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eenshot 2024-08-23 at 14.50.40.png]] 이 문제는 "도메인"과 관련된 개념을 평가하는 문제입니다. 도메인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속성(또는 칼럼)의 데이터 타입, 크기, 허용되는 값의 범위 등을 정의하는 개념입니다. 도메인은 속성의 데이터 타입을 일관되게 유지하고, 입력되는 데이터의 유효성을 보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문제의 각 선택지를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엔터티 내에서 속성에 대한 데이터 타입과 크기를 지정한다**: 도메인의 주요 기능 중 하나입니다. 도메인은 속성의 데이터 타입과 크기를 정의합니다. 2. **엔터티 내에서 속성에 대한 NOT NULL을 지정한다**: 도메인은 속성의 필수 여부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도메인은 NOT NULL 조건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3. **엔터티 내에서 속성에 대한 Check 조건을 지정한다**: 도메인은 속성의 값이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지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값의 범위나 형식에 대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4. **테이블의 속성 간 FK 제약 조건을 지정한다**: 이 선택지는 도메인의 기능과 관련이 없습니다. 외래 키(FK, Foreign Key) 제약 조건은 도메인이 아닌, 테이블 간의 관계를 정의할 때 사용됩니다. 도메인은 개별 속성의 데이터 타입과 제약 조건을 정의하는 데 집중하며, 속성 간의 관계는 테이블 수준에서 정의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도메인의 특성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4번**입니다. 이 문제의 핵심 개념은 **도메인**으로, 도메인은 속성의 데이터 타입과 크기, 제약 조건 등을 정의하지만, 테이블 간의 외래 키 제약 조건은 정의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Screenshot 2024-08-23 at 14.57.11.png]] 이 문제는 테이블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상 현상(anomaly)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을 찾는 것입니다. 테이블을 분석하고 각 선택지를 살펴보겠습니다. 테이블의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고객(PK)**: 고객 식별자 - **고객명**: 고객 이름 - **상품번호(PK)**: 상품 식별자 - **상품명**: 상품 이름 - **가격**: 상품 가격 이 테이블에서 고려할 수 있는 이상 현상으로는 삽입 이상, 갱신 이상, 삭제 이상이 있습니다. ### 각 선택지 분석: 1. **삽입이상: 상품을 주문하지 않은 고객의 정보를 삽입할 수 없다** - 이 경우, 테이블 구조상 고객이 상품을 주문하지 않으면 고객 정보를 삽입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삽입 이상의 전형적인 예시입니다. 2. **갱신이상: 스마트폰의 정보를 업데이트할 경우 유비의 스마트폰만 업데이트 하면 된다** - 이 선택지는 테이블이 비정규화된 상태(예: 제1정규형 위반)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갱신 이상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스마트폰 정보를 업데이트할 때, 동일한 상품 번호를 가지는 모든 행을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따라서 "유비의 스마트폰만 업데이트 하면 된다"는 말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3. **갱신이상: 노트북의 가격을 업데이트할 경우 관우의 노트북만 업데이트 하면 된다** - 이 선택지도 동일하게 비정규화된 상태에서의 갱신 이상을 설명합니다. 노트북의 가격을 업데이트할 때는 모든 관련된 행을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4. **삭제이상: 장비의 고객정보가 삭제되면 LEN 카드 상품의 정보도 삭제된다** - 이 경우, 고객 정보와 관련된 상품 정보가 삭제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는 삭제 이상의 예시입니다. ### 정답 도출: - 2번과 3번 선택지가 갱신 이상에 관한 설명인데, 이들 설명은 모두 테이블이 비정규화된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 하지만 **2번**의 "스마트폰 정보를 업데이트할 경우 유비의 스마트폰만 업데이트 하면 된다"는 설명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모든 스마트폰의 정보가 동일하게 갱신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2번**이 가장 적절하지 않은 설명입니다. **정답은 2번입니다.