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인터넷 등 각종 경로로 정보를 수집하는 구글은 이미 지난 2010년에 서비스 이용자가 1시간 뒤에 어떤 일을 할지 87%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는 데이터와 분석 신뢰도를 확보하고 있다고 했다. 또, 여행사실을 트위터한 사람의 집을 강도가 노리는 고전적 사례도 발생했다. 이러한 사례를 통해 알 수 있는 빅데이터 시대의 위기 요인으로 적절한 것은?
① 소셜 네트워크
② 책임 원칙 훼손
③ 데이터 오용
④ 사생활 침해
정답: 4
출처: [[01 데이터분석준전문가모의고사(ADsP) 1회.pdf]]
### 문제의 출제 의도
이 문제는 빅데이터 시대의 위기 요인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출제되었습니다. 빅데이터 분석과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과 문제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문제를 통해 수험생이 빅데이터의 부작용과 그로 인한 위기 요인을 명확히 이해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려고 합니다.
### 주요 개념
1. **빅데이터의 활용과 예측 능력**: 구글과 같은 기업은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는 개인의 행동을 미리 파악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유용할 수 있지만, 동시에 여러 위기 요인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2. **위기 요인**: 빅데이터 시대에는 데이터의 오용, 사생활 침해, 책임 원칙 훼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데이터를 어떻게 수집하고 사용하느냐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들입니다.
3. **사생활 침해**: 데이터가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할 수 있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에 게시된 정보를 이용하여 범죄를 계획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 보기 설명
1. **소셜 네트워크**
- 소셜 네트워크는 빅데이터의 중요한 소스 중 하나지만, 위기 요인 자체는 아닙니다.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부적절한 설명입니다.**
2. **책임 원칙 훼손**
- 데이터 사용에 있어 책임 원칙이 훼손될 수 있는 문제를 의미합니다. 이는 중요한 문제이지만, 주어진 사례에서 직접적으로 언급된 위기 요인은 아닙니다.
- **부적절한 설명입니다.**
3. **데이터 오용**
- 데이터가 악의적으로 사용되거나 잘못된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이는 중요한 문제이지만, 주어진 사례에서 직접적으로 언급된 위기 요인은 아닙니다.
- **부적절한 설명입니다.**
4. **사생활 침해**
- 개인의 정보를 무단으로 수집하고 사용하는 경우 사생활 침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트위터에 여행 사실을 올린 사람의 집을 노리는 강도 사례는 명백한 사생활 침해 문제입니다.
- **적절한 설명입니다.**
### 정답: 4
**사생활 침해**
주어진 사례에서 트위터에 여행 사실을 올린 사람의 집을 노리는 강도 사례는 사생활 침해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사례를 통해 알 수 있는 빅데이터 시대의 위기 요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사생활 침해**입니다.
---
15. 거시적 관점의 메가 트렌드에서 현재의 조직과 해당 산업에 폭넓게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인 STEEP로 폭넓게 기회를 탐색한다. STEEP 중 Political(정치영역)의 주요 관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주요 정책 방향, 경제, 지정학적 동향 등 거시적인 흐름을 토대로 분석기회를 도출한다.
② 산업과 경제 구조 변화 동향에 따른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여 분석기회를 도출한다.
③ 정부, 사회단체, 시민사회의 환경에 관한 관심과 규제 동향을 파악하여 분석기회를 도출한다.
④ 과학, 기술, 의학 등 최신 기술의 등장 및 변화를 파악하여 분석기회를 도출한다.
정답: 1
출처: [[01 데이터분석준전문가모의고사(ADsP) 1회.pdf]]
### 문제의 출제 의도
이 문제는 거시적 관점의 메가 트렌드에서 STEEP 분석 방법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출제되었습니다. 특히, STEEP 분석의 정치영역 (Political)에 대한 이해를 확인하고자 합니다.
### 주요 개념
1. **STEEP 분석**: STEEP 분석은 거시적인 사회·경제적 요인을 분석하여 기회를 탐색하는 방법입니다. STEEP는 Social (사회), Technological (기술), Economic (경제), Environmental (환경), Political (정치) 요소를 분석합니다.
2. **Political (정치)**: 정치 영역은 정부의 주요 정책 방향, 경제 및 지정학적 동향, 규제와 법률 등의 거시적인 정치적 흐름을 분석합니다. 이는 조직과 산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 보기 설명
1. **주요 정책 방향, 경제, 지정학적 동향 등 거시적인 흐름을 토대로 분석기회를 도출한다.**
- 이는 정치 영역의 주요 관점에 해당합니다. 정부의 정책 방향, 경제 정책, 지정학적 변화 등은 정치적 요인으로서 분석 기회를 도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적절한 설명입니다.**
2. **산업과 경제 구조 변화 동향에 따른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여 분석기회를 도출한다.**
- 이는 경제 영역 (Economic)의 주요 관점입니다. 경제 구조 변화와 시장 동향은 경제적 요인으로서 분석 기회를 도출합니다.
- **부적절한 설명입니다.**
3. **정부, 사회단체, 시민사회의 환경에 관한 관심과 규제 동향을 파악하여 분석기회를 도출한다.**
- 이는 환경 영역 (Environmental)의 주요 관점입니다. 환경에 관한 관심과 규제 동향은 환경적 요인으로서 분석 기회를 도출합니다.
