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시작은 이 자료이다. [[06 아카이빙/자막해설 화면해설 연구/attachments/2023년 장애인 관람환경 개선사업 수행평가 결과보고 및 위원회 안건상정.pdf]]
# 1차 회의
- 일시: 2024년 6월 28일, 서울 영화교육지원센터
- 참석자: 하종우, 박기성, 서선주, 이윤우
### 회의 준비
- 연구진 추천으로 서하연 주임한테서 이렇게 받았음
- [[06 아카이빙/자막해설 화면해설 연구/메모/240604 배리어프리 영화제작 가이드 연구진 추천(서하연)]]
- 가치봄 사업에 대한 이해가 너무 없어서 스터디. [[06 아카이빙/자막해설 화면해설 연구/메모/가치봄 사업]]
- [[06 아카이빙/자막해설 화면해설 연구/메모/연구진 논문 검토]] 연구진과 미팅 잡히고, 미리 사전에 논문 검토해봤음
- [[06 아카이빙/자막해설 화면해설 연구/메모/방통위, 발달장애인 위한 영상 콘텐츠 제작 가이드라인 만든다]] 방통위에서 진행하고 있는데 연구도 확인함
- 방통위에서 비슷하게 만든 [[06 아카이빙/자막해설 화면해설 연구/attachments/장애인방송 프로그램 제공 가이드라인(19년 8월).pdf]]가 있었음. 우리도 여기에 준거해서 만들 예정
- [[06 아카이빙/자막해설 화면해설 연구/attachments/(231211) 2023년 장애인 관람환경 개선사업 수행평가 회의록.pdf]]
- [[06 아카이빙/자막해설 화면해설 연구/attachments/1. 장애인 영화관 동시관람 장비 도입 운영 협의체 2차 회의 결과.pdf]]
### 회의 진행
- 회의 안건 자료 작성은 별도로 없었지만, 회의 진행을 위한 내부 자료 만들어놨음. [[06 아카이빙/자막해설 화면해설 연구/메모/240628 배리어프리 연구진 미팅]]
# 자문회의
- 일시: 2024년 7월 16일(화), 15시 상연재
- 한시련, 농아인 협회 만나는 게 좋겠다는 연구팀 의견으로 회의 진행하기로 함
- [[06 아카이빙/자막해설 화면해설 연구/메모/회의 참석자]]는 여기 내용과 같이 구성. 교수님들이 불편해 한 사람은 황덕경.
- 교수님 쪽에서 요청한 통계 자료가 있었음. [[06 아카이빙/자막해설 화면해설 연구/메모/가치봄 연구 관련 통계 자료 요청]] 관련해서 자료 정리 따로 해둠.
- 선주가 회의 자료를 교수님, 박사님 의견 수렴해서 미리 작성해놓음.
- [[06 아카이빙/자막해설 화면해설 연구/attachments/240716 가치봄 영화 제작 및 상영 가이드라인 자문회의 계획.pdf]]
- 회의 진행에 대해서 정리해봤음. [[06 아카이빙/자막해설 화면해설 연구/메모/가치봄 영화 제작 및 상영 가이드라인 연구 1차 자문회의]]
# 초안 검토
- 일시: 2024.8.12. 처음 열어보았음. 5장에 대한 가이드라인 검토 요청으로,
- [[06 아카이빙/자막해설 화면해설 연구/attachments/5장_가치봄_영화_가이드라인(안).hwp]] 이 파일에 메모를 달았음.
- 전체적으로 잘 썼음. 여기에서 영화진흥위원회의 입장을 제안하고 확정해야 하는 문구들이 있었는데, 선주가 메일로 [[06 아카이빙/자막해설 화면해설 연구/메모/240812 가치봄 영화 가이드라인(안) 초안 검토 요청]]을 했음. 그런데 이렇게 메일을 주면, 언제까지 해야 하는지, 또 영화진흥위원회 입장 확정과 관련해서 수요부서에서 의견 개진을 하기가 애매하고 의사결정을 명확하게 할 수가 없음. 따라서, 이건 미팅을 해서 정해야 하는 사항이라고 나는 판단했음. 선주한테 한 번 이야기하자고 해야 할 듯.