** --- ![[Screenshot 2024-08-23 at 14.57.55.png]] 이 문제는 `PROCEDURE`와 `TRIGGER`에 대한 이해를 묻고 있습니다. 두 개념 모두 데이터베이스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능이지만, 동작 방식과 사용 가능한 명령어에 차이가 있습니다. 각 선택지를 분석해보겠습니다. ### 각 선택지 분석: 1. **PROCEDURE, TRIGGER 모두 EXECUTE 명령어로 수행된다** - **PROCEDURE**는 사용자가 직접 호출할 수 있으며, 이때 `EXECUTE`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 **TRIGGER**는 특정 이벤트(예: 테이블에 데이터 삽입, 삭제, 갱신 등)가 발생할 때 자동으로 실행되며, `EXECUTE` 명령어로 직접 호출되지 않습니다. - 따라서 이 설명은 잘못된 것입니다. 2. **PROCEDURE, TRIGGER 모두 CREATE 명령어로 생성한다** - **PROCEDURE**는 `CREATE PROCEDURE` 명령어로 생성되고, **TRIGGER**는 `CREATE TRIGGER` 명령어로 생성됩니다. 이 설명은 정확합니다. 3. **PROCEDURE는 COMMIT, ROLLBACK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 **PROCEDURE** 내에서는 `COMMIT`, `ROLLBACK` 등의 트랜잭션 제어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설명도 정확합니다. 4. **TRIGGER는 COMMIT, ROLLBACK 명령어를 사용할 수 없다** - **TRIGGER** 내에서는 `COMMIT`이나 `ROLLBACK` 명령어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트리거는 이미 진행 중인 트랜잭션의 일부로 동작하기 때문에 트리거 내에서 트랜잭션을 종료하거나 되돌리는 것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이 설명은 정확합니다. ### 핵심 개념 설명: - **PROCEDURE**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자주 사용되는 작업을 묶어두고, 필요할 때마다 호출하여 실행할 수 있는 저장 프로시저입니다.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호출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EXECUTE` 명령어를 통해 실행합니다. 예를 들어, 고객의 주문을 처리하는 프로시저를 작성하고 이를 필요할 때마다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TRIGGER**는 특정한 데이터베이스 이벤트가 발생할 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입니다. 예를 들어, 주문이 삽입될 때 자동으로 재고를 차감하는 트리거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트리거는 직접 호출되지 않으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할 때 자동으로 작동합니다. - **COMMIT**과 **ROLLBACK**은 트랜잭션 제어 명령어로, 트랜잭션을 종료하거나 되돌릴 때 사용됩니다. `PROCEDURE`에서는 이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TRIGGER` 내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정답 도출: - 가장 잘못된 설명은 **1번: PROCEDURE, TRIGGER 모두 EXECUTE 명령어로 수행된다**입니다. `TRIGGER`는 자동으로 실행되며, `EXECUTE` 명령어로 직접 실행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정답은 1번입니다.** --- ![[Screenshot 2024-08-23 at 15.00.33.png]] 이 문제는 SQL에서 `ORDER BY` 절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정렬하는 방법을 묻고 있습니다. 