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분석 프로젝트 영역별 주요 관리 항목이 아닌 것은?
① 품질
② 시간
③ 가격
④ 자원
정답: 3
출처: [[01 데이터분석준전문가모의고사(ADsP) 1회.pdf]]
18. 다음 중 분석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① 분석 프로젝트 관리는 프로젝트관리 지침(KSA ISO 21500:2013)을 가이드로 활용할 수 있다.
② 데이터 분석 모델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서 SPICE를 활용할 수 있다.
③ 분석 프로젝트의 일정계획 수립 시 데이터 수집에 대한 철저한 통제와 관리가 필요하다.
④ 분석 프로젝트의 최종 결과물의 분석 보고서 형태 또는 시스템인지에 따라 프로젝트 관리에 차이가 있다.
정답: 3
출처: [[02 데이터분석준전문가모의고사(ADsP) 2회.pdf]]
14. 다음 중 분석과제 정의서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분석 수행기구
② 데이터 수집 난이도
③ 상세 알고리즘
④ 분석결과 검증 오너십
정답: 3
출처: [[03 제34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15. 다음 중 데이터 분석 과제에서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① 분석 과제는 분석 전문가의 상상력을 요구하므로 일정을 제한하는 일정계획은 적합하지 못하다.
② 분석 과제는 많은 위험이 있어 사전에 위험을 식별하고 대응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③ 분석 과제는 적용되는 알고리즘에 따라 범위가 변할 수 있어 범위관리가 중요하다.
④ 분석 과제에 다양한 데이터를 확보하는 경우가 있어 조달관리가 또한 중요하다.
정답: 1
출처: [[03 제34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15. 분석 과제 발굴의 상향식 접근법에서 프로세스 분석을 통한 절차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분석 요건 정의 → 분석 요건 식별 → 프로세스 분류 → 프로세스 흐름 분석
② 분석 요건 식별 → 프로세스 흐름 분석 → 프로세스 분류 → 분석 요건 정의
③ 프로세스 흐름 분석 → 프로세스 분류 → 분석 요건 정의 → 분석 요건 식별
④ 프로세스 분류 → 프로세스 흐름 분석 → 분석 요건 식별 → 분석 요건 정의
정답: 4
출처: [[04 제35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16. 다음 중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의 분석 기획 단계에서 프로젝트 위험 대응 계획을 수립할 때 예상되는 위험에 대한 대응 방법의 구분으로 부적절한 것은?
① 회피(Avoid)
② 관리(Manage)
③ 완화(Mitigate)
④ 수용(Accept)
정답: 2
출처: [[04 제35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16. 기업의 분석 성숙도 진단 대상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비즈니스 부문
② 조직·역량 부문
③ IT 부문
④ 서비스 부문
정답: 4
[[06 제37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