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우리 엄마를 이겼다. 어릴 때 내가 울고 떼쓰면 엄마가 내 코랑 입을 틀어쥐고 즈으어라고 소리쳤던 기억, 내가 좋아하는 애착 베개에 바퀴벌레 퇴치약을 한 통 다 뿌리면서 그렇게 좋으면 껴안고 자라고 했던 기억들이 아직도 헛하다. 그래서 나는 내 아이지만 길게 울고 악쓰고 떼쓰는 걸 못 참는다. 어떤 유년 시절의 기억은 평생의 상처와 트라우마로 남는다. 내겐 아이의 울음소리가 하나의 트리거다. 아이의 울음소리가 듣기 힘들 때마다, 불쑥불쑥 아이의 울음을 그치게 했던 아주 효과적인 방법이 떠오른다. 코랑 입을 틀어쥐고 숨을 못 쉬게 해버리는 것. 숨이 쉬어지지 않아서 놀란 나머지 울음이 억지로 삼켜지는 것. 그래서 조용해지는 것. 오늘도 미운 네살이라고 악쓰며 우는 아이 울음소리를 한참 듣다가, 내 안에서 수십 년 충동이 왔다 갔다 했다. 입이랑 코를 틀어막고 숨을 못 쉬게 할까, 발로 차버릴까, 애 얼굴에 이불을 덮어버릴까 못 되 말로 협박할까 등등 내가 받은 모든 학대와 폭력의 방법들이 떠올랐다. 그리고 그 모든 충동 속에서 어린 시절 내가 울고 떼쓸 때 나는 무엇을 받고 싶었는가를 생각해 봤다. 내가 우리 엄마한테 바라게 무엇이었는지를. 그걸로도 아직도 내 안에 남은 상처받은 아이는 무엇을 원하는지를. 나쁘고 좋지 않은 모든 선택지들 중에서 단 하나. 우리 엄마가 그냥 나를 안아주고 사랑한다고 해 주길 바랐다. 내가 아무리 못난 자식이었어도 있는 그대로 나를 사랑해 줘 그래서 그 모든 충동을 다 깨고, 드디어 우리 엄마한테 받은 상처를 깨고 나와서 내 아이를 안아줬다. 꼭 안아주면서 엄마는 너를 사랑한다고 울고 떼를 쓰고 싶어 싫어하고 못된 말만 해도 너를 정말 사랑한다고 얘기해줬다. 그랬더니 하루 종일 못된 말만 하던 우리 애가 작은 고사리손으로 나를 마주 안아줬다. 그리고 내 등을 토닥여줬다. 마치 이렇게 말하는 듯 했다. 엄마 잘했어요. 엄마 정말 고생했어요 하고. 그러자 아이가 언제 그랬냐는 듯 기분이 좋아져서 떼도 안 쓰고 또 잘 뛰어놀기 시작했다. 하루 종일 징징대던 아이가 사랑한다는 포옹에 말 한마디에 변하는 걸 보면서 사랑은 모든 걸 이길 수 있구나. 정말 사랑은 모든 것을 이겨내는구나 생각했다. 그리고 눈물이 났다. 삼십 년 넘게 나는 우리 엄마한테 받은 학대에 갇혀 살았는데 나는 우리 엄마처럼 하지 않았구나. 내가 드디어 우리 엄마를 이겼구나. 스스로 깨고 나왔구나 싶어서 너무너무 힘들었는데. 성인 되고 나서 독립해서 일년 가까이 심리 상담을 받고 나서도 다 극복하지 못한 내 트라우마를 나는 삼십 년이 넘어서야 극복했구나. 그래도 다행이다 나는 우리 엄마처럼 내 아이한테 상처를 주지는 않겠구나 싶어서 그래서 펑펑 울었다. 남편이 왜 우냐고 묻는데 설명하기 힘들어서 그냥 안아달라고 하고 울었다. 이게 무슨 감정인지 모르겠는데 드디어 이겼다. 이제 드디어 돌아가신 엄마와 나는 정말로 이별 할 수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