- **부적절한 설명입니다.**
4. **과학, 기술, 의학 등 최신 기술의 등장 및 변화를 파악하여 분석기회를 도출한다.**
- 이는 기술 영역 (Technological)의 주요 관점입니다. 최신 기술의 등장과 변화는 기술적 요인으로서 분석 기회를 도출합니다.
- **부적절한 설명입니다.**
### 정답: 1
**주요 정책 방향, 경제, 지정학적 동향 등 거시적인 흐름을 토대로 분석기회를 도출한다.**
이 설명은 정치 영역 (Political)의 주요 관점에 해당합니다. 정부의 주요 정책 방향, 경제 및 지정학적 동향은 정치적 요인으로서 분석 기회를 도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설명이 가장 적절합니다.
---
\3.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 나오는 것처럼 범죄 예측 프로그램에 의해 범행을 저지르기 전에 체포될 수도 있는 사례를 통해 알 수 있는 빅데이터 시대의 위기 요인으로 적절한 것은?
① 소셜 네트워크
② 사생활 침해
③ 데이터 오용
④ 책임 원칙 훼손
정답: 4
출처: [[02 데이터분석준전문가모의고사(ADsP) 2회.pdf]]
### 문제의 출제 의도
이 문제는 빅데이터 시대의 윤리적, 법적, 사회적 위기 요인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출제되었습니다.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와 같은 범죄 예측 프로그램은 데이터의 사용과 그로 인한 결과에 대한 윤리적 문제를 제기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기 요인을 식별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 주요 개념
1. **소셜 네트워크**: 소셜 네트워크는 개인의 데이터를 대규모로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이와 관련된 위기 요인으로는 개인정보 유출, 사생활 침해 등이 있습니다.
2. **사생활 침해**: 빅데이터를 통해 개인의 행동, 위치, 취향 등을 추적하고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의 사생활이 침해될 수 있습니다.
3. **데이터 오용**: 수집된 데이터가 원래의 목적과 다르게 사용되거나 악용되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개인 데이터를 사용하여 부당한 이익을 취하는 경우가 해당됩니다.
4. **책임 원칙 훼손**: 데이터 분석과 예측에 기반한 결정을 내릴 때, 그 결정의 책임이 모호해지거나 왜곡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범죄 예측 프로그램이 잘못된 예측을 하여 무고한 사람이 체포될 경우, 그 책임을 누가 져야 하는지 명확하지 않습니다.
### 보기 설명
1. **소셜 네트워크**
- 소셜 네트워크는 데이터 수집의 주요 경로 중 하나이지만, 빅데이터 시대의 위기 요인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아닙니다.
- **부적절한 설명입니다.**
2. **사생활 침해**
- 범죄 예측 프로그램은 개인의 행동을 예측하기 위해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므로, 사생활 침해의 위험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문제의 본질적인 위기 요인은 예측에 대한 책임의 불명확성입니다.
- **적절한 설명이지만, 본질적인 위기 요인은 아닙니다.**
3. **데이터 오용**
- 데이터가 원래의 목적과 다르게 사용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범죄 예측 프로그램에서 데이터 오용은 발생할 수 있지만, 주된 위기 요인은 책임 원칙의 훼손입니다.
- **부적절한 설명입니다.**
4. **책임 원칙 훼손**
- 범죄 예측 프로그램이 잘못된 예측을 하여 무고한 사람이 체포될 경우, 그 책임을 누가 져야 하는지가 명확하지 않습니다. 이는 빅데이터 시대의 중요한 위기 요인 중 하나입니다.
- **적절한 설명입니다.**
### 정답: 4
**책임 원칙 훼손**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와 같은 범죄 예측 프로그램은 잘못된 예측으로 인해 무고한 사람이 체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책임의 소재가 불명확해지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는 빅데이터 시대의 중요한 위기 요인으로, 책임 원칙의 훼손을 의미합니다.
---
(문제와 정답이 이상함)
05. 빅데이터 시대에 발생할 수 있는 위기요인과 예시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가) 사생활 침해: 카드사의 개인정보가 유출되어 SMS, email 등으로 관련없는 광고정보 전송
나) 책임원칙훼손: 범죄예측 프로그램에 의해 은행에서 대출자의 신용도가 무관한 부당하게 대출을 거절
다) 책임원칙훼손: 구글은 이미 서비스 이용자가 1시간 뒤에 어떤 일을 할지 87%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음
라) 데이터 오용: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글로벌하게 활용
① (가), (나)
② (나), (다)
③ (다), (라)
④ (가), (라)
정답: 4
출처: [[03 제34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
3. 다음 중 빅데이터 위기 요인 중 사생활 침해를 막기 위한 방지 기술로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
① 익명화
② 일반화
③ 정규화
④ 표준화
정답: 1
출처: [[04 제35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
7. 빅데이터 시대 위기 요인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① 데이터 오용
② 사생활 침해
③ 데이터 분석 예측
④ 책임원칙 훼손
정답: 3
출처: [[04 제35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
---
6. 빅데이터 시대 위기 요인 중 사생활 침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인 정보를 사용하는 자가 적극적인 보호 장치를 강구하게 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알고리즘 접근 허용.
② 개인정보 제공자 동의제도 도입.
③ 개인정보 사용자 책임제도 도입.
④ 사용자에게 수집된 내용 공개 및 접근권 부여.
정답: 3
출처: [[05 제36회데이터분석준전문가자격검정시험복원문제.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