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번 보기에서 사용된 쿼리는 Oracle의 구문 형식입니다. 이 쿼리가 Oracle에서 실행될 경우의 결과를 설명하겠습니다.
### 3번 보기 분석:
```sql
SELECT TEAMNAME, WINCNT
FROM TEAMSCORE
WHERE ROWNUM <= 4
ORDER BY WINCNT DESC;
```
#### Oracle에서의 `ROWNUM` 사용 방식:
1. **ROWNUM**은 쿼리 결과의 각 행에 대해 고유한 번호를 부여합니다. 이 번호는 쿼리 결과가 생성되는 시점에서 할당됩니다.
2. 쿼리에서 `ROWNUM` 조건을 사용하면, 쿼리 결과의 초기 N개 행만 선택됩니다.
3. 그러나 중요한 점은 `ORDER BY` 절이 `ROWNUM` 이후에 적용된다는 것입니다. 즉, `ORDER BY`가 적용되기 전에 이미 `ROWNUM` 조건이 적용되어, `ORDER BY`가 원하는 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예시 실행 결과:
Oracle에서 3번 보기의 쿼리를 실행할 경우:
1. **쿼리 순서**:
- 먼저 `ROWNUM <= 4` 조건에 맞는 4개의 행이 선택됩니다.
- 그 다음에 `ORDER BY WINCNT DESC`로 이 4개의 행이 정렬됩니다.
2. **가능한 결과**:
- 예를 들어, 테이블에서 처음 4개의 행이 `A팀`, `B팀`, `C팀`, `D팀`이라면, 이 4개의 팀이 먼저 선택되고, 그 후에 `WINCNT`를 기준으로 내림차순으로 정렬됩니다.
- 그러나 `ROWNUM`이 적용된 후에 정렬되기 때문에, 실제로 상위 4개의 `WINCNT` 값을 가진 팀이 선택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구체적인 예:
#### 테이블 예시:
```sql
TEAMNAME | WINCNT | FALCNT
---------|--------|-------
A팀 | 124 | 90
B팀 | 20 | 11
C팀 | 12 | 21
D팀 | 102 | 100
E팀 | 110 | 111
F팀 | 100 | 200
G팀 | 71 | 30
```
- 만약 `A팀`, `B팀`, `C팀`, `D팀`이 먼저 선택되었다고 가정하면, 이 4개의 행만을 대상으로 `WINCNT` 내림차순 정렬이 적용됩니다.
- 따라서 최종 결과는 `A팀`, `D팀`, `B팀`, `C팀` 순으로 정렬될 것입니다.
### 요약:
Oracle에서 이 쿼리를 사용하면, 실제로 상위 4개의 `WINCNT`를 가진 팀이 반환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유는 `ROWNUM`이 먼저 적용된 후, 그 결과가 정렬되기 때문입니다. 원하는 상위 4개의 팀을 정확히 가져오기 위해서는 `ROWNUM`과 `ORDER BY`를 함께 사용하지 않고, 먼저 `ORDER BY`로 정렬한 후 `ROWNUM`을 사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올바른 쿼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sql
SELECT TEAMNAME, WINCNT
FROM (SELECT TEAMNAME, WINCNT FROM TEAMSCORE ORDER BY WINCNT DESC)
WHERE ROWNUM <= 4;
```
이 쿼리는 상위 4개의 `WINCNT`를 가진 팀을 정확히 반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