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225_기출_네트워크관리사 2급#5. DNS에서 사용될 때 TTL(Time to Live)의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240225_기출_네트워크관리사 2급#11. OSI 7 계층의 통신 계층별 PDU(Protocol Data Unit)의 명칭으로 올바른 것은?]]
[[240225_기출_네트워크관리사 2급#23. OSI 7 Layer에서 Data Link 계층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240225_기출_네트워크관리사 2급#13.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240225_기출_네트워크관리사 2급#14. IPv6 주소 ′a184 0a01 0000 0000 cd8c 1000 317b 00ff′ 를 생략하여 표기한 것으로 알맞은 것은?]]
[[240225_기출_네트워크관리사 2급#17.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240225_기출_네트워크관리사 2급#25. FTTH(Fiber-To-The-Home) 망구조는 PTP(Point To Point), AON(Active Optical Network), PON(Passive Optical Network)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 지문에서 (A) 안에 들어가는 용어 중 옳은 것은?]]
[[240225_기출_네트워크관리사 2급#26. 채널부호화는 원천 부호화된 원래의 정보에 에러 검출 및 정정을 위한 비트들을 추가해서 전송하는 기술이다. 수신측에서는 에러를 검사하여 송신측으로 데이터 재전송을 요청하거나 자체적으로 에러를 검출해서 정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음 항목 중 채널부호화에 해당하는 기술로 옳은 것은?]]
[[240225_기출_네트워크관리사 2급#30. Linux 명령어 중에 init(초기화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재부팅하는 옵션은?]]
① init 0 ② init 1
③ init 5 ④ init 6
| **Runlevel (실행 레벨)** | **설명** |
| -------------------- | ----------------------------------------- |
| 0 | **시스템 종료 (shutdown)** |
| 1 | **단일 사용자 모드(Single User Mode), 시스템 유지보수** |
| 2 | **멀티유저 모드, 네트워크 미사용** |
| 3 | **멀티유저 모드, 네트워크 사용 가능 (CLI 환경)** |
| 4 | **사용자 정의 (대부분 사용되지 않음)** |
| 5 | **멀티유저 모드, GUI 모드 (X Window 실행됨)** |
| 6 | **시스템 재부팅 (reboot)** |
[[240225_기출_네트워크관리사 2급#32. Linux에서 ′ls -al′의 결과 맨 앞에 나오는 항목이 파일 혹은 디렉터리의 권한을 나타내준다 . 즉, 파일타입 소유자 권한 그룹 권한 그 외의 유저에 대한 권한을 표시한다. 만약 파일타입 부분에 ′-′표시가 되어 있다면 이것의 의미는?]]
① 파일 시스템과 관련된 특수 파일
② 디렉터리
③ 일반 파일
④ 심볼릭/하드링크 파일
출력 형식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집니다.
```
drwxr-xr-x 2 user group 4096 Feb 12 10:30 example_dir
-rw-r--r-- 1 user group 512 Feb 12 10:31 example_file.txt
lrwxrwxrwx 1 user group 20 Feb 12 10:32 example_link -> /home/user/file
```
각 줄의 맨 앞 글자는 **파일의 유형(file type)을 나타냅니다.**
|**기호**|**의미**|
|---|---|
|-|일반 파일(Regular File)|
|d|디렉터리(Directory)|
|l|심볼릭 링크(Symbolic Link)|
|b|블록 디바이스 파일(Block Special File)|
|c|문자 디바이스 파일(Character Special File)|
|s|소켓(Socket)|
|p|FIFO(이름 있는 파이프, Named Pipe)|
[[240225_기출_네트워크관리사 2급#35. 다른 운영체제와 Linux가 공존하는 하나의 시스템에서 멀티 부팅을 지원할 때 사용되며, Linux 로더를 의미하는 것은?]]
① MBR ② RAS
③ NetBEUI ④ GRUB
**1. 멀티 부팅(Multi Boot)과 부트 로더(Boot Loader)**
멀티 부팅이란 **하나의 컴퓨터에 여러 개의 운영체제(OS)를 설치하여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부트 로더(Boot Loader)**이며, 운영체제 부팅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부트 로더는 운영체제가 실행되기 전에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 **시스템의 하드웨어를 초기화하고 커널을 메모리에 로드하는 역할**을 합니다.
Linux에서는 대표적으로 **GRUB(Grand Unified Bootloader)**가 부트 로더 역할을 합니다.
