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멀티캐스트 전송의 기본 원리는 컴퓨터 A(송신자)에서 데이터를 한 번만 전송하고, 네트워크 상에서 그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여러 컴퓨터(수신자)에게 동시에 보내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장치, 특히 **라우터**와 **스위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멀티캐스트 전송은 일종의 "한 번 전송해서 여러 곳으로 복사하여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멀티캐스트 전송의 원리 1. **멀티캐스트 그룹 설정**: - 멀티캐스트 전송에서는 데이터를 받으려는 수신자들이 먼저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해야 합니다. 이 그룹은 특별한 IP 주소 범위(224.0.0.0에서 239.255.255.255 사이)를 사용하여 정의됩니다. 송신자는 이 멀티캐스트 IP 주소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2. **송신자의 데이터 전송**: - 컴퓨터 A가 데이터를 멀티캐스트 그룹 IP 주소로 전송하면, 라우터와 스위치가 이를 받아 처리합니다. 멀티캐스트는 데이터를 수신해야 하는 컴퓨터들이 특정 그룹에 가입한 상태이므로, 네트워크 장치들은 어떤 컴퓨터가 해당 그룹에 속해 있는지 알고 있습니다. 3. **라우터 및 스위치의 역할**: - **라우터**는 네트워크 전반에서 멀티캐스트 트래픽이 필요로 하는 경로를 설정하고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라우터는 송신자의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받아서 그 트래픽을 필요한 네트워크 섹션으로만 복사하여 보냅니다. - **스위치**는 로컬 네트워크에서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한 장치들에게만 해당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스위치는 네트워크 상의 모든 컴퓨터로 데이터를 보내는 것이 아니라,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한 컴퓨터로만 트래픽을 분배합니다. 4. **데이터 복사 및 전송**: - **데이터 복사**는 송신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라우터**가 복사본을 만들어 필요한 네트워크 분기마다 트래픽을 전달합니다. 이렇게 하면 동일한 데이터를 여러 번 전송하지 않아도 여러 곳으로 보낼 수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효율이 크게 향상됩니다. - 예를 들어, 컴퓨터 A에서 한 번 데이터를 보내면 라우터는 각 네트워크 분기점에서 필요한 만큼의 복사본을 만들어 내보냅니다. 이로 인해 네트워크 자원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5. **수신자의 데이터 수신**: -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한 컴퓨터들은 라우터나 스위치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필요한 멀티캐스트 패킷을 받게 됩니다.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하지 않은 컴퓨터는 이 데이터를 받지 않습니다. ### 멀티캐스트 트리 형성 멀티캐스트는 네트워크 상에서 **멀티캐스트 트리**라는 구조를 형성하게 됩니다. 이 트리는 송신자에서 시작해, 수신자들이 있는 각 경로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복사하여 전달할 수 있는 네트워크 경로를 나타냅니다. 이때, 라우터는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예: PIM-SM, PIM-DM 등)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경로를 최적화하고, 데이터를 최소한의 복사본으로 필요한 곳에 전달합니다. ### 장점 - **대역폭 절약**: 동일한 데이터를 여러 수신자에게 별도로 전송하지 않고 한 번만 전송한 후 필요한 곳에서 복사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대역폭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확장성**: 멀티캐스트는 여러 수신자에게 동시에 데이터를 보내는 상황에서 매우 효율적이며, 수신자가 많아져도 네트워크 자원을 크게 소모하지 않습니다. ### 예시 예를 들어, 스포츠 중계를 멀티캐스트로 전송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방송사는 한 번의 멀티캐스트 스트림을 네트워크에 보내고, 라우터와 스위치가 그 스트림을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한 각 사용자에게 전송합니다. 사용자는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해 있기 때문에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는 것이죠. 따라서 컴퓨터 A에서 멀티캐스트를 시작하면, **라우터에서 신호를 여러 개로 복사하여 필요한 네트워크 경로로만 보내는 것**이 맞습니다. 이렇게 네트워크에서 복사된 신호들이 각각의 수신자에게 도달하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