문제의 조건에 맞게 데이터를 적절히 정렬할 수 있는 SQL 구문을 찾는 것이 핵심입니다. ### 문제의 조건: - **선수명**과 **팀명**은 **오름차순**으로 정렬해야 합니다. - **연봉**은 **내림차순**으로 정렬해야 합니다. ### 각 선택지 분석: 1. **SELECT 선수명, 팀명, 연봉 FROM PLAYER ORDER BY 선수명 DESC, 팀명 DESC, 연봉 ASC** - 이 구문에서는 `선수명`과 `팀명`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고, `연봉`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 있습니다. 이는 문제의 조건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2. **SELECT 선수명, 팀명, 연봉 FROM PLAYER ORDER BY 선수명 ASC, 팀명 ASC, 연봉** - 이 구문은 `선수명`과 `팀명`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연봉`에 대한 명시적인 정렬 조건이 없습니다. SQL에서는 명시적으로 정렬 조건을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됩니다. 따라서 이 구문은 연봉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될 가능성이 높아 문제의 조건과 맞지 않습니다. 3. **SELECT 선수명, 팀명, 연봉 FROM PLAYER ORDER BY 선수명 ASC, 팀명 ASC, 3 DESC** - 이 구문은 `선수명`과 `팀명`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 세 번째 컬럼인 `연봉`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합니다. 문제의 조건에 부합합니다. 4. **SELECT 선수명, 팀명, 연봉 FROM PLAYER ORDER BY 선수명, 팀명, DESC 연봉** - 이 구문은 `선수명`과 `팀명`을 기본적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 있지만, `DESC 연봉`은 잘못된 문법입니다. `연봉`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해야 한다는 의미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했습니다. ### 핵심 개념 설명: - `ORDER BY` 절은 SQL에서 데이터를 정렬하는 데 사용됩니다. - 기본 정렬 순서는 **오름차순(ASC)**이며,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려면 **DESC**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 여러 컬럼을 기준으로 정렬할 수 있으며, 각 컬럼에 대해 개별적으로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실제 데이터 예시: 예를 들어, `PLAYER` 테이블에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 선수명 | 팀명 | 연봉 | |-------|-------|--------| | 김철수 | 팀A | 5000 | | 박영희 | 팀B | 3000 | | 이민호 | 팀A | 7000 | | 최지훈 | 팀B | 4000 | 이 데이터를 다음과 같이 정렬하려고 합니다: 1. 선수명을 오름차순으로 2. 팀명을 오름차순으로 3. 연봉을 내림차순으로 정렬 후의 결과는 다음과 같아야 합니다: | 선수명 | 팀명 | 연봉 | |-------|-------|--------| | 김철수 | 팀A | 5000 | | 이민호 | 팀A | 7000 | | 박영희 | 팀B | 3000 | | 최지훈 | 팀B | 4000 | 이를 구현하려면 다음과 같은 SQL 구문을 사용합니다: ```sql SELECT 선수명, 팀명, 연봉 FROM PLAYER ORDER BY 선수명 ASC, 팀명 ASC, 연봉 DESC; ``` 이 구문은 `선수명`과 `팀명`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 `연봉`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합니다. ### 정답 도출: 문제에서 주어진 SQL 구문들 중에서 이 조건을 만족하는 것은 **3번**입니다. **정답은 3번입니다.** --- [[Rollup, Grouping Sets, Cube 차이]] --- ![[Screenshot 2024-08-23 at 15.22.13.png]] 주어진 문제는 SQL 쿼리의 `HAVING` 절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해당 쿼리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그룹에 대한 집계를 반환합니다. 주어진 쿼리와 테이블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 주어진 쿼리 ```sql SELECT COUNT(*) FROM SQLD_34_23 HAVING COUNT(*) > 4; ``` ### 테이블 내용 (`SQLD_34_23`) | C1 | |-----| | 1 | | 2 | | 3 | | 4 | 이 테이블에는 총 4개의 행이 있으며, `C1` 열에 각각 1, 2, 3, 4의 값이 들어 있습니다. ### 쿼리 분석 1. **`COUNT(*)`:** 이 쿼리는 테이블의 전체 행 수를 세는 데 사용됩니다. 