[[240225_기출_네트워크관리사 2급#39. 서버 관리자 Kang 사원은 Windows Server 2016 시스템의 보안을 위해 EFS(암호화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려고 한다. EFS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240225_기출_네트워크관리사 2급#40. 서버 관리자 Park 사원은 Linux 서버를 관리하면서 특정 조건에 맞는 파일 및 디렉터리를 검색하기 위해 ′find′ 명령어를 사용하려고 한다. find 명령어의 주요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240225_기출_네트워크관리사 2급#41. 서버 관리자 Choi 사원은 Windows Server의 사용자들을 특정한 그룹으로 분류하려고 한다. Windows Server 2016 시스템의 로컬 그룹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Windows Server 2016의 로컬 그룹(Local Group) 개념**
Windows Server 2016에서는 **사용자를 특정한 그룹으로 분류하여 권한을 부여하는 로컬 그룹(Local Group) 개념**을 제공합니다.
로컬 그룹은 **관리 편의성을 위해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는 사용자들을 그룹화하여 적절한 권한을 부여하는 기능**을 합니다.
각 그룹은 특정 시스템 리소스(파일, 폴더, 네트워크, 원격 관리, 성능 모니터링 등)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요 로컬 그룹 및 역할**
|**그룹 이름**|**설명**|
|---|---|
|**Administrators**|시스템의 모든 기능을 관리할 수 있는 최고 권한 그룹|
|**Power Users**|제한적인 관리자 권한을 가지지만, 시스템 설정 변경은 제한됨|
|**Remote Management Users**|원격 관리 및 **Windows Management Instrumentation(WMI)** 권한 제공|
|**Remote Desktop Users**|원격 데스크톱 서비스(RDP) 연결 권한을 가짐|
|**Performance Monitor Users**|성능 카운터 및 로그 모니터링 권한을 가짐|
|**RDS Endpoint Servers**|**Remote Desktop Services(RDS) 환경에서 엔드포인트 역할**을 수행하는 서버 관리|
|**Users**|기본적인 사용자 그룹, 시스템 관리 기능 없음|
[[240225_기출_네트워크관리사 2급#42. 다음의 지문이 설명하고 있는 DNS 질의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240225_기출_네트워크관리사 2급#46. RAID 방식 중 미러링(Mirroring)이라고 하며, 최고의 성능과 고장대비 능력을 발휘하는 것은?]]
**RAID 개요**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는 **여러 개의 디스크를 조합하여 성능 향상, 데이터 보호, 또는 둘 다를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RAID는 **데이터를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에 분산 저장하거나 복제하여, 시스템의 안정성과 속도를 향상**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RAID 방식 중 “미러링(Mirroring)“이란 **한 개의 디스크에 데이터를 쓰는 동시에 동일한 데이터를 다른 디스크에도 동일하게 저장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디스크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데이터 유실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RAID 방식별 특징**
|**RAID 방식**|**방식 설명**|**주요 특징**|
|---|---|---|
|**RAID 0**|**스트라이핑(Striping)**|성능은 높지만 데이터 보호 기능 없음|
|**RAID 1**|**미러링(Mirroring)**|데이터 보호(복제) 기능이 강함, 성능도 우수|
|**RAID 3**|패리티(Parity) 기반 스트라이핑|오류 검출 가능, 디스크 하나 손실 가능|
|**RAID 5**|패리티를 분산 저장|성능과 데이터 보호 균형 유지|
[[240225_기출_네트워크관리사 2급#49. IEEE 802.11 무선랜의 전송 방식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① 적외선 방식 : 장비 구성이 간편하고 빛의 성질로 인해 중간에 장애물이 있어도 통신이 가능하다. 저렴한 비용 때문에 상업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② 레이저 방식 : 레이저가 가지는 고도의 점 지향성과 직진성을 이용해서 멀리 떨어진 지점 간(예를 들면 섬과 섬 사이) 네트워킹에 사용하는 방식. 주로 케이블 가설이 어려운 지역에 설치하나 통신 속도면에서 10Mbps이상은 지원되지 않는다.
③ 주파수 방식 : 전파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스프레드 스펙트럼(Spread Spectrum) 방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무선 네트워크 방식. 일반적으로 무선랜이라고 하면 이 방식을 의미한다.
④ 협대역 방식 : 특정 라디오 주파수를 사용하며 사용자는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여 송수신한다.
