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다음 개인정보 비식별화 기술 중 아래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개인정보의 주요 식별요소를 다른 값으로 대체하여 개인 식별을 어렵게 만드는 기술 ① 가명처리(Pseudonymization) ② 데이터삭제(Data Reduction) ③ 법규화(Data Suppression) ④ 데이터마스킹(Data Masking) 정답: 1 출처: [[02 데이터분석준전문가모의고사(ADsP) 2회.pdf]] ### 문제의 출제 의도 이 문제는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가 개인정보 비식별화 기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가지고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 출제되었습니다. 개인정보 비식별화 기술은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중요한 개념으로, 데이터 분석과 활용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요소입니다. 이 문제를 통해 수험생이 다양한 비식별화 기술의 정의와 사용 목적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합니다. ### 주요 개념 1. **개인정보 비식별화**: 개인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식별할 수 없도록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이는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도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2. **가명처리(Pseudonymization)**: 개인정보의 주요 식별 요소를 다른 값으로 대체하여 개인을 직접적으로 식별할 수 없도록 만드는 기술입니다. 예를 들어, 이름을 고유한 코드로 대체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데이터 분석 목적 등으로 데이터를 사용하면서도 개인 식별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3. **데이터삭제(Data Reduction)**: 불필요한 데이터를 삭제하여 데이터의 양을 줄이거나 특정 정보만 남기는 방법입니다. 이는 비식별화와는 다르며, 데이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입니다. 4. **법규화(Data Suppression)**: 민감한 정보를 삭제하거나 숨기는 기술입니다. 이는 특정 데이터를 아예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비식별화하는 방법입니다. 주로 특정 데이터 항목 전체를 삭제하거나 별표 등으로 표시하여 식별할 수 없도록 합니다. 5. **데이터마스킹(Data Masking)**: 민감한 정보를 가림으로써 원본 데이터를 보호하는 기술입니다. 예를 들어, 신용카드 번호의 일부를 *로 가리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데이터 마스킹은 주로 데이터 접근 권한이 있는 내부자들에게 원본 데이터를 숨기기 위해 사용됩니다. ### 보기 설명 1. **가명처리(Pseudonymization)**: 개인정보의 주요 식별 요소를 다른 값으로 대체하여 개인을 식별할 수 없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특정인의 이름을 고유한 코드로 바꿔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2. **데이터삭제(Data Reduction)**: 불필요한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데이터의 양을 줄이는 방법입니다. 이는 비식별화보다는 데이터의 양을 줄여 관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입니다. 3. **법규화(Data Suppression)**: 민감한 정보를 삭제하거나 숨기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의 특정 부분을 아예 표시하지 않거나 별표 등으로 가리는 방식입니다. 4. **데이터마스킹(Data Masking)**: 민감한 정보를 가리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신용카드 번호의 일부를 *로 가리는 방식이 있습니다. 이는 주로 내부자들에 대한 데이터 보호를 위해 사용됩니다. ### 정답: 1 **가명처리(Pseudonymization)** 은 문제에서 설명하는 "개인정보의 주요 식별 요소를 다른 값으로 대체하여 개인 식별을 어렵게 만드는 기술"에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이는 개인을 직접적으로 식별할 수 없도록 하면서도 데이터를 분석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중요한 비식별화 기술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