이 경우, `COUNT(*)`의 결과는 4입니다. 2. **`HAVING COUNT(*) > 4`:** 이 절은 그룹화된 결과가 4보다 큰 경우에만 결과를 반환하도록 필터링합니다. 그러나 여기서는 `GROUP BY` 절이 없으므로 전체 테이블이 하나의 그룹으로 간주됩니다. - 현재 테이블의 행 수는 4입니다. - `HAVING` 절에서 `COUNT(*) > 4` 조건이 있습니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 결과 - **공집합이다 (0 Rows):** `HAVING` 절의 조건을 만족하는 그룹이 없기 때문에, 쿼리는 결과를 반환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결과는 공집합(0 Rows)이 됩니다. - **0:** 일부 학생들이 혼동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0`이라는 결과가 나오기 위해서는 `COUNT(*)`의 결과가 0이 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 `COUNT(*)`는 4이며, `HAVING` 조건에 의해 아무 결과도 반환하지 않으므로 `0`이 아닌 공집합이 됩니다. ### 결론 - **1번 (공집합이다, 0 Rows)**: 이 답이 올바릅니다. `HAVING COUNT(*) > 4` 조건을 만족하는 결과가 없기 때문에, 결과는 공집합이 됩니다. - **2번 (0):** 이 답은 틀린 것입니다. `0`이라는 값이 반환되려면, 쿼리 결과가 `0`이 되어야 하지만, 이 경우에는 아예 결과가 없기 때문에 공집합이 반환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1번**입니다. --- ![[Screenshot 2024-08-23 at 15.23.14.png]] 이 문제는 여러 테이블 간의 조인을 수행하면서 조건에 따라 결과가 어떻게 필터링되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쿼리를 단계별로 실행하면서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 설명하겠습니다. ### 1. 쿼리 이해 쿼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sql SELECT COUNT(*) FROM SQLD_34_26_01 T1, SQLD_34_26_02 T2, SQLD_34_26_03 T3, SQLD_34_26_04 T4 WHERE T1.COL1 = T2.COL1(+) AND T2.COL1 = T3.COL1(+) AND T3.COL1 = T4.COL1 ``` 이 쿼리는 4개의 테이블을 조인합니다. 각 조인 조건에서 `LEFT OUTER JOIN`이 사용되고 있으며, 마지막 조인은 `INNER JOIN`입니다. ### 2. 각 테이블의 데이터 각 테이블의 데이터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SQLD_34_26_01** | COL1 | |------| | 1 | | 2 | | 3 | | 4 | - **SQLD_34_26_02** | COL1 | |------| | 1 | | 2 | | 3 | | NULL | - **SQLD_34_26_03** | COL1 | |------| | 1 | | NULL | | 3 | | 5 | - **SQLD_34_26_04** | COL1 | |------| | 1 | | 2 | | 5 | | 6 | ### 3. 단계별 조인 결과 #### 3.1. T1과 T2의 조인 첫 번째 조건 `T1.COL1 = T2.COL1(+)`은 T1을 기준으로 한 LEFT OUTER JOIN입니다. | T1.COL1 | T2.COL1 | |---------|---------| | 1 | 1 | | 2 | 2 | | 3 | 3 | | 4 | NULL | - T1의 모든 행이 유지되고, T2에서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NULL이 됩니다. #### 3.2. (T1과 T2)와 T3의 조인 두 번째 조건 `T2.COL1 = T3.COL1(+)`도 T2를 기준으로 한 LEFT OUTER JOIN입니다. | T1.COL1 | T2.COL1 | T3.COL1 | |---------|---------|---------| | 1 | 1 | 1 | | 2 | 2 | NULL | | 3 | 3 | 3 | | 4 | NULL | NULL | - T1과 T2의 조인 결과를 기준으로, T3와의 조인이 수행됩니다. - 여기서, `T2.COL1`이 NULL인 경우에는 `T3.COL1`과 일치하는 값이 없기 때문에 `NULL`이 유지됩니다. #### 3.3. (T1, T2, T3)와 T4의 조인 마지막 조건 `T3.COL1 = T4.COL1`은 `INNER JOIN`입니다. | T1.COL1 | T2.COL1 | T3.COL1 | T4.COL1 | |---------|---------|---------|---------| | 1 | 1 | 1 | 1 | | 2 | 2 | NULL | NULL | | 3 | 3 | 3 | NULL | | 4 | NULL | NULL | NULL | - `INNER JOIN`이므로 `T3.COL1`과 `T4.COL1`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행이 제거됩니다. 