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 중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역할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조직 내에서 다부서 간 협력을 통해 빅데이터의 가치를 실현한다. ② 빅데이터를 다각적으로 분석해 인사이트를 도출한다. ③ 알고리즘에 의해 부당하게 피해를 입은 사람을 구제한다. ④ 데이터를 시각화해 설득력을 높이는 방식으로 정보를 전달한다. 정답: 3 [[06 제37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 문제의 출제 의도 이 문제는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역할과 그 경계를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출제되었습니다.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는 다양한 기술적 및 비기술적 능력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고 활용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 문제를 통해 수험생이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구체적인 역할과 그에 포함되지 않는 부분을 명확히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려고 합니다. ### 주요 개념 1.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역할**: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는 데이터를 수집, 정리, 분석하여 의미 있는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전문가입니다. 이를 통해 조직의 의사결정과 전략 수립을 지원합니다. 2. **다부서 간 협력**: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는 조직 내 다양한 부서와 협력하여 데이터를 활용한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가치를 극대화합니다. 3. **빅데이터 분석**: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는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패턴, 트렌드, 인사이트를 발견합니다. 이를 통해 비즈니스 문제를 해결하고 기회를 식별합니다. 4. **데이터 시각화**: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는 복잡한 데이터를 이해하기 쉽게 시각화하여 조직 내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전달합니다. 이는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입니다. 5. **알고리즘의 사회적 영향**: 알고리즘이 잘못된 결정을 내리거나 불공정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를 직접적으로 구제하는 것은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주된 역할이 아닙니다. 이는 주로 정책 결정자나 법률 전문가의 영역에 속합니다. ### 보기 설명 1. **조직 내에서 다부서 간 협력을 통해 빅데이터의 가치를 실현한다.** -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는 다양한 부서와 협력하여 데이터를 활용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이를 통해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합니다. 이는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핵심 역할 중 하나입니다. 2. **빅데이터를 다각적으로 분석해 인사이트를 도출한다.** -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는 다양한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중요한 인사이트를 도출합니다. 이는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주요 임무입니다. 3. **알고리즘에 의해 부당하게 피해를 입은 사람을 구제한다.** - 알고리즘의 결과로 발생한 부당한 피해를 구제하는 것은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직접적인 역할이 아닙니다. 이는 법률 전문가나 정책 결정자가 주로 다루는 문제입니다. 4. **데이터를 시각화해 설득력을 높이는 방식으로 정보를 전달한다.** -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는 복잡한 데이터를 이해하기 쉽게 시각화하여 조직 내의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전달합니다. 이는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입니다. ### 정답: 3 **알고리즘에 의해 부당하게 피해를 입은 사람을 구제한다.** 이 역할은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범위를 벗어나며, 주로 법률 전문가나 정책 결정자의 역할에 해당합니다.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역할을 하지만, 알고리즘의 결과로 인한 부당한 피해를 직접적으로 구제하는 것은 그들의 역할이 아닙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