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위논문 국내문헌은 저자명(연도), 논문제목, 학교명, 학위명의 순 서양문헌은 저자명, 연도, 논문제목, 학위명, 학교명의 순 국내 학위논문의 제목은 진하게, 서양 학위논문의 제목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예1) 변주수(2017). **이혼법 개정과 이혼율 변동의 관계: 2000년 이후 이혼숙려제도 및 양육비부담조서 의무화 제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예2) Ko, K. (2018). *Attitudes toward marriage and divorce in East Asi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 단행본 **저자명(연도), 저서명, 출판사 순**(단행본명은 국내문헌은 진하게, 서양문헌은 이탤릭체로 표기) 예1) 성미애, 이강이, 정현심(2019). **인간발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예2) Allen, K. R., & Henderson, A. C. (2017). *Family theories: Foundations and applications.* John Wiley & Sons. ### 양식_단행본 챕터 **챕터저자명(연도), 챕터제목. 저서 편집자명, 저서명 (챕터 페이지), 출판사 순**(저서명은 국내문헌은 진하게, 서양문헌은 이탤릭체로 표기) 예1) Patterson, C. J., Farr, R. H., & Hastings, P. D. (2015). Socialization in the context of family diversity. In J. E. Grusec, & P. D. Hastings (Eds.), _Handbook of socialization: Theory and research_ (pp. 202–227). The Guilford Press. ### 연구보고서 저자명(연도), 보고서 제목, 연구기관 순 보고서 제목은 국내문헌은 진하게, 서양문헌은 이탤릭체로 표기 예) 권미경, 문무경, 김영민(2019). **육아존중문화로의 패러다임 전환과 긍정적 육아문화 조성 방안 연구 (Ⅰ): 육아문화 분석과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 웹페이지 웹페이지: 저자/기관명(작성일). 제목. 웹사이트명. URL의 순 제목의 경우 국내문헌은 진하게, 서양문헌은 이태릭체로 표기 날짜가 없을 경우에는 날짜를 적는 부분에 no date를 의미하는 ‘n.d.’를 기재한다. 예) 통계청(2020, 10, 14). **총 혼인건수 및 조혼인율 추이**.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80 [[참고문헌 표기 방식]] ### 학술지 논문 **저자명(연도), 논문제목, 학술지명, 권(호), 면수 순** 박지수, 이진경, 이재림(2018). 국내 커플관계교육 연구의 프로그램 개발과정 분석: 생활과학분야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2**(4), 81-105. http://dx.doi.org/10.21321/jfr.22.4.81 Sassler, S., & Lichter, D. T. (2020). Cohabitation and marriage: Complexity and diversity in union-formation pattern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82(1)*, 35-61. https://doi.org/10.1111/jomf.12617 [[참고문헌 표기 방식]] ### 전자신문 문희철. (2021. 12. 4.). 불로초 한걸음 더…항노화 단백질, 한국 과학자들이 찾았다.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29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