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본문에 인용 또는 언급한 문헌만을 참고문헌 목록에 제시한다. 본문에 인용한 모든 참고문헌을 뒷부분의 참고문헌 목록에 나타나야 하며, 참고문헌에 기재된 모든 참고문헌은 본문에 표시되어야 한다.
2. 참고문헌은 국내문헌, 동양문헌, 서양문헌 순으로 기재한다.
3. 저자명의 가나다 및 알파벳 순으로 기재한다. 단, 한국어 및 영어 이외의 저자명은 괄호 속에 한글 또는 영문을 표기한다. 단, 같은 저자의 저술을 두 편 이상 제시할 때는 출판년도가 이른 순서대로 나열한다.
4. 한글 저자명은 성과 이름을 모두 표기하고 영어 저자명은 성(last name)을 먼저 제시하고 난 뒤 쉼표를 찍고 이름(first name)과 중간이름(middle name)의 이니셜을 차례로 표기한다. 각 이니셜 뒤에 온점(.)을 찍는다.
5. 참고문헌에서는 모든 저자의 이름을 나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한글 저자인 경우, 각 저자의 이름 사이를 ‘,(쉼표)’로 연결하여 모두 작성한다. 영문 저자인 경우, 마지막 저자의 이름 앞에 ‘&’를 넣으며, ‘&’ 앞에 쉼표(,)를 넣는다. 저자가 8명 이상인 경우, 예외적으로 6번째 저자명까지 표기한 뒤 쉼표와 간격을 둔 말줄임표를 제시하고(, . . .) 마지막 저자명을 표기한다.
6. 참고문헌 양식은 APA(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ublication Manual 7판을 따르며, 참고문헌 작성의 구체적인 사항은 아래에 제시하였다.
1) 학술지 논문: 저자명(연도), 논문제목, 학술지명, 권(호), 면수 순으로 기재한다. 국내문헌의 학술지명, 권은 진하게 표기하고, 서양문헌의 학술지명, 권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호는 정자체로 표기한다. DOI(Digital Object Identifier)가 있는 경우 반드시 DOI를 표기하며, 이때 “http://doi.org/DOI넘버” 양식에 맞춰 표준화된 DOI 양식으로 제시한다.
예1) 박지수, 이진경, 이재림(2018). 국내 커플관계교육 연구의 프로그램 개발과정 분석: 생활과학분야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2(4), 81-105. http://dx.doi.org/10.21321/jfr.22.4.81
예2) Sassler, S., & Lichter, D. T. (2020). Cohabitation and marriage: Complexity and diversity in union-formation pattern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82(1), 35-61. https://doi.org/10.1111/jomf.12617
2) 단행본 : 저자명(연도), 저서명, 출판사 순으로 기재한다. 단행본명은 국내문헌은 진하게, 서양문헌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예1) 성미애, 이강이, 정현심(2019). 인간발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예2) Allen, K. R., & Henderson, A. C. (2017). Family theories: Foundations and applications. John Wiley & Sons.
3) 단행본 챕터: 챕터저자명(연도), 챕터제목. 저서 편집자명, 저서명 (챕터 페이지), 출판사 순으로 기재한다. 저서명은 국내문헌은 진하게, 서양문헌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예1) Patterson, C. J., Farr, R. H., & Hastings, P. D. (2015). Socialization in the context of family diversity. In J. E. Grusec, & P. D. Hastings (Eds.), Handbook of socialization: Theory and research (pp. 202–227). The Guilford Press.
4) 학위논문: 국내문헌은 저자명(연도), 논문제목, 학교명, 학위명의 순으로 기재한다. 서양문헌은 저자명, 연도, 논문제목, 학위명, 학교명의 순으로 기재한다. 국내 학위논문의 제목은 진하게, 서양 학위논문의 제목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예1) 변주수(2017). 이혼법 개정과 이혼율 변동의 관계: 2000년 이후 이혼숙려제도 및 양육비부담조서 의무화 제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예2) Ko, K. (2018). Attitudes toward marriage and divorce in East Asi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5) 연구보고서: 저자명(연도), 보고서 제목, 연구기관 순으로 기재한다. 보고서 제목은 국내문헌은 진하게, 서양문헌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예) 권미경, 문무경, 김영민(2019). 육아존중문화로의 패러다임 전환과 긍정적 육아문화 조성 방안 연구 (Ⅰ): 육아문화 분석과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6) 웹페이지: 저자/기관명(작성일). 제목. 웹사이트명. URL의 순으로 기재한다. 이때 제목의 경우 국내문헌은 진하게, 서양문헌은 이태릭체로 표기한다. 날짜가 없을 경우에는 날짜를 적는 부분에 no date를 의미하는 ‘n.d.’를 기재한다.
예) 통계청(2020, 10, 14). 총 혼인건수 및 조혼인율 추이.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80
##### 출처: http://kfamilypolicy.or.kr/subList/32000001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