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 지식과 개념을 배운다면 빨리 배우자. 저축과 같다. 복리로 늘어나기 때문이다. 통계 시험을 앞두고 있었을 때다. 공부 시간이 모자랐다. 벼락치기였다. 개념은 어려웠다. 시간이 모자라지만 신중하게 이해해나갔다. 몰입도가 높았다. 개념이 머리에 탁 들어왔다. 추론통계의 기본 원리가 이해됐다. 그때 깨달았다. 한달 전, 이 개념을 알았더라면 질적으로 차원이 다른 한달을 살았을 거라는 걸 말이다. 한달 동안 읽었던 연구, 논문, 생각했던 것들에 이 개념을 더 할 수 있었을 거다. 이 관점을 더해 더 질적으로 수준 높은 한달을 살 수 있었을 것이다.
- 아침 시간이 중요한 이유도 여기서 알 수 있다. 아침에 공부를 하면 그 개념으로 하루를 보내게 된다. 질적으로 다른 하루다. 요즘 영어 공부를 했다. 하루 중에 문득문득 영어가 튀어나왔다. 어떻게 이게 가능한가. 아침에 했기 때문이다. 질적으로 다른 하루가 되는 거다. 복리로 영어 지식이 계속 늘어난 것이다. 그렇게 오래 하지 않았지만 이제는 영어에 대한 자신감이 높아졌다. 빨리 늘어난다 .
### 메모
- 내가 이번 주에 느낀 것 중에 하나가 있는데 왜 아침시간이 그렇게 중요한지에 대해서 깨닫게 됐어 사회조사 분석사 시험을 공부를 하는데 통계 공부를 하는데 그 개념도 꽤 어려웠거든 근데 내가 만약에 이걸 한 달 전에 공부를 했으면 난 지난 한 달 동안 이 개념을 알고 있는 채로 한 달을 보냈을 거잖아 그러면 그 한 달 동안 내가 봤던 연구보고서나 공부했던 많은 것들이 되게 달라졌을 거야 왜냐하면 몰랐던 통계 개념을 탑재했기 때문에 그 관점에서 더 깊이 있게 볼 수 있게 되는 거거든 이렇게 생각을 하면 정말 정말 중요한데 내가 이게 어떤 지식의 복리 개념 같은 것 같아 자청이 말하는 지식의 복리 개념이 바로 이렇게 공부를 하고 나면 그 개념이 내 머리에 들어오고 그 관점에서 세상을 보게 되고 더 많은 커네팅닷을 볼 수 있게 되는 그런 구조인 것 같아 그래서 한 달 전에 공부를 했으면 좋았겠다라는 생각을 했는데 이게 다시 말하면 아침에 공부하는 게 중요한 이유이기도 한 거야 아침에 내가 공부를 하잖아? 그러면 하루 종일 그 공부를 했거나 책을 읽었거나 했던 그 개념을 가지고 하루를 살게 돼 그래서 하루가 되게 남들과는 다르다? 질적으로 되게 다른 하루를 보내게 되는 것 같아 이게 나한테 굉장히 크고 중요한 경험이었는데 이런 하루가 쌓여서 또 한 달 되잖아? 또 이런 하루 중에 하루를 개념 공부를 쭉 했어 그러면 그게 또 쌓여서 한 달이 되고 이게 계속해서 복리가 된다는 게 정확히 어떤 말인지 이제는 이해를 하게 된 거야 주호 덕분에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데 그게 처음에는 힘들었거든? 자고 싶고 근데 이제는 아침이 기다려준다 오늘의 4시 40분에 주호가 일어났는데 괜찮았어 너무 좋았어 재밌게 시간 보내고 그랬어 아무튼 오늘도 파이팅하자
---
###### 출처(참고문헌)
- [[2024-07-13]]
###### 연결문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