최종 결과에서 `T1.COL1 = 1`인 행만이 모든 조건을 만족합니다. ### 4. 최종 `COUNT(*)` 결과 최종적으로 남아 있는 행은 하나이며, 그 결과는 `1`입니다. ### 결론 - 정답은 **1) 1** 입니다. +++ 이 문제에서 행이 하나만 반환되는 이유는 쿼리의 조인 조건과 `INNER JOIN`의 특성 때문입니다. 쿼리의 각 조인 조건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다시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 쿼리 다시 보기 ```sql SELECT COUNT(*) FROM SQLD_34_26_01 T1, SQLD_34_26_02 T2, SQLD_34_26_03 T3, SQLD_34_26_04 T4 WHERE T1.COL1 = T2.COL1(+) AND T2.COL1 = T3.COL1(+) AND T3.COL1 = T4.COL1; ``` ### 조인 조건 분석 1. **T1.COL1 = T2.COL1(+)** - 이 조건은 `LEFT OUTER JOIN`을 수행합니다. `T1`의 모든 행이 유지되고, `T2.COL1`과 일치하는 값을 찾습니다. 일치하지 않는 경우 `T2.COL1`에 NULL이 들어갑니다. 2. **T2.COL1 = T3.COL1(+)** - 이 조건도 `LEFT OUTER JOIN`을 수행합니다. 이번에는 `T2.COL1`이 NULL이 아닌 경우 `T3.COL1`과 일치하는 값을 찾습니다. 일치하지 않으면 `T3.COL1`에 NULL이 들어갑니다. 3. **T3.COL1 = T4.COL1** - 이 조건은 `INNER JOIN`입니다. 이 조건은 매우 중요합니다. 앞서 나온 두 조건에서 NULL이 발생한 경우, 이 조건에서 NULL을 가지고 있는 행은 모두 제외됩니다. `INNER JOIN`은 NULL 값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 조인 단계별 결과 각 조인 단계에서 어떤 행이 살아남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1. `T1`과 `T2`의 조인 결과 | T1.COL1 | T2.COL1 | |---------|---------| | 1 | 1 | | 2 | 2 | | 3 | 3 | | 4 | NULL | - `T1.COL1 = 4`에 대응하는 `T2.COL1` 값이 NULL입니다. 이 행은 나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2. `(T1, T2)`와 `T3`의 조인 결과 | T1.COL1 | T2.COL1 | T3.COL1 | |---------|---------|---------| | 1 | 1 | 1 | | 2 | 2 | NULL | | 3 | 3 | 3 | | 4 | NULL | NULL | - `T2.COL1 = 2`와 `T2.COL1 = 4`에 대응하는 `T3.COL1` 값이 각각 NULL입니다. 하지만 이 행들은 아직 살아남아 있습니다. #### 3. `(T1, T2, T3)`와 `T4`의 조인 결과 | T1.COL1 | T2.COL1 | T3.COL1 | T4.COL1 | |---------|---------|---------|---------| | 1 | 1 | 1 | 1 | | 2 | 2 | NULL | NULL | | 3 | 3 | 3 | NULL | | 4 | NULL | NULL | NULL | - `INNER JOIN`에서 `T3.COL1`과 `T4.COL1`이 동일해야 하기 때문에, `T3.COL1`이 NULL인 행은 모두 제외됩니다. - 최종적으로 남는 행은 `T1.COL1 = 1`, `T2.COL1 = 1`, `T3.COL1 = 1`, `T4.COL1 = 1`인 행 하나만 남습니다. ### 결론 `LEFT OUTER JOIN` 조건에서는 NULL 값이 포함될 수 있지만, 마지막 `INNER JOIN` 조건이 포함된 조인에서 NULL 값이 하나라도 발생하면 해당 행은 제외됩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행이 하나만 남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최종 쿼리 결과는 하나의 행만을 반환하게 되며, 이로 인해 `COUNT(*)`의 결과가 1이 됩니다. --- ![[Screenshot 2024-08-23 at 15.40.13.png]] 이 문제에서는 동일한 `NAME` 값을 가진 여러 `ID` 중에서 가장 작은 `ID`를 제외한 나머지를 삭제하려는 것입니다. ### 테이블 설명 현재 테이블 `SQLD_34_32`의 데이터는 다음과 같습니다: | ID | NAME | |----|------| | 1 | A | | 2 | A | | 1 | C | | 1 | D | | 2 | D | 이 테이블에서 `NAME`이 동일한 경우, 가장 작은 `ID`를 남겨두고 나머지 행을 삭제해야 합니다. 