**IEEE 802.11 무선랜(WLAN) 전송 방식 개요**
**IEEE 802.11**은 **Wi-Fi(Wireless LAN)의 표준을 정의하는 프로토콜**로, 무선 네트워크를 구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무선랜의 전송 방식은 주로 전파를 이용하며, 다양한 기술적 방식이 존재합니다.**
IEEE 802.11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전송 방식은 “주파수 방식”이며, 스프레드 스펙트럼(Spread Spectrum) 기술을 활용**하여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
현재 **Wi-Fi**라고 하면 **대부분 IEEE 802.11을 기반으로 한 주파수 방식의 무선랜을 의미합니다.**
**핵심 개념**
**1. IEEE 802.11 무선랜의 주요 전송 방식**
| **전송 방식** | **설명** | **특징** |
| -------------------------------- | ------------------- | --------------------- |
| **적외선 방식 (Infrared)** | 빛의 성질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식 | 장애물이 있으면 통신 불가, 사용 적음 |
| **레이저 방식 (Laser)** | 레이저를 이용해 원거리 데이터 전송 | 직진성 강함, 기상 조건에 영향 받음 |
| **주파수 방식 (RF, Radio Frequency)** | 전파를 사용한 무선통신 방식 | **Wi-Fi에서 가장 많이 사용됨** |
| **협대역 방식 (Narrowband)** |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 | 제한된 주파수 사용 |
---
[[240519_기출_네트워크관리사 2급#3.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OSI 모델 중 4계층 프로토콜이다.
② 비대칭 프로토콜로서 TTL(Time to Live)를 제공하지 않는다.
③ 로컬 네트워크상의 멀티캐스팅 그룹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④ 데이터의 유니캐스팅에 적합한 프로토콜이다.
**1. IGMP란?**
• IGMP는 **IPv4 네트워크에서 멀티캐스트 그룹 관리를 수행하는 프로토콜**입니다.
• 멀티캐스트(multicast)란 **여러 수신자에게 동일한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방송, 스트리밍, 온라인 강의 등에서 사용됩니다.**
• **라우터와 호스트 간의 멀티캐스트 그룹 관리**를 위한 프로토콜로,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2. IGMP의 계층 및 동작 방식**
• **IGMP는 OSI 3계층(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합니다.**
• 멀티캐스트 트래픽이 불필요한 장치에 전달되지 않도록 **라우터가 IGMP를 통해 특정 그룹에 속한 호스트에게만 멀티캐스트 패킷을 전달**합니다.
**3. IGMP의 주요 기능**
• **호스트가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Join)하거나 탈퇴(Leave)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라우터가 네트워크에서 활성화된 멀티캐스트 그룹을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멀티캐스트를 이용하여 **유니캐스트보다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240519_기출_네트워크관리사 2급#4. TCP 헤더의 플래그 비트로 옳지 않은 것은?]]
**TCP 헤더 플래그 비트 정리 표**
|**플래그 비트**|**설명**|**사용 사례**|
|---|---|---|
|**URG (Urgent)**|긴급 데이터가 포함되었음을 알리는 플래그|긴급 메시지(예: Ctrl+C 인터럽트)|
|**ACK (Acknowledgment)**|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응답을 나타내는 플래그|대부분의 TCP 패킷에서 기본적으로 설정|
|**PSH (Push)**|데이터를 버퍼링하지 않고 즉시 애플리케이션에 전달|실시간 스트리밍, 채팅 서비스|
|**RST (Reset)**|비정상적인 연결 종료를 위한 플래그|존재하지 않는 포트로 접속 시 서버 응답|
|**SYN (Synchronize)**|TCP 연결을 설정할 때 사용|3-Way Handshake 과정에서 사용|
|**FIN (Finish)**|정상적인 연결 종료를 나타내는 플래그|양쪽이 FIN 패킷을 교환하면 연결 종료|
[[240519_기출_네트워크관리사 2급#7. SNMP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SNMP는 주기적으로 폴링(Polling)하여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② 네트워크 확장을 용이하게 해준다.
③ SNMP는 일반적으로 TCP 세션을 이용한다.
④ 폴링으로 인해 네트워크 트래픽이 많이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와 문제 풀이**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는 **네트워크 장비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프로토콜**입니다.
네트워크 관리자는 SNMP를 통해 **라우터, 스위치, 서버 등의 네트워크 장비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장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핵심 개념: SNMP의 특징과 동작 방식**
**1. SNMP란?**
•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장비(라우터, 스위치, 서버 등)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합니다.**
• **주기적으로 폴링(Polling)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 SNMP는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 라는 데이터 구조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장비에서 관리할 수 있는 객체들의 정보를 저장**합니다.
**2. SNMP의 주요 기능**
• **네트워크 상태 감시**: 폴링을 통해 **장비의 트래픽, CPU 사용량, 네트워크 연결 상태 등을 모니터링**합니다.
