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과목: TCP/IP ### 1. [[IP 헤더에 포함이 되지 않는 필드는?]] ① ACK ② Version ③ Header checksum ④ Header length ### 2. [[TCP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흐름제어 방식은?]] ① GO-Back-N ② 선택적 재전송 ③ Sliding Window ④ Idle-RQ ### 3. [[′255.255.255.224′인 서브넷에 최대 할당 가능한 호스트 수는?]] ① 2개 ② 6개 ③ 14개 ④ 30개 ### 4. [[Link State 알고리즘을 이용해 서로에게 자신의 현재 상태를 알려주며 네트워크 내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① OSPF ② IDRP ③ EGP ④ BGP ### 5. [[DNS에서 사용될 때 TTL(Time to Live)의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데이터가 DNS서버 존으로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 시간이다. ② 데이터가 DNS서버 캐시로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 시간이다. ③ 패킷이 DNS서버 존으로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 시간이다. ④ 패킷이 DNS서버 네임서버 레코드로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 시간이다. ### 6.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A, B, C Class 대역의 IP Address는 모두 같은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한다. ② 하나의 네트워크 클래스를 여러 개의 네트워크로 분리하여 IP Address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③ 서브넷 마스크는 목적지 호스트의 IP Address가 동일 네트워크상에 있는지 확인한다. ④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하면, Traffic 관리 및 제어가 가능하다. ### 7. [[SMTP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① 인터넷을 통해 파일을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토콜 ② 인터넷 전자 우편을 위한 프로토콜 ③ 하이퍼 텍스트 문서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④ 원격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 ### 8. [[TFTP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어이다. ② 네트워크를 통한 파일 전송 서비스이다. ③ 3방향 핸드셰이킹 방법인 TCP 세션을 통해 전송한다. ④ 신속한 파일의 전송을 원할 경우에는 FTP보다 훨씬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9.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서브넷 주소를 인식하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② 링크 상태 알고리즘을 사용하므로, 링크 상태에 대한 변화가 빠르다. ③ 메트릭으로 유일하게 Hop Count만을 고려한다. ④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주로 사용되며, 기본 라우팅 업데이트 주기는 1초이다. ### 10. [[보기의 프로토콜 중에서 지문에 제시된 내용과 같은 일을 수행하는 프로토콜은?]] ![[240225 네트워크관리사2급 보기 02.png]]  ① DHCP ② IP  ③ RIP ④ ARP ### 11. [[OSI 7 계층의 통신 계층별 PDU(Protocol Data Unit)의 명칭으로 올바른 것은?]]  ① 7계층 : 세그먼트 ② 4계층 : 패킷  ③ 3계층 : 비트 ④ 2계층 : 프레임 ### 12. [[CSMA CD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충돌 도메인이 작을수록 좋다.  ② 충돌이 발생하면 임의의 시간 동안 대기하므로 지연 시간을 예측하기 어렵다.  ③ 네트워크상의 컴퓨터들이 데이터 전송을 개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토큰'이라는 권한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④ 컴퓨터들은 케이블의 데이터 흐름 유무를 감시하기 위해 특정 신호를 주기적으로 보낸다. ### 13.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IP Address를 하드웨어 주소로 변환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② RFC 903에 명시되어 있고, RFC 951에 기술된 BOOTP에 의해 대체되고 있다.  ③ 디스크를 소유하지 않으면 RARP를 이용하여 인터넷 주소를 먼저 알아내야 한다.  ④ Ethernet, FDDI, Token Ring 등의 근거리 통신망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 14. [[IPv6 주소 ′a184 0a01 0000 0000 cd8c 1000 317b 00ff′ 를 생략하여 표기한 것으로 알맞은 것은?]] ① a184:a1::cd8c:1:317b:ff ② a184:a01::cd8c:1000:317b:ff ③ a184:a01:0:0:cd8c:10:317b:0ff ④ a184:a01:cd8c:1000:317b:ff ### 15. [[다음 보기 중 공인 IP로 설정 시 공중망(Public Network)에서 통신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은?]]  ① 209.37.4.11 ② 172.29.130.78  ③ 9.3.3.8 ④ 31.255.255.224 ### 16. [[다음 (A) 안에 들어가는 용어 중 옳은 것은?]] ![[240225 네트워크관리사2급 보기 03.png]]  ① DNS ② Proxy  ③ DB ④ TTS ### 17.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비대칭 프로토콜이고 TTL(Time To Live)를 제공한다.  ② ICMPv4(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메시지의 특징은 질의메시지가 있다.  ③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의 주된 기능은 IP 데이터그램의 프로세싱을 동작 하는동안 오류를 보고한다.  ④ 호스트간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반향과 회답메시지를 지원한다. --- # 2과목: 네트워크 일반 ### [[18. 다음 내용 중 (A)에 들어갈 내용은?]] ![[240225 네트워크관리사2급 보기 04.png]]  ① IDC (Internet Data Center)  ② IPS (Intrusion Prevention System)  ③ IDS (Intrusion Detection System)  ④ IOS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 19. [[네트워크의 구성(Topology)에서 링형(R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장애발생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② 노드간의 연결을 최소화하는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③ 한 통신장치의 오류가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준다.  ④ 확장성이 뛰어나다. ### [[20. 다음 (A) 안에 들어가는 용어 중 옳은 것은?]] ![[240225 네트워크관리사2급 보기 06.png]]  ① NIC ② F/W  ③ IPS ④ NAC ### 21. [[ARQ 방식 중 에러가 발생한 블록으로 되돌아가 모든 블록을 재전송하는 것은?]]  ① Go-back-N ARQ ② Selective ARQ  ③ Adaptive ARQ ④ Stop-and-Wait ARQ ### 22. [[아래 내용에서 IPv6의 일반적인 특징만을 나열한 것은?]] ![[240225 네트워크관리사2급 보기 07.png]]  ① A, B, C, D ② A, C, D, E  ③ B, C, D, E ④ B, D, E, F ### 23. [[OSI 7 Layer에서 Data Link 계층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전송 오류 제어기능 ② Flow 제어기능  ③ Text의 압축, 암호기능 ④ Link의 관리기능 ### 24. 프로토콜의 기본적인 기능 중 정보의 신뢰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한 개체가 보낸 PDU(Protocol Data Unit)에 대한 애크널러지먼트(ACK)를 특정시간 동안 받지 못하면 재전송하는 기능]]은?  ① Flow Control ② Error Control  ③ Sequence Control ④ Connection Control ### 25. FTTH(Fiber-To-The-Home) 망구조는 PTP(Point To Point), AON(Active Optical Network), PON(Passive Optical Network)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 지문에서 (A) 안에 들어가는 용어 중 옳은 것은?]] ![[240225 네트워크관리사2급 보기 08.png]]  ① AON ② PON  ③ PTP ④ Home Run ### 26. 채널부호화는 원천 부호화된 원래의 정보에 에러 검출 및 정정을 위한 비트들을 추가해서 전송하는 기술이다. 수신측에서는 에러를 검사하여 송신측으로 데이터 재전송을 요청하거나 자체적으로 에러를 검출해서 정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음 항목 중 채널부호화에 해당하는 기술로 옳은 것은?]]  ① Convolutional Code ② ADPCM  ③ ADM ④ PCM ### [[27. 