최종 결과는 `ID = 1`인 행만 남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가능한 쿼리 분석 1. **`SELECT MAX(ID) FROM SQLD_34_32 GROUP BY NAME`**: - 각 `NAME` 그룹에서 가장 큰 `ID`를 선택합니다. - 이 경우, 삭제되지 말아야 할 행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큰 `ID`를 선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원하는 결과와는 다릅니다. 2. **`SELECT MIN(ID) FROM SQLD_34_32 GROUP BY NAME`**: - 각 `NAME` 그룹에서 가장 작은 `ID`를 선택합니다. - 이 선택지에 있는 ID를 제외하고 삭제하면 원하는 결과가 나옵니다. 3. **`SELECT MAX(ID) FROM SQLD_34_32 GROUP BY ID`**: - 각 `ID` 그룹에서 가장 큰 `ID`를 선택합니다. 이 선택지는 현재 문제의 요구사항과 관련이 없습니다. 4. **`SELECT MIN(ID) FROM SQLD_34_32 GROUP BY ID`**: - 각 `ID` 그룹에서 가장 작은 `ID`를 선택합니다. 이 역시 문제의 요구사항과 관련이 없습니다. ### 결론 올바른 선택지는 **2번: `SELECT MIN(ID) FROM SQLD_34_32 GROUP BY NAME`**입니다. 이 쿼리는 각 `NAME` 그룹에서 가장 작은 `ID`를 선택하며, 그 `ID`들을 제외하고 나머지를 삭제함으로써 문제에서 요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Screenshot 2024-08-23 at 15.42.14.png]] 이 문제는 주어진 SQL 스크립트를 실행한 후, 제시된 SQL 명령어 중에서 어떤 것이 잘못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먼저 스크립트의 동작을 이해한 다음, 각 보기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 주어진 SQL 스크립트 ```sql CREATE TABLE 주문 ( C1 NUMBER, C2 DATE, C3 VARCHAR2(10), C4 NUMBER DEFAULT 100 ); INSERT INTO 주문(C1, C2, C3) VALUES (1, SYSDATE, 'TEST1'); ``` #### 스크립트 설명: 1. **CREATE TABLE**: - `주문`이라는 테이블을 생성합니다. 이 테이블은 `C1`, `C2`, `C3`, `C4`라는 네 개의 열을 가지고 있습니다. - `C4` 열은 기본값(`DEFAULT 100`)을 가지며, 값이 명시되지 않으면 100이 들어갑니다. 2. **INSERT INTO 주문**: - `주문` 테이블에 새로운 행을 삽입합니다. 여기서 `C1`, `C2`, `C3` 열만 명시되었고, `C4`는 명시되지 않았으므로 기본값 100이 자동으로 들어갑니다. - 삽입된 데이터는 다음과 같습니다: - `C1 = 1` - `C2 = SYSDATE` (현재 날짜와 시간) - `C3 = 'TEST1'` - `C4 = 100` (기본값) ### 각 보기 분석 1. **`INSERT INTO 주문 VALUES (2, SYSDATE, 'TEST2')`**: - `주문` 테이블에 새로운 행을 삽입하는 SQL 명령입니다. - 열 이름이 명시되지 않았으므로, 테이블의 모든 열에 대해 값을 제공해야 합니다. - 여기서는 `C1`, `C2`, `C3`에 대해서만 값이 제공되었고, `C4`에 대한 값이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 **이 구문은 잘못된 것입니다.** `C4` 열에 대한 값을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DELETE 주문`**: -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를 삭제하는 SQL 명령입니다. - `주문` 테이블에서 모든 행이 삭제됩니다. - 이 구문은 정상적인 SQL 명령입니다. 3. **`DELETE FROM 주문`**: - `DELETE 주문`과 동일하게,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를 삭제하는 SQL 명령입니다. - 이 구문도 정상적인 SQL 명령입니다. 4. **`UPDATE 주문 SET C1 = 1`**: - `주문` 테이블의 모든 행에서 `C1` 열을 1로 업데이트합니다. - 이 구문도 정상적인 SQL 명령입니다. ### 결론 제시된 보기 중 **잘못된 설명은 1번**입니다. **정답은 1번**입니다. `INSERT INTO 주문 VALUES (2, SYSDATE, 'TEST2')` 구문은 열 이름을 명시하지 않고 값을 입력하려고 했으나, `C4` 열에 대한 값이 제공되지 않아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려면 `INSERT INTO 주문 (C1, C2, C3) VALUES (2, SYSDATE, 'TEST2')`와 같이 열 이름을 명시하거나, `C4` 열에 대한 값을 함께 제공해야 합니다. --- 버리자. 