• **네트워크 관리 용이성**: SNMP를 사용하면 **대규모 네트워크를 중앙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자동 경고 기능**: 네트워크 장비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SNMP 트랩(Trap) 메시지를 통해 관리자에게 즉시 알림을 보낼 수 있습니다.**
**3. SNMP의 통신 방식**
• **SNMP는 기본적으로 UDP 프로토콜(포트 161, 162)을 사용합니다.**
• **UDP 기반이므로 속도가 빠르고 오버헤드가 적지만, 신뢰성은 보장되지 않습니다.**
• 일반적으로 **TCP 세션을 이용하지 않으며, UDP를 사용하여 간단하고 효율적인 통신을 수행**합니다.
[[240519_기출_네트워크관리사 2급#8. ICMP의 Message Typ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0 - Echo Reply
② 5 - Echo Request
③ 13 - Timestamp Request
④ 17 - Address Mask Request
[[240519_기출_네트워크관리사 2급#20. 100BASE-T라고도 불리는 이더넷의 고속 버전으로서 100 Mbps의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근거리통신망의 표준은?]]
① Ethernet ② Gigabit Ethernet
③ 10Giga Ethernet ④ Fast Ethernet
① Ethernet : 10 Mpbs
② Gigabit Ethernet : 1000Mbps
③ 10Giga Ethernet : 10000Mbps
④ Fast Ethernet : 100Mbps
[[240519_기출_네트워크관리사 2급#24. OSI 참조 모델의 계층별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Session Layer : 통신시스템 간의 상호대화를 허용하여 프로세스 간의 통신을 허용하고 동기화 한다.
② Presentation Layer : 서로 다른 컴퓨터에 의해 다양한 형식으로 표현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 표준형식으로 변환한다.
③ Transport Layer : 통신망의 양단에서 시스템 간에 전체 메시지가 올바른 순서로 도착하는 것을 보장한다.
④ DataLink Layer : 응용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와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응용 기능을 제공한다.
| **계층** | **계층명** | **주요 기능** |
| ------ | ------------------------------- | ---------------------------- |
| 7 | **Application Layer (응용 계층)** | 사용자와 네트워크 간의 인터페이스 제공 |
| 6 | **Presentation Layer (표현 계층)** | 데이터 인코딩, 암호화, 압축 처리 |
| 5 | **Session Layer (세션 계층)** | 통신 세션 설정 및 동기화 |
| 4 | **Transport Layer (전송 계층)** | 데이터의 신뢰성 있는 전달(오류 제어, 흐름 제어) |
| 3 | **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 | 경로 설정 및 라우팅 기능 |
| 2 | **Data Link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 | 프레임 단위의 전송, MAC 주소 기반 통신 |
| 1 | **Physical Layer (물리 계층)** | 실제 물리적 신호 전송 (케이블, 전파 등) |
| | | |
[[240519_기출_네트워크관리사 2급#39. Linux 시스템에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Daemon이 살아있는지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는?]]
① daemon ② fsck
③ men ④ ps
[[240519_기출_네트워크관리사 2급#49. 아래 지문에 해당하는 RAID 방식은?]]
[[240825_기출_네트워크관리사 2급#2. UDP 패킷의 헤더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Source Port ② Destination Port
③ Window ④ Checksum
[[240825_기출_네트워크관리사 2급#11. 사내 네트워크의 성능 향상과 관련 다음 MTU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인터넷 IPv4기준시 최소 1280 바이트의 값을 가진다.
② 인터넷 IPv6기준시 최소 68 바이트의 값을 가진다.
③ Ethernet 구현에서 대부분의 IP는 Ethernet V2 프레임의 형식이며 1500 바이트의 값을 가진다.
④ MTU의 크기는 항상 1500 바이트로 고정되어 있다.
### 12. [[FTP 및 TFTP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① TFTP는 단순화된 파일의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이며 기본포트는 25번이다.
② FTP의 접속에는 계정 접속만 가능하다.
③ TFTP의 단점은 UDP방식으로 Data 전송 시 데이터 손실가능성이 있다.
④ FTP는 대량의 데이터를 고속 전송하기 위해 UDP을 사용한다.