# 영화문화팀 업무 협의: 초안 검토
- 일시: 2024.8.14일(수) 14:00 ~ 16:00각
- 참석자: 신세경, 서하연, 서선주, 이윤우
- [[06 아카이빙/자막해설 화면해설 연구/메모/240814 가이드 라인 관련 실무회의 결과]]
# 연구진 미팅 in 부산
- 일시: 2024.8.19. 14:30
- 참석자
- 하종원, 박기성
- 장광수, 서하연
- 이윤우, 서선주
- 미팅전 확인사항: [[06 아카이빙/자막해설 화면해설 연구/메모/연구진 확인 요청사항 정리(240819)]]
- 회의 내용은 주로 [[06 아카이빙/자막해설 화면해설 연구/메모/240814 가이드 라인 관련 실무회의 결과]]에서 나온 내용을 중심으로 진행함
동시관람 장비 자체는 뭘 선택한 거지? 골전도는 상영관협회에서 그렇다고 했고.
[[06 아카이빙/자막해설 화면해설 연구/attachments/장애인 동시관람(폐쇄형) 상영시스템 기술 타당성 평가 연구 보고서.pdf]]
# 결과발표회
- 일시: 2024.9.19.(목) 15:00
- 참석자
- 발표자(서울) : 하종원, 박기성 / 평가자: 김경란
- 서울: 장광수, 윤정환, 이윤우, 서선주
- 부산: 김보연, 서하연
- 진행 방식
- 연구 소개
- 2023년 장애인 관람환경 개선사업
- 가치봄 영화 제작 활성화와 가치봄 영화 제작 표준 가이드라인 마련
-
- 핸드북 또는 제작 가이드라인 제작
- 나의 감상
- 인권적 모델, 사회적 모델 차원에서 장애인을 바라보는 관점이 아니라, 당연히 누려야 할 권리로서 바라본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좀 더 확장할 수 있었다.
- 전체적인 접근을 제작 접근권, 상영관 접근권, 정보 접근권, 영상물 접근권이라는 개념으로 접근하고자 하는 프레임워크도 굉장히 흥미로웠다.
- 해외 사례에서는 화면해설, 자막제작의 가이드라인이 나라별로 다를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었다. -> 이런 구분도 표로 정리해서 볼 수 있다면 더 도움이 될 것 같다.
-
- 연구보고서의 구성과 핵심적인 내용에 대해서 연구진으로부터 설명
- 주요 논의 사항
- 주로
32페이지. 표4 영국의 화면해설 가이드라인 주요 내용의 출전이라 시청자미디어재단 2020인데, 이중으로.
- 영국은 상영관 시설은 법적 강제 사항이 없음
- 35페이지, 영국의 RNID 관계자가 탈퇴했음
- 영국은 장애인 영화 제공 현황이 미미하다. 영국인들도 불만이 많다.
- 후속 연구 추천 요청
- 정부의 주도적인 정책보다는 시장에서 모범사례를 만들고, 이 모범사례가 다시 확산되고, 다시 업데이트 되는 순환구조가 필요하다는 논지를 읽을 수 있었다. 그런 점에서 이번 가드라인은 국내외 여러 연구를 섭렵해서 만든 연구다.
- 법적 조항이 만들어지지 않으면 한계가 많다.
- 제작가이드에서 가장 큰 것은, 영국, EU, 미국의 제작 가이드라인을 본 것. 사회문화적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다. 상당부분 공통점이 있어서 그것을 도출해서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다.
- 영화 쪽으로 어떻게 취사선택해서 적용할 것이냐가 초점이었다.
- 영화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들을 추출했다.
- 박기성 박사
- 연구결과물의 핵심은 5장이다.
- 해외 사례에 대한 질문
- 영국 ofcom의 사례가 영화는 아니고, 방송 자체에 대한 것?
- 56페이지 시장에서 자율적인 방식으로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 정부의 역할은 협의체의 구성과 업데이트일까? 시장에서는 이를 자율적으로 하고자 하는 의도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소결의 내용에 대한 설명
- BFI에서 지원을 기준 준수사항 -> 위원회에서도 투자조합에서 가치봄 영화 제작에 대한 의무를 넣는 것과 일막상통
펀드 운영은 에이전시에서 주로 한다.
정부 역할.
시장역할.
가이드라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