어렵다. ![[Screenshot 2024-08-23 at 15.46.13.png]] 모두가 다 나와야 한다는 게 조건이다. - inner join을 하게 되면 테이블 a에는 있고 b에 없는 직원은 나오지 않는다. - left outer join을 하면, a 테이블이 전부 조회되고, 이 중에서 조인 조건에 따라 a테이블의 매니저가 b 테이블에서 , a 테이블의 매니저가 b 테이블의 직원인 ㄱ 이 문제는 직원과 그들의 관리자를 조인하여, 각 직원의 정보와 그 직원의 관리자 정보를 함께 조회하는 SQL 쿼리를 작성하는 문제입니다. 제시된 옵션 중에서 적절한 조인 방식과 조인 조건을 선택해야 합니다. ### 쿼리 구조 분석 ```sql SELECT A.EMPLOYEE_ID, A.MANAGER_ID AS A_MANAGER_ID, B.EMPLOYEE_ID AS B_EMPLOYEE_ID, B.MANAGER_ID AS B_MANAGER_ID, A.LAST_NAME FROM HR.EMPLOYEES A ( ) HR.EMPLOYEES B ON ( ) WHERE 1=1 AND A.EMPLOYEE_ID < 200 ORDER BY EMPLOYEE_ID; ``` #### 주요 요소: - **`A` 테이블**: `HR.EMPLOYEES` 테이블에서 직원의 기본 정보를 가져옵니다. - **`B` 테이블**: 같은 `HR.EMPLOYEES` 테이블에서 관리자의 정보를 가져옵니다. - **조인**: `A`와 `B`의 관계를 정의하기 위해 어떤 조인 방식과 조건을 사용해야 하는지를 선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각 선택지 분석 #### 1. **INNER JOIN, A.MANAGER_ID = B.EMPLOYEE_ID** ```sql INNER JOIN HR.EMPLOYEES B ON A.MANAGER_ID = B.EMPLOYEE_ID ``` - **설명**: 이 조인은 `A` 테이블의 `MANAGER_ID`가 `B` 테이블의 `EMPLOYEE_ID`와 일치하는 경우만 결과에 포함됩니다. 즉, `A`의 직원이 `B`의 관리자로 있는 경우만 출력됩니다. - **결과**: 모든 직원이 반드시 관리자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면, 이 조인은 적절하게 작동합니다. 하지만 관리자가 없는 직원이 있을 경우, 그 직원은 결과에서 제외됩니다. #### 2. **INNER JOIN, A.EMPLOYEE_ID = B.MANAGER_ID** ```sql INNER JOIN HR.EMPLOYEES B ON A.EMPLOYEE_ID = B.MANAGER_ID ``` - **설명**: 이 조인은 직원이 다른 직원의 관리자인 경우에만 결과를 포함합니다. 즉, `A`의 직원이 `B`의 관리자일 때만 그 관계를 보여줍니다. - **결과**: 이 경우, 모든 직원이 반드시 관리자가 아니기 때문에 일부 직원은 결과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문제의 의도와는 맞지 않습니다. #### 3. **LEFT OUTER JOIN, A.MANAGER_ID = B.EMPLOYEE_ID** ```sql LEFT OUTER JOIN HR.EMPLOYEES B ON A.MANAGER_ID = B.EMPLOYEE_ID ``` - **설명**: 이 조인은 `A` 테이블의 모든 행을 포함하되, 관리자가 없는 직원도 포함합니다. 즉, `A`의 직원이 반드시 결과에 포함되며, `B` 테이블의 정보가 없다면 `NULL`로 표시됩니다. - **결과**: 관리자가 없는 직원도 포함되어야 한다면, 이 조인은 적절한 선택입니다. #### 4. **LEFT OUTER JOIN, A.EMPLOYEE_ID = B.MANAGER_ID** ```sql LEFT OUTER JOIN HR.EMPLOYEES B ON A.EMPLOYEE_ID = B.MANAGER_ID ``` - **설명**: 이 조인은 `A`의 직원이 관리자인 경우를 포함하되, 관리자가 아닌 직원도 포함됩니다. 그러나 이 조인은 문제의 요구 사항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 **결과**: 이 조인은 직원이 관리자인 경우만 의미가 있으며, 결과에 모든 직원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정답 문제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각 직원이 관리자를 가질 수 있으므로 관리자가 없는 직원도 포함되는 조인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번: LEFT OUTER JOIN, A.MANAGER_ID = B.EMPLOYEE_ID**입니다. 이 조인을 사용하면 직원이 관리자를 가지지 않는 경우에도 직원의 정보가 출력되고, 관리자가 있다면 해당 관리자의 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