포트 번호 프로토콜 서비스(프로토콜) 설명
20 TCP FTP (Data) 파일 전송 프로토콜(데이터 전송)
21 TCP FTP (Control) 파일 전송 프로토콜(명령 제어)
22 TCP SSH 보안 쉘(원격 접속)
23 TCP Telnet 원격 터미널 접속(보안 취약)
25 TCP SMTP 이메일 전송 프로토콜
### [[16.보기에서 제시하는 TCP-IP 기술의 기능 중 IPv6 기술에서 새롭게 제공하는 것은?]]
① Checksums ② Complicated header
③ Optional Ipsec ④ Autoconfiguration
### [[17. ′ping 210.223.112.9′ 이라는 명령을 사용했을 때 로컬 IP Address의 분석 수순으로 올바른 것은?]]
① ARP Broadcast -> ARP Cache확인 -> 자체 IP Address와 일치 여부 확인 -> ARP Reply 발송
② ARP Broadcast -> 자체 IP Address와 일치 여부 확인 -> ARP Cache확인 -> ARP Reply 발송
③ ARP Cache확인 -> ARP Broadcast -> 자체 IP 와 일치 여부 확인 -> ARP Reply 발송
④ ARP Cache확인 -> 자체 IP Address와 일치 여부 확인 -> ARP Broadcast -> ARP Reply 발송
### 23. [[다음 지문에서 설명하는 모바일 셀룰러시스템의 동작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240825 네트워크관리사2급 보기 04.png]]
① 채널체인징 ② 페이징
③ 핸드오프 ④ 핸드쉐이크
### 26. [[OSI 7 Layer 중에서 아래에서 설명하는 계층은?]]
![[240825 네트워크관리사2급 보기 05.png]]
① 물리적 계층(Physical Layer)
②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③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④ 트랜스포트 계층(Transport Layer)
### 27. [[데이터 전송 전 목적지 경로를 설정한 후 전송 데이터를 정해진 단위별로 전송하되, 규정된 시간 내에 전송 데이터가 없으면 현재 설정된 경로를 해제하는 교환방식은?]]
① 회선교환 방식 ② 데이터그램 방식
③ 가상회선교환 방식 ④ 메시지교환 방식
### 29. Linux 시스템 관리자는 John사원의 계정인 ′John′의 패스워드 정책을 변경하기 위해 아래 지문과 같이 입력하였다. [[10일 전 암호변경 경고를 위한 명령으로 ( )안에 알맞은 옵션은?]]
![[240825 네트워크관리사2급 보기 06.png]]
① -m 10 ② - L 10
③ - i 10 ④ - W 10
### 35. Linux 시스템 담당자 Park 사원은 Linux 시스템 운영관리를 위해 시스템이 부팅할 때 생성된 시스템 로그를 살펴보고자 한다. [[하드웨어적인 이상 유무나 디스크, 메모리, CPU, 커널 등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로그파일은?]]
① /var/log/cron ② /var/log/lastlog
③ /var/log/dmesg ④ /var/log/btmp
### 36. 웹서버 담당자 Kim은 [[디렉터리 리스팅 방지, 심볼릭 링크 사용방지, SSI(Server-Side Includes)사용 제한, CGI실행 디렉터리 제한]] 등의 보안 설정을 진행하려고 한다. Apache 서버의 설정 파일 이름은?
① httpd.conf ② httpd-default.conf
③ httpd-vhosts.conf ④ httpd-mpm.conf
### 41. 서버 담당자 Kim 사원은 아래의 [[Linux 시스템 작업지시서를 확인하고 작업하고자 한다. Kim 사원이 입력할 명령어로 올바른 것은?]]
![[240825 네트워크관리사2급 보기 09.png]]
① chmod -R 755 /var/www/upload
② chmod 775 /var/www/upload
③ chmod -R 777 /var/www/upload
④ chmod 555 /var/www/upload
### 42. [[아래 지문은 Linux 시스템에서 구동 중인 프로세스를 검색한 결과이다. 옳지 않은 것은?]]
![[240825 네트워크관리사2급 보기 10.png]]
① 입력한 명령어는 ′ps -ef | grep /bin/sh′ 이다.
② 네번째 프로세스의 PPID는 1869이다.
③ python 프로세스가 실행되고 있다.
④ 목록에서 다섯번째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명령어는 ′kill 1902′이다.
### 44. [[Linux를 설치 가이드에 따라 별도의 설정 없이 기본설치를 실시한 후, 디스크 및 파티션 정보를 확인]]해보니 ′/′ 디렉터리가 ′/dev/sda5′ 에 설치되었다. ′/dev/sda5′ 의 해석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SATA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디스크를 사용한다.
② 디스크의 다섯 번째 파티션에 설치되었다.
③ Hardware 장치를 파일 형식으로 나타낸다.
④ 다섯 번째 연결된 물리 디스크에 설치되었다.