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 실험이 있었다. 대상자에게 판단을 연속적으로 하게 하는데, 판단의 숫자가 늘어날수록 판단의 질이 어떻게 되는지를 확인하는 실험이었다. 결과는 판단할 대상의 수가 늘어날수록 판단의 질은 떨어진다는 결론이었다.
- 이런 가정에서 볼 때 우리가 하루에 내려야 하는 수많은 판단을 제거하는 게 질 높은 판단을 할 수 있는 방법이다. 뇌는 판단해야 하는 대상이나, 아직 정해지지 않는 대상, 파악되지 않은 대상에 대해 높은 부하를 갖게 된다. 이로 인해 뇌는 제대로 된 판단을 하지 못하고, 기본값으로 판단을 돌리게 된다. 이런 기본값 중 감정 기본값이 반응하게 되면 분노가 치밀어 오르게 된다. 분노를 통해 현재의 상황을 타개하는 것이다.
- 좋은 판단을 하루하루 쌓아나가는 연습이 필요하다. 좋은 판단이 모여, 좋은 하루가 되고, 좋은 인생이 된다. 그 시작은 불필요하게 많은 판단을 없애는 일이다.
### 메모
- 판단력에 대한 이야기도 했다. 하루 동안 판단 횟수가 많아질수록 판단의 질이 떨어진다. 나에게 음식물 쓰레기를 버릴지 말지 알아서 하라는 말을 듣고, 나에게 판단을 넘긴 한나의 결정이 굉장히 훌륭했다는 걸 설명하면서 이 이야기를 했다. 나는 음식물 쓰레기를 바로 버리는 판단을 했는데, 왜냐하면 애매하게 차 있는 음식물 쓰레기통을 뇌가 계속해서 신경을 써야 하기 때문에 나의 뇌는 질이 떨어지는 판단을 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었다. 뇌에 부하를 주는 것들을 정리하고, 질이 높은 판단을 하기 위해 노력하면 정말 인생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
---
###### 출처(참고문헌)
- 예전에 읽었던 책인데, 모르겠음. 이젠 나의 생각, 기억 속에 있음
###### 연결문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