과정에서 데이터셋이 추가로 필요한 경우 데이터 준비 단계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 모델링 과정에서 데이터셋이 추가로 필요하면 데이터 준비 단계를 반복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는 CRISP-DM의 유연성을 나타내는 특징 중 하나입니다.
- **적절한 설명입니다.**
4. **CRISP-DM은 계층적 프로세스 모델로서 4레벨로 구성되어 있다.**
- CRISP-DM은 계층적 프로세스 모델로, 일반적으로 6단계(비즈니스 이해, 데이터 이해, 데이터 준비, 모델링, 평가, 배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단계는 더 세분화될 수 있습니다.
- **적절한 설명입니다.**
---
01. 다음 중 빅데이터 분석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① 더 많은 정보가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하는 것은 아니다.
② 비즈니스 핵심에 대해 보다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통찰력을 줄 수 있는 데이터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③ 빅데이터 과제와 관련된 주된 걸림돌은 비용이 아니다.
④ 데이터가 커질수록 분석에 많이 사용되고 이것이 경쟁우위를 가져다주는 원천이다.
정답: 4
출처: [[03 제34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09. 다음 중 하향식 접근법의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① 문제분석 단계에서는 발생하는 가치에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세부적인 구현 및 솔루션에 초점을 둔다.
② 분석 역량을 확보하였으며, 기존의 분석 기법 및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전문업체 Sourcing이 필요하다.
③ 타당성 검토 단계에서는 복잡한 문제이기 때문에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 조합이 필요하다.
④ 분석 유즈 케이스는 분석 기회를 구체적인 제로 만들고 난 뒤에 표기한다.
정답: 3
출처: [[03 제34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11. 하향식 데이터 분석기획에서 문제 탐색 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① 빠짐없이 문제를 도출하고 식별하는 것이 중요.
②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발생하는 가치에 중점을 두는 것이 중요.
③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는 문제 탐색 도구로 활용
④ 문제 탐색은 유즈케이스 활용보다는 새로운 이슈 탐색이 우선
정답: 4
출처: [[03 제34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12. 기업의 데이터 분석과제 수행을 위한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분석 준비도(Readiness)를 파악하게 된다. 다음 중 데이터 분석 준비도 프레임워크에서 분석 업무 파악 영역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① 최적화 분석 업무
② 업무별 적확한 분석 기법
③ 예측 분석 업무
④ 발생한 사실 분석 업무
정답: 2
출처: [[03 제34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13. 다음 중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 중 시스템 구현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시스템 구현단계에는 설계 및 구현, 시스템 테스트 및 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② 시스템 설계서를 바탕으로 BI 패키지를 활용하거나 새롭게 프로그램 코딩을 통하여 시스템을 구축한다.
③ 정보 보호 및 시스템 성능은 시스템 구현 단계에 해당된다.
④ 정보보안영역과 코딩은 시스템 구현 단계에서 주요 고려사항이다.
정답: 4
출처: [[03 제34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15. 다음 중 데이터 분석 과제에서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① 분석 과제는 분석 전문가의 상상력을 요구하므로 일정을 제한하는 일정계획은 적합하지 못하다.
② 분석 과제는 많은 위험이 있어 사전에 위험을 식별하고 대응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③ 분석 과제는 적용되는 알고리즘에 따라 범위가 변할 수 있어 범위관리가 중요하다.
④ 분석 과제에 다양한 데이터를 확보하는 경우가 있어 조달관리가 또한 중요하다.
정답: 1
출처: [[03 제34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13. 분석 대상은 명확하지만, 분석 방식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 수행하는 분석 주체의 유형으로 적절한 것은?
① 발견(Discovery)
② 통찰(Insight)
③ 최적화(Optimization)
④ 솔루션(Solution)
정답: 4
출처: [[05 제36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14. 분석 과제의 특성 중 정확도(Accuracy)와 정밀도(Precision)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분석의 안정성 측면에서는 정확도가 중요하며, 활용적인 측면에서는 정밀도가 중요하다.
② 정확도는 모델과 실제결과의 차이를 평가한다.
③ 정밀도는 모델을 지속적으로 반복했을 때 편차의 수준으로서, 일관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제시한다.
④ 정확도와 정밀도는 Trade-Off 관계인 경우가 많다.
정답: 1
출처: [[05 제36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14. 아래의 괄호 안에 들어갈 과제 도출 방식으로 적절한 것은?
![[Screenshot 2024-08-02 at 22.10.26.png]]
① 최적화 → 발견 → 발산
② 발견 → 통찰 → 발산
③ 최적화 → 솔루션 → 수렴
④ 솔루션 → 발견 → 수렴
정답: 2
[[06 제37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04. 아래에서 설명하는 데이터 분석 방법론 적용 모델은?
```
진화적 프로세스 모델의 하나로 일부분을 먼저 개발하여 제공한 후 그 결과를 통해 개선하는 모델
( )
```
정답: 프로토타입 모델
[[06 제37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