다음의 설명의 (A)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는 무엇인가?]] ![[240225 네트워크관리사2급 보기 10.png]]  ① Bluetooth ②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③ Wi-Fi ④ CR (Cognitive Radio) --- # 3과목: NOS ### 28. [[Linux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자 암호 정보를 가지는 디렉터리는?]]  ① /etc ② /sbin  ③ /home ④ /lib ### 29. [[TCP 3Way-HandShaking 과정 중 클라이언트가 보낸 연결 요청에서 패킷을 수신한 서버는 LISTEN 상태에서 무슨 상태로 변경되는가?]]  ① SYN_SENT ② SYN_RECEIVED  ③ ESTABLISHED ④ CLOSE ### 30. [[Linux 명령어 중에 init(초기화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재부팅하는 옵션은?]]  ① init 0 ② init 1  ③ init 5 ④ init 6 ### 31. [[Linux 시스템 명령어 중 root만 사용 가능한 명령은?]]  ① chown ② pwd  ③ Is ④ rm ### 32. [[Linux에서 ′ls -al′의 결과 맨 앞에 나오는 항목이 파일 혹은 디렉터리의 권한을 나타내준다]]. 즉, 파일타입 소유자 권한 그룹 권한 그 외의 유저에 대한 권한을 표시한다. 만약 파일타입 부분에 ′-′표시가 되어 있다면 이것의 의미는?  ① 파일 시스템과 관련된 특수 파일  ② 디렉터리  ③ 일반 파일  ④ 심볼릭/하드링크 파일 ### 33. [[Linux에서 사용되는 ′free′ 명령어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① 사용 중인 메모리, 사용 가능한 메모리 용량을 알 수 있다.  ② 패스워드 없이 사용하는 유저를 알 수 있다.  ③ 디렉터리의 사용량을 알 수 있다.  ④ 사용 가능한 파일 시스템의 양을 알 수 있다. ### 34. [[다음 중 Linux의 명령어 해석기는?]]  ① Shell ② Kernel  ③ Utility Program ④ Hierarchical File System ### 35. [[다른 운영체제와 Linux가 공존하는 하나의 시스템에서 멀티 부팅을 지원할 때 사용되며, Linux 로더를 의미하는 것은?]]  ① MBR ② RAS  ③ NetBEUI ④ GRUB ### 36. [[Linux 시스템에서 특정 파일의 권한이 ′-rwxr-x--x′ 이다. 이 파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소유자는 읽기 권한, 쓰기 권한, 실행 권한을 갖는다.  ② 소유자와 같은 그룹을 제외한 다른 모든 사용자는 실행 권한만을 갖는다.  ③ 이 파일의 모드는 ′751′ 이다.  ④ 동일한 그룹에 속한 사용자는 실행 권한만을 갖는다. ### 37. [[Windows Server 2016에서 ′netstat′ 명령이 제공하는 정보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인터페이스의 구성 정보  ② 라우팅 테이블  ③ IP 패킷이 목적지에 도착하기 위해 방문하는 게이트웨이의 순서 정보  ④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 ### 38. [[Windows Server 2016의 DNS Server 역할에서 지원하는 ′역방향 조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클라이언트가 정규화된 도메인 이름을 제공하면 IP주소를 반환하는 것  ② 클라이언트가 IP주소를 제공하면 도메인을 반환하는 것  ③ 클라이언트가 도메인을 제공하면 라운드로빈 방식으로 IP를 반환하는 것  ④ 클라이언트가 도메인을 제공하면 하위 도메인을 반환하는 것 ### 39. 서버 관리자 Kang 사원은 Windows Server 2016 시스템의 보안을 위해 EFS(암호화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려고 한다. [[EFS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EFS는 윈도우즈 시스템의 파일에만 암호화 기술을 적용한다.  ② EFS는 인증서 파일의 확장자로 CER, P7B, PFX, SST 형식을 지원한다.  ③ EFS는 개인키를 보호하는 방법으로 암호만을 사용할 수 있다.  ④ EFS는 사용자만 동일하면 윈도우즈 시스템을 다시 설치해도 암호화된 파일을 열 수 있다. ### 40. 서버 관리자 Park 사원은 Linux 서버를 관리하면서 특정 조건에 맞는 파일 및 디렉터리를 검색하기 위해 ′find′ 명령어를 사용하려고 한다. [[find 명령어의 주요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name′은 지정한 사용자 이름에 해당하는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찾는다.  ② ′-type′은 지정한 디렉터리 종류에 해당하는 디렉터리 유형을 찾는다.  ③ ′-perm′은 지정한 소유자의 권한만을 고려하여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찾는다.  ④ ′-exec′은 찾은 파일에 대한 삭제 등의 추가적인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 41. 