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 주제
- AI 기반 영화 기술의 종류를 알고 싶다
- AI 기반 영화 기술의 핵심 기술을 알고 싶다
- AI 기반 영화 기술이 향후 어느 수준으로 발전하게 될지 알고 싶다.
- 주요 개발 기업들이 생각하는 AI 영상 기술의 수준은?
- 영화 제작시 AI를 활용하려는 영화영상 창작자들은 누구일까?
- 제작, 촬영, 시나리오, 후반 등 분야별로 사람들의 사용 의도나 기대감이 다르게 나타날까?
- 사용의도나 기대감이 나타난다면, 어떤 이유일까?
- 도입 의향은 어떻게 될까?
- 사용의도와 도입의향이 크게 다를까? 같다고 봐야 하지 않을까?
- AI 제작비 절감 효과
- AI를 활용하면 제작비를 어느 수준으로 줄일 것으로 기대할까?
- AI 영화 기술 문제
- 현 단계에서 보는 문제점
- 향후 우려되는 문제점은?
- 창작자의 위치?
### 연구목차
1. 서론
- 연구 배경 및 목적
- 이슈 페이퍼의 구조
2. AI 기반 영화제작 기술 개요
- AI 기술의 기본 개념
- 영화 및 영상 콘텐츠 제작에 활용되는 주요 AI 기술
3. 영화 제작 과정별 AI 기술
- 사전 제작: 시나리오 작성, 캐스팅
- 제작 중: 촬영, 특수 효과
- 후반 제작: 편집, 마케팅
4. AI 영화기술 활용 전망(설문)
- 제작비 절감 효과
- 생산성 증가 효과
- 도입 의향
5. 미래 전망 및 발전 가능성
- 향후 기술 발전 방향
- AI와 영화 제작 융합 가능성
---
- 논문, 자료 읽고 정리하고 이해하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
- 자료 리스트
- [[현대 SF 영화 인공지능 캐릭터 서사 구성 및 주제성 연구 AI 기술 도입 이전 작품과 C.pdf]]
- [[AI 리터러시 개념화와 하위차원별 세부 역량 도출에 관한 연구.pdf]]
- [[AI 창작물과 저작인격권에 관한 탐색적 연구.pdf]]
- [[BBC, 생성형 AI 기술 활용 관련 3가지 원칙 발표.pdf]]
- [[Is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 Oppo.pdf]]
- [[미국과 EU의 AI 패권 경쟁_규제 둘러싼 협력과 견제 국제 표준 지정의 향방은.pdf]]
- [[생성형 AI가 출판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pdf]]
- [[언론산업 인공지능(AI) 활용방안 연구.pdf]]
- [[영화산업에서 기계학습 활용의 현 단계 - 흥행예측과 추천 시스템을 중심으로.pdf]]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영상 제작.pdf]]
- [[인공지능과 만화 AI 이미지 생성 기술의 교육적 접근.pdf]]
-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중소기업의 인식 및 수요 조사분석.pdf]]
- [[2023년 국내외 인공지능 산업 동향 연구.pdf]]
- [[2023년 국외 디지털콘텐츠 시장조사.pdf]]
- [[2023년 인공지능산업실태조사.pdf]]
- [[공공부문 AI 도입현황 연구.pdf]]
- [[국내 AI 창업기업 비즈니스 현황 분석.pdf]]
- [[국내 방송영상콘텐츠 제작시장 변화.png]]
- [[국외 AI 시장 및 창업지원 정책 동향 조사.pdf]]
- [[글로벌 AI 신뢰성 정책 동향 분석.pdf]]
- [[미국, 영국, 캐나다의 인공지능(AI) 정책 동향.pdf]]
- [[방송영상콘텐츠 제작산업 경쟁현황 분석연구.pdf]]
- [[우리나라 및 주요국 인공지능(AI) 기술수준의 최근 변화 추이(2023년 조사 기준).pdf]]
- [[인공지능 일상화 및 산업 고도화 계획(안).pdf]]
- [[AI와 디지털 기반의 미래미디어 계획.pdf]]
- [[기술과 혁신_생성형 AI 시대 어디까지 왔나.pdf]]
- [[your business and how can you capitalise.pdf]]
- [[A Perceptual Quality Assessment Database for Both Text-to-Image and Image-to-Image AI-Generated Images.pdf]]
- [[Intelligent Productivity Transformation Corporate Market Demand Forecasting With the Aid of an AI Virtual Assistant.pdf]]
- [[Perceptual Quality Assessment of AI Generated Omnidirectional Images(2024).pdf]]
- [[Sora OpenAI's Prelude.pdf]]
- 설문을 돌려서 통계를 만들려고 하니, 익혀야 하는 개념과 Python Tool이 생각보다 많다..
---
### 고려사항
1. 직제개편 전 시간이 적음. 설문을 별도로 하고 정리하고, 본문 작성까지 시간이 오래 걸림
2. 전반적 동향과 문헌 분석을 활용해서 연구 추진
### 연구주제 변경
1. AI 시장 분석
- 해외 AI 시장 성장세
- 국내 AI 시장 성장세 및 매출액 현황
2. AI 국내외 정책 분석
- 해외 AI 정책 동향
- 국내 AI 정책 동향
3. AI 기반 영화기술 종류 및 핵심기술
- AI 기술의 분류
- 이미지 인식 및 생성 기술
- 음성 인식 기술
- LLM 모델
4. AI 활용 영화제작 사례
- 주요 AI 활용 솔루션
5. AI 활용 전망(문헌분석))
- 활용 기대감
- 활용에 대한 우려
---
### 목차별 세부 상세
- AI 시장의 성장세
- 영화 시장의 성장세
- AI와 영화 시장이 만나면 어떤 상승세를 나타낼까? 이걸 어떻게 알 수 있을까?
- 적어도 제작비 절감 효과, 마케팅 비용 절감, 등등.. 이런 것들을 고민할 수 있을 테지만,
- 동시에 다른 것들도 있겠지.
- 우선 스태티스타를 비롯해서 이 시장의 성장세를 통계들을 전부 모아보자.
- so What? AI 영화 시장이 얼마나 클지를 알려면. 비교값이 있어야 해. 뭐랑 비교해봐야겠지?
-
-
- AI 기반 영화 기술
- 어느 범위까지 기술을 소개하면 좋을까? 일단 권한슬 감독이 만든 사이트부터 봐보자. https://aikive.com/
- 여기 사이트에 있는 기능들을 하나씩 검색해서 알려준다?
- https://zapier.com/blog/best-ai-video-generator/ 이사이트에서도 충분히 볼 수 있다. 10개 정도는.
- 그러니까 기술이라고 할 때, 영상을 생성하는 기술이 있고, 이미지나 비디오를 인식하는 기술도 있지.
- 기술의 지형도를 그려야 한다. 영상, 이미지, 이렇게 말고.
- 지형도를 그려보자. 축이 필요한데? 아니면 카테고리로?
- 주로, 편집 기능, 생성기능. 편집 기능에는 또 비디오 인식 기술이 필수다.
- 우선 해외에서 사례를 먼저 설명해주고, 이 기술들에 활용되는 방식이 어떤 걸 이용했다.
- 그 다음에, 이런 기술들을 구조화하자면, 카테고리를 나누자면, 이런 기술 이런기술들이고, 각각 이런 프로그램들이 활용되고 있다.
- AI 기반 영화 기술의 핵심 기술이 뭘까?
- 위의 영화 기술들을 활용할 때 사용하는 기술들
- 이미지 인식, 생성 기술 -> 멀티모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