서버 관리자 Choi 사원은 Windows Server의 사용자들을 특정한 그룹으로 분류하려고 한다. [[Windows Server 2016 시스템의 로컬 그룹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Power Users′는 ′Administrator′와 같은 권한을 가지는 그룹이다.  ② ′RDS Endpoint Servers′는 ′Remote Desktop Service′와 관련한 권한을 가지는 그룹이다.  ③ ′Remote Management Users′는 ′WMI′ 자원과 관련된 권한을 가지는 그룹이다.  ④ ′Performance Monitor Users′는 성능 카운터, 로그 등을 관리하는 권한을 가지는 그룹이다. ### 42. [[다음의 지문이 설명하고 있는 DNS 질의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240225 네트워크관리사2급 보기 14.png]]  ① 재귀적 질의 ② 반복적 질의  ③ 순환적 질의 ④ 로컬 질의 ### 43. 서버 담당자 Park 사원은 Windows Server 2016를 구축하여 더 많은 위치와 더 [[다양한 유형의 장치에서 데이터를 액세스할 수 있도록 설계]]하려고 한다. 이에 알맞은 서비스는?  ① 클라우드 폴더 ② 서버 코어  ③ VPN ④ DirectAccess Server ### 44. 서버 담당자 Park 사원은 Windows Server 2016에서 가상화 운영을 위한 Hyper-V를 운영하고자 한다. [[다음 지문 내용 중 ( )에 공통으로 들어갈 내용으로 올바른 것은?]] ![[240225 네트워크관리사2급 보기 12.png]]  ① Hyper-V ② IIS  ③ Windows 컨테이너 ④ NanoServer ### 45. [[Linux 설치 시 Swap 영역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RAM의 부족한 용량을 보충하기 위해 하드디스크의 일정부분을 지정하여 RAM처럼 사용한다.  ② 일반적으로 실제 메모리의 두 배 정도면 적당하다.  ③ 시스템을 모니터링 한 결과 Swap이 많이 일어나면 메모리를 증설해야 한다.  ④ 한번 설정한 Swap은 추가가 불가능하므로 신중을 기해 크기를 결정해야 한다. --- #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 46. [[RAID 방식 중 미러링(Mirroring)이라고 하며, 최고의 성능과 고장대비 능력을 발휘하는 것은?]]  ① RAID 0 ② RAID 1  ③ RAID 3 ④ RAID 5 ### 47. [[로드밸런싱(Load Balancing)에 대한 설명이 맞는 것은?]]  ① 물리적인 망 구성과는 상관없이 가상적으로 구성된 근거리 통신망 기술  ② 사용량과 처리량을 증가시키고 지연율을 낮추며 응답시간을 감소시키고 시스템 부하를 피할 수 있게 하는 최적화 기술  ③ 가상머신이 실행되고 있는 물리적 컴퓨터로부터 분리된 또 하나의 컴퓨터  ④ 웹 브라우저와 서버 간의 통신에서 정보를 암호화하는 기술 ### 48. [[게이트웨이(Gatewa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OSI 참조 모델에서 전송계층만 연결하는 네트워크 장비이다.  ② 두 개의 완전히 다른 네트워크 사이의 데이터 형식을 변환하는 장치이다.  ③ 데이터 변환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 네트워크내의 병목 현상을 일으키는 지점이 될 수 있다.  ④ 프로토콜이 다른 네트워크 환경들을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49. [[IEEE 802.11 무선랜의 전송 방식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① 적외선 방식 : 장비 구성이 간편하고 빛의 성질로 인해 중간에 장애물이 있어도 통신이 가능하다. 저렴한 비용 때문에 상업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② 레이저 방식 : 레이저가 가지는 고도의 점 지향성과 직진성을 이용해서 멀리 떨어진 지점 간(예를 들면 섬과 섬 사이) 네트워킹에 사용하는 방식. 주로 케이블 가설이 어려운 지역에 설치하나 통신 속도면에서 10Mbps이상은 지원되지 않는다.  ③ 주파수 방식 : 전파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스프레드 스펙트럼(Spread Spectrum) 방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무선 네트워크 방식. 일반적으로 무선랜이라고 하면 이 방식을 의미한다.  ④ 협대역 방식 : 특정 라디오 주파수를 사용하며 사용자는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여 송수신한다. ### 50. [[광케이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멀티 모드형과 싱글 모드형이 있다.  ② 동축케이블과 마찬가지로 단선이 되었을 경우, 별도의 장비 없이 선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③ 광섬유는 코어(Core)와 클래드(Clad)로 구성된다.  ④ 보안 및 잡음 등에 강한 것이 특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